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영덕 강구항 인근 해파랑공원 등 피해현장 방문... 신속한 응급복구 지시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93일 태풍 마이삭관통에 따라 침수와 정전 등의 피해가 발생한 영덕군 강구항 일대 피해현장을 긴급 현장방문 했다.

 

영덕 강구시장 일대는 3년째 침수피해 발생으로 이 도지사가 태풍피해를 가장 걱정했던 지역이다. 다행히 이번 태풍에 강구시장 일대는 침수피해를 당하지 않았지만 강구항 일대에 침수, 월파 피해가 발생했다.

 

강구항 일대는 새벽 만조시간에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 마이삭의 영향으로 해안매립지에 조성된 영덕 해파랑공원과 인근 상가 등이 침수되는 피해가 발생했다.

 

마이삭의 영향으로 파도가 8m 방파제를 넘어 해파랑공원을 침수시켜 공원의 주요 시설물과 잔디광장 등도 부서지거나 유실됐으며, 인근 20여개 상가의 수족관이 물에 잠기기도 했다.

 

또 영덕군 전체 정전이 발생해 16천여가구의 주민들이 불편을 겪었으며, 정전으로 수족관내 물고기가 폐사하는 피해도 발생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피해현장에서 만난 상인들을 격려하고 관계자들에게 긴급 피해복구로 주민들의 피해 최소화에 힘써줄 것을 당부했으며, 정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주민들을 위해 현장에서 직접 한국전력공사 영덕지사에 연락해 빠른 조치를 당부하기도 했다.

 

9호 태풍 마이삭의 영향으로 9.2~3일 동안 경북지역에 평균 강수량 88.5mm, 청도 149.2mm, 김천 139.7mm, 영양 135.5mm 의 많은 비가 내렸으며, 특히 경북 동해안지역에 강풍과 풍랑으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였으며, 인명피해는 없으나, 재산피해는 현재 조사 중에 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피해현장을 둘러보고 태풍 피해지역의 주민들이 빠른 시일안에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전 행정력을 동원하라고 긴급 지시하고, “피해조사를 철저히 하고 응급복구가 필요한 곳은 신속하게 조치하라고 당부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71 경제 경북도, 내년도 환경부 국가 예산 24.2% 증액 확보  2020.09.21 4
170 사회 ‘올해 안보고, 오~래 봐요’#올해보다오래 SNS캠페인 진행  2020.09.21 4
169 경제 경북도, 제55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종합우승 쾌거  2020.09.21 4
168 경제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출범!!  2020.09.21 4
167 사회 경북도, 추석연휴 봉안시설 이용 시 사회적 거리두기 당부  2020.09.21 5
166 사회 추석연휴 단계별 특별감시로 환경오염행위 사전 차단!  2020.09.21 5
165 사회 “안전한 추석, 119가 지킨다!!”  2020.09.21 4
164 사회 경북소방, 새내기 소방공무원 170명 임용... 안전 출발!!  2020.09.21 6
163 문화 제1회 행복경북 청년웹툰 공모전...‘층간소음’대상 수상  2020.09.21 76
162 경제 경북도, 비대면 시대 소비자안전망 강화 선제적 대응!  2020.09.21 4
161 사회 경북도, 세계 차 없는 날 맞아 친환경 교통 캠페인 전개  2020.09.18 9
160 사회 경상북도 간호조무사회 코로나19 극복에 앞장서  2020.09.18 7
159 경제 농업 신기술 접목 톡톡 청년 아이디어 신청하세요!!  2020.09.18 7
158 경제 경상북도, 우수 창업팀 발굴로 경제위기 해소에 앞장서  2020.09.18 7
157 경제 경북도, 생활SOC복합화사업 9개소 선정... 국비 220억 확보  2020.09.18 9
156 경제 왜관읍 일대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2020.09.18 7
155 경제 경북도, 코로나19 확산 없는 추석보내기 특별방역 추진  2020.09.18 9
154 교육 ‘제1회 청년의 날’청년들의 인생멘토가 된 이철우 도지사  2020.09.18 7
153 사회 ‘조선시대에도 전염병 유행하면 명절차례 안 지냈다’  2020.09.18 7
152 경제 고향 못가는 마음, 추석선물에 담아 직배송~  2020.09.17 8
Board Pagination Prev 1 ...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