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벌 쏘임 사고 8월에만 전체 50% 이상 발생, 벌초 시기 예초기 안전 주의

 

 

경상북도 소방본부(본부장 남화영)는 민족 최대 명절인 추석을 앞두고 벌초성묘객들의 벌 쏘임 및 예초기 안전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경북소방본부 통계에 따르면, 98일 기준 벌집제거 출동횟수는 총 1651*이고, 전체 출동건의 절반이상이 넘는 5794건이 8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벌집제거 출동횟수: 1~51,363, 6981, 72,513, 85,794

 

지난 8월 경북 울진에서는 70대 여성이 집에서 벌에 쏘여 사망하는 등 현재까지 벌 쏘임 환자 507*을 병원으로 이송했으며, 이중 8월에만 절반에 가까운 208명 발생해 앞으로 벌 쏘임 사고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벌 쏘임 환자 이송건수: 1~575, 677, 7147, 8208

 

벌 쏘임 안전사고 예방법을 살펴보면 제초작업 등 야외 활동시 주위에 벌집 유무 확인 냄새 및 색채에 자극을 받으면 공격성이 강해지기 때문에 향수, 화장품은 가급적 사용 자제 검고 어두운색에 더욱 강한 공격성을 나타내는 습성이 있어 검은색 옷 또한 피해야 한다.

 

한편, 2019년 통계에 따르면 예초기 관련 안전사고 이송 현황은 총 64명으로 벌초성묘 시기가 다가오면서 예초기 안전사고 발생률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성묘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예초기 작업 전에는 반드시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안면보호구, 보호안경, 무릎보호대, 안전화, 장갑 등 보호장비 착용 칼날에 보호덮개 장착 주변 환경에 맞는 칼날을 구분해 사용해야 한다.

 

남화영 소방본부장은 추석을 맞아 벌 쏘임 및 예초기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반드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주변에 벌집 등 위험요소가 있는지 살펴야 하며, 위협을 느꼈을 경우 현장에서 신속하게 20m이상 벗어나 119에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245 교육 ‘경북도립대 산학협력 학생참여단’힘찬 출발!  2020.09.23 7
1244 사회 ‘경북형 우리가게 셀프클린UP’으로 위생업소 주도형 방역 확산  2020.08.21 6
1243 ‘경상북도 청년통계’로 청년맞춤형 정책 기반 마련  2021.01.22 22
1242 경제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출범!!  2020.09.21 4
1241 사회 ‘도민의 안전, 행복한 경북’119가 함께 하겠습니다  2020.11.11 65
1240 경제 ‘민생․경제투어’첫 방문지로 경북 찾은 정 총리  2020.11.02 4
1239 ‘민선8기 경상북도 1년의 성과와 미래’정책 포럼 개최  2023.06.28 54
1238 ‘보이소 TV’지자체 최초 유튜브 인증 배지 획득  2021.02.25 40
1237 경제 ‘사람 내음 가득한 경북’청년이 함께 만듭니다.  2020.09.29 3
1236 경제 ‘실라리안’과 함께 몸도 마음도 넉넉한 추석 보내세요!  2020.09.15 4
1235 경제 ‘어머! 이건 꼭 먹어야해’ 우수 농산물가공제품 한권에 담아  2020.09.28 4
1234 문화 ‘여행 그 자체 경북’서울국제관광박람회 참가...  2020.11.05 39
1233 ‘영덕 괴시마을’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예고  2021.05.04 23
1232 사회 ‘올해 안보고, 오~래 봐요’#올해보다오래 SNS캠페인 진행  2020.09.21 4
1231 사회 ‘우리 야경 보러갈래?’경북의 야경 명소 52선  2020.09.23 4
1230 ‘이웃사촌 시범마을’에 대한 전국적 관심 이어져  2021.04.16 17
1229 ‘이웃사촌 시범마을’우리밀 현장 평가회 개최  2021.04.22 18
1228 교육 ‘제1회 청년의 날’청년들의 인생멘토가 된 이철우 도지사  2020.09.18 7
1227 ‘제20회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에너지 기업유치 박차  2023.04.13 100
1226 사회 ‘조선시대에도 전염병 유행하면 명절차례 안 지냈다’  2020.09.18 7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6 Next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