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약수터에 이어 약 2,300여 개소 마을상수도와 소규모급수시설을 대상으로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은 9월부터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도내 소규모 수도시설을 대상으로 자연방사성 물질인 우라늄과 라돈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작년 말 도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 123개소 라돈 전수 조사 실시로 기준초과 시설(3개소)에 대해 라돈 저감장치설치 및 개선조치가 시행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8월에는 경상북도 도내 지정약수터 2624곳을 직접 시료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1곳이 기준치(148Bq/L)보다 조금 높게 검출되어 해당 지자체에서 개선조치 중이다.

 

이는 환경부의 먹는물 수질기준과 검사 등에 관한 규칙먹는물 수질감시항목일부 개정으로 우라늄과 라돈을 검사항목에 포함시킨데 따른 후속 조치다. 이번우라늄라돈조사대상은 도내 소규모 수도시설 약 2930여 개소 중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시설 약 2300여 개소이다.

 

소규모 수도시설에는 지방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의 주민들에게 공급하는 마을상수도, 소규모급수시설이 해당된다. 경상북도는 타 시도에 비해 소규모수도시설이 많고 대부분 지하수를 사용하여 자연방사성 물질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조사는 보건환경연구원 본원과 북부지원이 현장에서 직접 시료를 채수하여 우라늄과 라돈을 검사한 후, 그 결과를 시군에 통보할 예정이다.

 

기준 부적합 및 감시기준 이상인 시설에 대해서는 방사성 물질 저감 방안 수립, 사용 중지 등 개선대책을 유도하고 또한 상수도 공급 등 후속 조치가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환경부에서는 먹는물 수질기준 및 감시기준을 초과한 자연방사성 물질 함유 지하수를 마실 경우, 건강에 바로 이상이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장기간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우라늄은 방사성 독성보다 화학적 독성에 의한 신장독성이 나타나고 라돈은 폐암 또는 위암을 유발한다고 한다.

 

이경호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최근 방사성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먹는물에 존재하는 자연방사성물질인 우라늄과 라돈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앞으로도 연구원에서 도민이 안심하고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라돈 등 건강위해물질을 검사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62 경북도, 수소충전소 설치 공모사업 선정... 120억원 확보  2021.06.15 206
461 경북도, 수소경제 산업육성 청신호 켜졌다  2022.10.01 205
460 경제 경북도, 수산업경영인의 코로나 이후 시장대응력 높인다  2020.10.08 8
459 경제 경북도, 수산양식분야 공모사업 4개소 선정.. 스마트양식 주도  2020.10.19 6
458 사회 경북도, 수산물 가격 현장점검으로 추석 물가 안정시킨다  2020.09.25 6
457 경북도, 수리시설 개보수에 738억원 투입경북도, 수리시설 개보수에 738억원 투입  2021.02.05 25
456 경북도, 소상공인 위한 온라인 유통채널 입점설명회 가져  2021.12.07 6
455 경북도, 소상공인 위한 상생 업무협약 체결  2021.12.08 6
454 경북도, 소상공인 온라인 역량강화 위해 팔 걷었다.  2021.06.08 15
453 경제 경북도, 소상공인 새희망자금 현장접수센터 본격 운영  2020.10.26 5
» 경제 경북도, 소규모수도시설 ‘ 우라늄·라돈 ’전수조사 실시  2020.09.29 3
451 경북도, 세포배양산업 육성의 첫 걸음을 떼다  2023.03.29 84
450 경북도, 세계와 소통․협력하는「경북외교백서」발간  2020.12.16 40
449 사회 경북도, 세계 차 없는 날 맞아 친환경 교통 캠페인 전개  2020.09.18 9
448 경북도, 성공적 지방정원 조성 위해 정책자문위원회 열어  2022.10.23 141
447 경북도, 설 연휴 올겨울 최강한파 대비태세 점검  2023.01.25 252
446 경북도, 설 연휴 산불방지 총력대응  2023.01.19 271
445 경북도, 서울시와 교류 강화 위한 협약(MOU) 체결  2023.01.18 277
444 경북도, 생활주변 집중관리 도로 지정해 노면청소 강화한다  2021.12.17 17
443 사회 경북도, 생활쓰레기 특별관리로 깨끗한 추석명절 만든다  2020.09.28 4
Board Pagination Prev 1 ...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