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약수터에 이어 약 2,300여 개소 마을상수도와 소규모급수시설을 대상으로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은 9월부터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도내 소규모 수도시설을 대상으로 자연방사성 물질인 우라늄과 라돈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작년 말 도내 민방위 비상급수시설 123개소 라돈 전수 조사 실시로 기준초과 시설(3개소)에 대해 라돈 저감장치설치 및 개선조치가 시행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8월에는 경상북도 도내 지정약수터 2624곳을 직접 시료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 1곳이 기준치(148Bq/L)보다 조금 높게 검출되어 해당 지자체에서 개선조치 중이다.

 

이는 환경부의 먹는물 수질기준과 검사 등에 관한 규칙먹는물 수질감시항목일부 개정으로 우라늄과 라돈을 검사항목에 포함시킨데 따른 후속 조치다. 이번우라늄라돈조사대상은 도내 소규모 수도시설 약 2930여 개소 중 지하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시설 약 2300여 개소이다.

 

소규모 수도시설에는 지방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의 주민들에게 공급하는 마을상수도, 소규모급수시설이 해당된다. 경상북도는 타 시도에 비해 소규모수도시설이 많고 대부분 지하수를 사용하여 자연방사성 물질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조사는 보건환경연구원 본원과 북부지원이 현장에서 직접 시료를 채수하여 우라늄과 라돈을 검사한 후, 그 결과를 시군에 통보할 예정이다.

 

기준 부적합 및 감시기준 이상인 시설에 대해서는 방사성 물질 저감 방안 수립, 사용 중지 등 개선대책을 유도하고 또한 상수도 공급 등 후속 조치가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환경부에서는 먹는물 수질기준 및 감시기준을 초과한 자연방사성 물질 함유 지하수를 마실 경우, 건강에 바로 이상이 생기는 것은 아니지만 장기간 과도하게 노출될 경우, 우라늄은 방사성 독성보다 화학적 독성에 의한 신장독성이 나타나고 라돈은 폐암 또는 위암을 유발한다고 한다.

 

이경호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장은 최근 방사성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먹는물에 존재하는 자연방사성물질인 우라늄과 라돈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앞으로도 연구원에서 도민이 안심하고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라돈 등 건강위해물질을 검사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811 경북 동해연안,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균 검출  2023.05.08 43
810 ㈜오션산업 김강산 대표, 이웃돕기 성금 전달  2021.01.28 43
809 경북도, 원자력안전위원회 경주이전 추진한다.  2020.12.16 43
808 경북도, 수출유관기관과 기업방문... 현장 목소리 듣는다.  2021.02.25 43
807 제11호 태풍‘힌남노’대비 농작물 피해 예방해야  2022.09.03 42
806 경북도, 태풍으로 인한 농작물‧시설 피해 정밀조사 실시  2022.09.10 42
805 의용소방대 태풍 피해지역 복구지원 총력 대응  2022.09.10 42
804 경북도, 복숭아 토종효모로 만든 와인소주 미국 수출  2021.05.10 42
803 경제 혁신과 적극행정으로 경북을 변화시킬 우수사례 찾았다!  2020.11.06 41
802 경상북도 해외자문위원, 도청에 친환경 전동차 기증  2021.02.25 41
801 경상북도의 고유한 특성 지닌 관광기념품 공모 한다.  2021.03.05 41
800 경제 대한민국 특정도서 제1호 독도의 연체동물 전 세계에 소개  2020.11.06 40
799 경제 포항 용한리 해변, 서핑 명소로 태어난다!  2020.11.06 40
798 봄철 산행‘아차하면 사고 발생’안전사고 주의  2023.03.22 40
797 경북도 물기업 기술사업화 위해 산·관·연 머리 맞대다  2023.03.22 40
796 경북도 출자기업 경북통상 제10대 김현규 대표이사 선임  2023.03.22 40
795 감나무 초기 병해충 발생 빨라져 적기 방제 당부  2021.04.23 40
794 고흥 해창만 300MW급 태양광 사업 추진  2020.12.31 40
793 경북 포항시, 2021년 해양도시 위상 드높인다.  2020.12.14 40
792 경북도, 세계와 소통․협력하는「경북외교백서」발간  2020.12.16 40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