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4차산업혁명 기반구축 국책사업 성과도 탁월!

 

- 4차산업혁명 선도 새로운 대규모 프로젝트 스타트... 성과 기대

- 4차산업혁명 기반 국책사업 유치, 홀로그램기술개발 5G테스트베드

- 4차산업혁명 신산업 선정, 지능형 SoC플랫폼 배터리, 헴프 규제자유특구

 

 

경상북도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어 지역전략사업을 고도화 하고 미래신산업을 발굴해 지역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대규모 핵심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있다.

 

경상북도는 그동안 4차산업혁명 기반 구축사업을 위하여 홀로그램 기술개발 예타 통과, 5G 테스트베드 구축 공모 선정(5G 시험망 기반 테스트베드, 5G 핵심부품 및 융합 제품개발) 등 국책사업 유치로 지역산업 성장동력 발판을 마련했다.

 

또한 소프트웨어 기반 지능형 SoC* 플랫폼 구축 선정,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 지정으로 4차산업혁명을 선도하는 지역산업 동력을 확보하게 되었다.

*System on Chip :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하나의 칩으로 구현한 기술집약적 반도체

 

4차산업혁명 기반 국책사업 유치 성과로 지역산업 성장동력 발판

4차산업혁명 시대 기존의 전자산업을 고도화 하고 디지털 콘텐츠 산업 육성의 발판인 홀로그램 기술개발사업은 지난해 7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특히 3년만의 경북도 과학산업분야의 첫 예타 통과라 그 의미가 더 크며, 반도체디스플레이 공정용 검사기술 확보 등을 통한 장비 국산화로 일본 수출규제에 따른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기술자립도에 기여하게 된다.

 

이차전지 미래 신산업 생태계 조성기반을 마련한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는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의 상태진단을 통해 재사용 및 재활용 여부를 실증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기업들의 투자유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전후방 산업의 발판이 되고 있다.

 

또한 지난 7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가 두 번째로 지정이 되어 헴프(Hemp)* 추출 소재제품의 산업화를 통해 고부가가치 바이오산업 육성 및 의료용 대마 산업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게 되고 전통산업인 농업이 다시 살아나고 헴프라는 신산업 개척을 통해 안동의 주력산업으로 발돋움 할 것으로 기대 된다.

*헴프(Hemp) : 환각성분(THC) 0.3%미만 대마식물 및 그 추출물을 의미, 환각성이 높은 마리화나와 구별되어 비환각성 산업용 소재로 이용

 

4차산업혁명 선도 핵심프로젝트 추진으로 미래먹거리 산업 발굴 및 동력 확보

경상북도는 향후 4차산업혁명 선도 핵심프로젝트로 능동형 스마트 리빙케어 산업 육성사업, 안전신뢰기반 고성능 이차전지 기술개발 사업, 에너지 하베스팅 신산업 생태계 조성 등을 추진하게 된다.

 

전자산업 재도약을 위한 핵심프로젝트로 능동형 스마트 리빙케어 산업 육성사업11월에 예비타당성조사 기술성평가 신청을 할 예정이며 기술성평가 적합시 본예타를 진행하게 된다.

 

코로나 뉴노멀 신산업 출현에 따른 리빙케어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경북 전자제조산업의 위기 극복의 전환점이 될 것이다.

 

지난해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계기로 이차전지 미래 제조 혁신 허브 전략후속사업으로 안전신뢰기반 고성능 이차전지 기술개발사업을 추진한다. 11월에 예비타당성조사 기술성평가 신청을 할 예정이며 기술성평가 적합시 예비타당성 통과를 위하여 전력을 다할 계획이다.

 

본 사업은 차세대 이차전전지 개발을 위한 가속기 기반 인프라를 구축해 경북을 대한민국 이차전지 소재분야 R&D 메카로 육성할 계획이다.

 

에너지 하베스팅* 신산업 생태계 조성사업은 선진국 중심으로 미래신재생에너지 아이템으로 진행 중이며 기존산업과 4차산업혁명 산업과의 융합 에너지원으로 모빌리티, 가전 등의 IoT와 환경, 바이오헬스케어, 모바일, 섬유, 웨어러블 등 지역 주력산업의 미래 고부가가치 창출이 기대된다.

*에너지 하베스팅 : 움직이는 모든 사물로부터 미활용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 활용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한 에너지 자립기술 및 신재생에너지 획득 기술

 

4차산업혁명 선도 및 신산업 육성을 위한 주요 시책사업 중 하나인 규제자유특구 사업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올 하반기 이후에는 규제혁신을 통한 지역 혁신성장 동력 추가 확보를 위해 주문형 모빌리티 서비스(MoD) 규제자유특구및 신규 과제 발굴 등을 통해 특구 지정에 총력을 다 할 예정이다.

 

특히, 4차산업혁명 및 POST 코로나, 뉴노멀 시대에 정부정책 방향과 연계한 디지털 뉴딜 및 그린뉴딜 사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하여 현 상황에 맞서 나갈 추진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괄목할 만한 2년 동안의 성과에 직원들 및 도민들 모두가 뜻을 함께해서 이룬 결과다라며 감사의 인사를 전했고, “어느 때 보다 어려운 시기이지만, 나라가 어려울 때마다 경북이 앞장서 국난극복을 한 저력으로 앞으로도 신산업 발굴을 위해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한다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931 경북농공단지, 도약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다  2022.08.28 75
930 쾌적한 공중화장실 깨끗하게 사용하세요  2022.08.28 74
929 사회 11월11일은‘덜식의 날’... 덜어먹는 식문화로 코로나 극복  2020.11.11 74
928 경북도, 군위군 대구시 편입준비 차질 없이‘착착’  2023.03.24 74
927 영호남“수도권 독과점체제 타파, 확실한 지방시대”공동대응  2023.03.24 74
926 청년들의 새로운 도전, 「경북살이 청년실험실」발대식 개최  2023.06.02 74
925 4년 만의 생활체육동호인 대축제! 화려한 개막 눈앞에!  2023.04.24 74
924 2023 경북여행 숏폼 영상 공모전개최  2023.04.10 74
923 경북도, 올해 전기자동차 3만대 시대 열어…  2023.04.06 74
922 가치를 마시고, 경험을 나누다「호피 홀리데이」 수제맥주 핫플로 주목  2023.04.06 74
921 경제 산학연협력사업 종합평가 결과, 지역 전략작목 육성 성과 우수  2020.11.06 73
920 경북도, 태풍 피해 주택 전기시설 민관합동 긴급복구 지원  2022.09.10 73
919 경북도 약용작물 산업 발전에 앞장선다!  2023.03.28 73
918 경북도, 2024년 지역특화형 비자사업 준비 돌입  2023.07.05 73
917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 모두가 건강한 나라, 행복한 대한민국!  2023.04.10 73
916 경북도 빠른 산불 진화, 남다른 이유 있었네!  2023.04.06 73
915 경북도, 「한중 지방산업 교류 협력 포럼」 개최  2023.04.07 73
914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지원 결의문 채택  2023.04.07 73
913 경북도, 9월 가을축제 서막 올리다  2022.08.28 72
912 경북 고품질 딸기 육성 위한 현장전문가 교육 실시  2022.08.28 72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