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20 국립백두대간수목원 가을 봉자페스티벌 개최(9.18~11.1)

 

 

 

2020 가을 봉자페스티벌(봉화지역 자생식물)’918일부터 11 1일까지 45일간 경북 봉화군 춘양면 서벽리에 위치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열리고 있다.

 

봉자페스티벌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봉화 일원에 자생하고 있는 각종 야생식물을 지역농가에 재배기술 보급을 통해 위탁 생산해, 수목원에 전시 및 축제에 활용하는 사업으로, 농가 소득향상에 실질적인 보탬이 되는 지역상생 협력사업으로 2019년부터 개최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로 인해 언택트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코로나블루로 지친 국민들에게 가을꽃과 넓은 자연공간에서 몸과 마음을 치유하는 힐링의 시간을 보내기 위해 마련됐다.

 

한편 이번 행사는 가을꽃 집중 개화시기별 감상주간으로 나누어 진행하고 있는데, 구절초, 좀개미취, 섬쑥부쟁이 등 40여만 본의 다양한 가을 야생화를 감상할 수 있다.

 

9.18~9.30 : 구절초(잔디언덕), 좀개미취(돌담정원, 경관초지원) 집중개화기간

10.1~10.19 : 섬쑥부쟁이(경관초지원), 국화 품종(진입광장, 춘양목교) 집중개화기간

10.20~11.1 : 국화 품종과 단풍 집중관상기간

 

또한, 가을(9~10) 생일맞이 관람객에게는 자생식물 화분 증정과 추석맞이 한복 착용자는 무료 입장의 고객 이벤트도 제공한다.

 

행사기간 내 수목원에서는 코로나19 방역지침에 따라 발열체크, 마스크 착용, 밀접 접촉 가능구역 제한 등과 집중전면 살균 등 안전하게 관람할 수 있도록 방역관리에도 철저를 기하고 있다.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한국관광공사 언택트 관광지로 선정되어 지난 봄 봉자페스티벌(4.28~5.10)8793, 여름 봉자페스티벌(7.31~8.17)110명이 방문하는 등 지역의 대표 축제로 자리 잡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325 강성조 행정부지사, 전통시장 장보기로 추석 맞아  2022.09.03 77
324 찾고 머물고 음미하고 싶은 경북, 인도네시아에 알린다  2022.09.03 77
323 경북도, 문화누리카드 ‘여름휴가 기획행사’진행  2023.07.04 78
322 경북광역푸드뱅크, 포항에 긴급구호물품 전달  2022.09.10 78
321 코로나19 국산백신의 새 시대, 경북바이오산단에서 열다  2022.09.03 78
320 경북도, 제11호 태풍「힌남노」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 개최  2022.09.03 78
319 경북의 아·태 기록유산인 <만인의 청원, 만인소>, 라디오 드라마 ‘만인의 꿈’으로 제작·방송  2023.07.03 79
318 감나무 새순 피해주는 애무늬고리장님노린재 방제 당부  2023.03.28 79
317 일본 현지 칼럼니스트와 함께 하는“경북 미식여행”  2023.03.28 79
316 「경상북도 UNESCO 세계유산 미래전략 2030」 비전선포식 개최  2023.03.29 80
315 경북도, 납세자 권익신장 위한 열띤 토론의 장 열어  2023.04.12 81
314 경북도, 국민참여형‘ 기부자의 숲 ’나무심기 행사 동참  2023.04.24 81
313 경북도, 농산물 수출 확대 맞춤형 기술지원 박차  2023.04.24 81
312 경북 카페 클라스, 나도 슈퍼바리스타!  2023.07.04 81
311 경북도, 안동소주 기업 대상 수출컨설팅 개최  2023.03.28 81
310 다함께 누리자 경북의 숲! 산림복지 공모사업 35억 확보!  2022.12.03 81
309 양수발전소 유치로 ‘경북 지역균형발전·에너지 대전환’ 선도한다  2023.06.12 83
308 경북농기원, 제24회 복숭아연구회 세미나 개최  2022.12.03 83
307 경북도 다문화 정책‘글로벌 인재육성에서 지역경제 일꾼 양성까지’  2023.04.11 84
306 최선의 예방책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  2023.06.13 84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66 Next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