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서자바주지사와 화상통화... 교류의향에서 교류협정으로 관계 격상 논의 

- 자매우호도시와 화상회의 확대... 다양한 분야의 활발한교류 환경조성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코로나19 상황에도 신남방정책의 교두보 마련과 다양한 분야의 활발한 교류를 위해 105일 리드완 카밀 서자바주지사 첫 화상회의를 개최했다.

 

경북도는 2010년부터 서자바주와의 체육교류를 시작해 태권도, 양궁 등 경북의 체육지도자를 전국 최초로 서자바주로 파견하고. 서자바주에서도 매년 100여명의 선수단을 경북으로 보내 전지훈련을 실시하는 등 서자바주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크게 기여했으며, 서자바주가 인도네시아 전국체전 종합 1(2016)를 달성하는 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

 

이를 바탕으로 양 지역은 2018년 우호교류의향서(LOI)를 체결했으며. 경북도와 서자바주 간의 교류 활성화를 위해 올해 12월 중 우호교류협정서(MOU)로 격상할 것을 논의하기 위해 이번 화상회의를 마련했다.

 

화상회의에서 서자바주는 MOU 격상논의 뿐만 아니라 경상북도의 북형 K-방역 모범사례에도 관심을 가져, 도가 실시했던 코호트격리, 경중환자분리, 병상확보 등에 대한 경험을 공유했으며, 도는 서자바주의 코로나19 조기극복을 위해 마스크 5만매를 기부하기로 했다.

 

리드완 카밀 서자바주지사는 이번 면담을 통해 양 지역간 교류가 체육교류를 넘어 경제, 관광 분야로 더욱 확대되기를 희망하며, 앞으로도 다방면의 지속적인 교류를 통해 공동 번영을 이룰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자고 전했다.

 

이철우 도지사는 체육으로 시작된 교류를 향후 경제, 교육, 청소년, 문화, 과학기술까지 확대시켜 양 지역 간 상생의 지평을 열어나가자라며, “경북도는 서자바주와의 교류 확대를 통해 선도적인 지방 외교관계를 구축하고 다양한 프로젝트로 발전시켜 국제교류의 성공적 모델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경북도는 서자바주를 시작으로 중국, 미국, 유럽, 일본 등 16개국 26개의 자매우호도시와도 화상회의를 확대할 예정으로, 장기적인 코로나19에 대응할 국제 교류를 다양하게 모색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91 미래 100년 푸드테크 패권 선점!!! 경북도 K-키친 추진위원회 출범!  2023.04.27 68
290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경북지역회의, 「2022년 제2차 경북평화통일 포럼」성료  2022.07.15 223
289 문화 밀리언셀러 소설가 김홍신과 함께한 백두대간 인문캠프  2020.10.19 5
288 바로마켓 경북점, 지역과 상생하는 도심형 정례장터로 자리매김  2022.12.10 212
287 반도체 기업 코마테크놀로지, 구미에 사업 확장 나서  2023.01.18 277
286 반려견 인구 1500만명 시대!‘애니콩’, 펫푸드 대표기업으로 성장  2023.03.15 34
285 사회 반려곤충시대, 곤충사육키트로 정서 치유!  2020.08.31 6
284 발달장애인 특화사업장‘가치만드소(所)’안동에 개소  2021.12.09 28
283 방사청-경북도-구미시 방산혁신클러스터 구축 업무협약  2023.06.05 60
282 버려지는 마(麻)의 영여자, 드시면 일석이조 효과  2021.04.16 10
281 베트남 대학생들, 경북 매력 한국어로 실력 뽐내  2021.12.13 6
280 봄 재배용 씨감자 흑색심부 발생 주의  2021.01.15 37
279 봄철 산행‘아차하면 사고 발생’안전사고 주의  2023.03.22 40
278 문화 봉자의 가을꽃 이야기, 백두대간 산촌의 결실  2020.09.29 19
277 경제 봉화 소천면, 봉성면 집중호우 특별재난지역 선포  2020.08.25 8
276 봉화약용작물연구소에서 다채로운 작약꽃으로 힐링하세요!  2023.05.18 137
275 경제 부산시, 「2021년도 6대 분야 70개 제도와 시책」 발표  2020.12.30 24
274 교육 부산시, 북한이탈주민 지원 책자 2종 제작‧배포  2020.12.30 30
273 사회 북적북적, 이웃사촌 시범마을  2020.09.29 3
272 문화 불국숙박단지 조명 테마거리 조성해 야경명소 만든다  2020.10.08 7
Board Pagination Prev 1 ...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