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박과작물 바이러스 피해증상, 방제요령 안내책자 제작해 시군에 배부 

- 잎 황화, 착과 불량, 수량 감소 등 피해... 의심증상 발생시 조속히 진단의뢰

 

 

 경상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박과작물 바이러스 피해증상 및 방제법 안내책자를 배부하고, 박과작물의 잎이 황화되면서 과실 생육이 불량할 경우 조속히 진단 의뢰해 대처할 것을 당부했다.

 

농업기술원은 올해 박과작물에 경제적인 피해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발생을 확인하고, 이 증상이 재배 시 생리장애로 오인돼 피해가 늘어나고 있어 예방관리를 위해 바이러스 피해증상과 방제요령에 대한 안내책자를 제작해 시군에 배부했다.

 

또한 작물 생육 초기부터 바이러스병을 옮기는 매개충에 대한 방제를 철저히 할 것을 농가에 당부했다.

 

농업기술원 작물보호연구팀에서는 농촌진흥청과 국가관리바이러스 정밀분포 조사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중 오이, 멜론 등 박과작물에서 박과백화황화바이러스(CCYV)와 박과진딧물매개바이러스(CABYV)의 발생을 확인했다.

 

박과백화황화바이러스는 2004년 일본 멜론농가에서 최초 발생되었고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발생된 적이 없었으며, 박과진딧물매개바이러스는 2013년 경북과 전북 지역에서 발생된 이후 점차 확산되는 추세이다.

 

박과백화황화바이러스는 담배가루이에 의해 전염되며 박과진딧물매개바이러스는 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되는데, 바이러스 피해증상은 유사해 잎 황화, 착과불량과 열매비대 불량, 멜론 네트형성 불량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특히, 오이는 약 40 ~ 50%의 수량 감소를 일으킨다.

 

박과채소의 육묘기간이나 정식 초기에 감염되면 과실 수확이 어렵기 때문에 하우스 입구와 측면에 담배가루이나 진딧물이 통과할 수 없는 촘촘한 방충망을 설치해 매개충의 유입을 막고 초기부터 등록 약제를 살포해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권태룡 경북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은 박과채소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증상과 예방관리에 대한 책자를 제작해 도내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농업인 등에 배포했다라며, “박과작물에서 의심증상이 나타날 경우 농업기술원에 진단을 의뢰해 조기에 대처할 것을 당부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071 경북도, 농식품 수출 역대 최고실적 경신  2022.11.12 148
1070 경북 의용소방대 연합회 워크숍 개최  2022.07.29 146
1069 함께하는 건강조사, 함께여는 건강내일  2023.05.17 144
1068 경북소방본부, 「메타버스형 소방 안전 소식 공간 」오픈  2023.05.17 143
1067 경북육성 장미‘버닝골드’, 국제꽃박람회 우수 품종상 수상  2023.05.16 143
1066 경북도, 스마트그린물류특구 지속가능형 도심생활물류 세미나 개최  2023.05.16 143
1065 이철우 도지사,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유치에 최선을 다하겠다!”  2023.05.18 142
1064 감사관과 通(통)해요, MZ세대와 대화의 장 열어  2022.10.23 141
1063 정전 70주년, 평화를 위한 동맹 “함께 갑시다”  2023.05.18 141
1062 경북도, 성공적 지방정원 조성 위해 정책자문위원회 열어  2022.10.23 141
1061 경북도, 디지털 농업 대전환 앞두고 농업연구 역량 결집  2022.10.23 139
1060 농림축산식품부, 성주 조원호씨 농업마이스터 지정  2022.10.23 138
1059 문화 11월에는 경북도서관에서 「어린이 창작동화 연극」어때요?  2023.11.08 137
1058 대구・경북 대중교통 광역환승제로 이용은 편리하게! 요금은 저렴하게!  2022.12.03 137
1057 봉화약용작물연구소에서 다채로운 작약꽃으로 힐링하세요!  2023.05.18 137
1056 경북도, 원자력 르네상스 실현을 위해 한국전력기술과 손 맞잡아  2023.05.17 137
1055 경북도, 태풍 피해와 명절 대비 환경사고 비상대응체계 가동  2022.09.10 136
1054 2022 경상북도 청소년 페스티벌 성료  2022.10.23 135
1053 사회 경북도, 제8회 대한민국 범죄예방대상 행안부 장관상 수상  2023.11.10 134
1052 사회 대학 중심 지역혁신 허브「경상북도 RISE센터」개소  2023.11.10 134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