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박과작물 바이러스 피해증상, 방제요령 안내책자 제작해 시군에 배부 

- 잎 황화, 착과 불량, 수량 감소 등 피해... 의심증상 발생시 조속히 진단의뢰

 

 

 경상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박과작물 바이러스 피해증상 및 방제법 안내책자를 배부하고, 박과작물의 잎이 황화되면서 과실 생육이 불량할 경우 조속히 진단 의뢰해 대처할 것을 당부했다.

 

농업기술원은 올해 박과작물에 경제적인 피해를 일으키는 바이러스 발생을 확인하고, 이 증상이 재배 시 생리장애로 오인돼 피해가 늘어나고 있어 예방관리를 위해 바이러스 피해증상과 방제요령에 대한 안내책자를 제작해 시군에 배부했다.

 

또한 작물 생육 초기부터 바이러스병을 옮기는 매개충에 대한 방제를 철저히 할 것을 농가에 당부했다.

 

농업기술원 작물보호연구팀에서는 농촌진흥청과 국가관리바이러스 정밀분포 조사공동연구를 수행하는 중 오이, 멜론 등 박과작물에서 박과백화황화바이러스(CCYV)와 박과진딧물매개바이러스(CABYV)의 발생을 확인했다.

 

박과백화황화바이러스는 2004년 일본 멜론농가에서 최초 발생되었고 국내에서는 지금까지 발생된 적이 없었으며, 박과진딧물매개바이러스는 2013년 경북과 전북 지역에서 발생된 이후 점차 확산되는 추세이다.

 

박과백화황화바이러스는 담배가루이에 의해 전염되며 박과진딧물매개바이러스는 진딧물에 의하여 전염되는데, 바이러스 피해증상은 유사해 잎 황화, 착과불량과 열매비대 불량, 멜론 네트형성 불량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특히, 오이는 약 40 ~ 50%의 수량 감소를 일으킨다.

 

박과채소의 육묘기간이나 정식 초기에 감염되면 과실 수확이 어렵기 때문에 하우스 입구와 측면에 담배가루이나 진딧물이 통과할 수 없는 촘촘한 방충망을 설치해 매개충의 유입을 막고 초기부터 등록 약제를 살포해 방제하는 것이 중요하다.

 

권태룡 경북농업기술원 연구개발국장은 박과채소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증상과 예방관리에 대한 책자를 제작해 도내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농업인 등에 배포했다라며, “박과작물에서 의심증상이 나타날 경우 농업기술원에 진단을 의뢰해 조기에 대처할 것을 당부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225 경북농업기술원, 원예작물 바이러스 방제 세미나 개최  2021.04.16 11
224 경북농업기술원, 우박 피해 지역 현장기술지원단 파견  2023.06.14 100
223 경제 경북농업기술원, 새마을 세계화에 앞장선다  2020.10.14 38
222 경제 경북농업기술원, 복숭아 초코볼로 소비자 마음을 녹인다!  2020.10.26 6
» 경제 경북농업기술원, 박과작물 황화바이러스 발생증가... 주의 당부!  2020.10.07 8
220 경북농업기술원, 미래농업 연구 방향 설정 대토론회 개최  2021.12.14 7
219 경제 경북농업기술원, 과수 저온피해 예방 현장기술지원 강화!  2024.03.21 389
218 사회 경북농업기술원, Voice Of Child [福] 복! 소리 나게  2024.03.04 474
217 경제 경북농업기술원, 2021년 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심의  2020.10.28 8
216 경북농업기술원 천도(天桃) 복숭아 신품종 확대보급  2021.02.18 28
215 경제 경북농업기술원 구미화훼연구소 국화, 장미 신품종 개발 보급  2020.09.29 4
214 경북농기원, 코로나19 일손부족 농가... 일손돕기 나서  2021.05.14 32
213 경북농기원, 제24회 복숭아연구회 세미나 개최  2022.12.03 83
212 경북농기원, 성주군과 전략 작목 육성사업 업무협약  2021.05.18 31
211 경북농기원, 샤인머스켓 명성 이을 새로운 포도 완성  2022.10.01 204
210 경북농기원, 레드향ㆍ애플망고 재배 관리법 발간  2022.11.12 196
209 경북농기원, 농촌진흥청과 디지털농업 협력 강화  2021.05.04 23
208 경북농기원, 노린재 방제 친환경 생력화 기술개발 박차  2021.12.10 30
207 경북농기원, 국화 신품종 등록 및 보급  2022.07.29 176
206 경북농기원, 『고추재배전서』 개정판 발간  2022.09.24 203
Board Pagination Prev 1 ...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 66 Next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