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세계유산 등 지역문화재 활용한 문화재 보존관리 및 가치 제고 기대 

-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 문화재 관광사업 활성화 기대

 

 

경상북도가 문화재청 주관 2021년도 지역문화재 활용 공모사업에 도내 62개 사업이 선정되어 국비 51억원을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다.

 

문화재청에서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공모 접수한 지역문화재 활용 사업은 문화재의 가치와 의미를 새롭게 콘텐츠화 한 프로그램형 사업이다.

 

이번 공모에서 경북도는 생생문화재 사업 18, 향교서원 활용사업 16, 문화재야행 사업 3, 전통산사 활용사업 4, 고택종갓집 활용사업 7, 지역문화유산 교육사업 5, 세계유산 활용프로그램 6, 세계유산 홍보프로그램 1세계유산축전 1, 세계기록유산 홍보 1건 등 10개 분야 총 62건이 선정됐다.

 

특히 경북도는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세계유산축전사업에 선정되는 등 명실공이 문화재 최다 보유지역답게 문화재청 공모사업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뒀다.

 

분야별 사업내역을 살펴보면 생생문화재 사업은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재를 인적물적 자원과 결합해 교육공연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프로그램으로, 18개 사업(국비 51천만원)이 선정되었고,

 

향교서원 활용사업은 향교서원의 교육적 기능을 활용한 프로그램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도내 4곳의 서원을 포함해 16개 사업(국비 66천만원)이 선정되었다.

 

문화재야행 사업은 경주시(신라문화), 안동시(유교문화)와 고령군(가야문화)이 사업대상으로 선정되어 국비 34천만원을 확보했으며, 지역의 유수한 고찰을 활용한 전통산사 활용사업은 구미의 도리사와 영천의 은해사 활용프로그램이 신규 사업으로 선정되어 지역민들이 산사의 역사와 문화재를 느끼고 체험 할 수 있도록 다가갈 예정이다.

 

또한, 지역문화유산 관련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문화유산에 대한 일반의 이해를 제고하는 지역문화유산 교육사업과 고택종갓집이 가진 의미와 가치를 보존하고 이를 활용해 교육체험공연하는 고택종갓집 활용사업은 각각 5개 사업(국비 11천만원)7개 사업(국비 52천만원)이 선정됐다.

 

아울러, 경북도는 우리나라 세계유산 14건 중 5건을 보유하고 있는 세계유산의 보고(寶庫)답게 세계유산 관련 문화재청 공모사업에서도 뛰어난 성과를 나타냈다.

 

세계유산의 가치를 전국민과 향유하기 위한 세계유산 축전사업에 인류 보편적 가치 속에 핀 안동문화의 독창성’(국비 21억원)이 선정되었으며, 세계유산 활용 프로그램에 6개 사업(국비 51천만원), 홍보프로그램에 1개 사업(국비 8천만원)이 선정되었고, 세계기록유산 홍보지원 프로그램도 1(국비 15천만원) 선정됨으로써 하회, 양동마을을 비롯한 도내 세계유산의 보편적 가치를 널리 홍보하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데 큰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상철 경상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최근 문화재 관련 정책이 단순 관람에서 벗어나 체험하고 소통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면서, “앞으로 관련분야 전문인력 양성 및 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함으로써 코로나19로 침체된 지역 문화재 관광사업을 활성화하고 고용창출을 도모하는 등 문화경북의 위상을 드높일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화재활용_공모사업_선정(생생문화재).jpg

 

문화재활용_공모사업_선정1(생생문화재.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031 이철우 도지사, 린쑹텐(林松添)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장과 한·중 교류 논의  2023.03.28 72
1030 경북도 올해 수출목표 500억 달러…수출활성화에 역량 결집  2023.03.28 72
1029 경북도, 군위군 대구시 편입준비 차질 없이‘착착’  2023.03.24 74
1028 영호남“수도권 독과점체제 타파, 확실한 지방시대”공동대응  2023.03.24 74
1027 경북도, 신한카드와 사회적·민생경제 활성화 위해 손잡는다  2023.03.24 71
1026 경북도, 구미 반도체산업 ESG 추진 업무협약 체결  2023.03.23 75
1025 경북도, 화재조사 선수선발대회‘화재감식달인’선발  2023.03.23 75
1024 이달희 경제부지사, 지역 현안 해결 위해 국토부 전격 방문  2023.03.23 71
1023 경북도민행복대학 합동입학식 개최, 올해는 박사 배출!  2023.03.23 71
1022 경상북도 전통시장 봄봄봄(가봄,사봄,와봄) 페스티벌 추진  2023.03.23 35
1021 봄철 산행‘아차하면 사고 발생’안전사고 주의  2023.03.22 40
1020 경북도 물기업 기술사업화 위해 산·관·연 머리 맞대다  2023.03.22 40
1019 경북도 출자기업 경북통상 제10대 김현규 대표이사 선임  2023.03.22 40
1018 참신한 창업모델 개발로 성공적인 귀농 이끈다  2023.03.22 34
1017 경북도, 한국해비타트와 문화활동기반 구축 나선다!  2023.03.22 34
1016 경북도, AI서비스로봇 제조 글로벌 생태계 구축한다!  2023.03.22 34
1015 경북도-산림항공본부 대형 산불 공동대응 업무협약  2023.03.21 38
1014 경북도, 신규 국가산단 조성을 위한 신속한 후속조치 박차  2023.03.21 38
1013 안전한 농촌교육농장에서 자연과 함께 놀자!  2023.03.21 37
1012 경북 중소기업, 이젠 마음 편히 육아휴직 다녀오세요!  2023.03.21 37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