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이점찬, 조현상, 이익주, 박원달, 김종길, 윤대식 6개 부문 선정 

- 11.9일 도청 다목적실에서 제61회 경상북도 문화상 시상식 예정

 

 

경상북도는 제61회 경상북도 문화상 심사위원회를 열고 지역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한 6명을 ‘2020년 경상북도 문화상수상자로 선정했다.

 

올해 수상자는 조형예술부문 이점찬 경일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공연예술부문 조현상 한국연극협회 경북지회장, 문학부문 이익주 경북문인협회 회원, 언론부문 박원달 TBC대구방송 콘텐츠팀 부장 문화부문 김종길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장, 학술부문 윤대식 영남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등 6개 부문 6명을 선정했다.

 

1956년부터 시행해 오고 있는 경상북도 문화상은 지역 문화예술의 창조적 발전에 기여한 공로자에게 수여하는 상으로 문화예술인들의 사기진작과 문화경북 위상제고, 그리고 경북의 지역 문화예술발전을 이끌어 갈 기반을 다지는데 큰 역할을 해 오고 있다.

 

조형예술부문 수상자 이점찬 경일대학교 교수는

청송백자 전수자 고만경 후원회 회장직을 수행하며 2009년 청송백자의 원형과 가치를 복원계승하고 현대적인 감각과 쓰임에 맞춰 변화발전시키기 위해 청송백자 전수관을 개관하는 등 다양한 지원활동에 노력 했다. 또한 경일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면서 지역인재 및 후학양성에도 힘쓰는 등 지역 도자예술 발전에 기여했다.

 

공연예술부문 수상자 조현상 ()한국연극협회 경북지회 지회장은

1994년 극단광장의 회원으로 연극활동을 시작해 36년간 총40여 편의 작품활동에 참여했으며, 특히 2010년부터 10년간 어린이 가족뮤지컬책벌레가 된 멍청이에 지속적으로 역량을 발휘해 지역청소년 인성함량에 큰 도움을 주었다.

 

최근에는 경북도청이전 5주년을 맞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최대의 연극축제인 대한민국연극제를 안동예천지역에 유치하는 등 지역 공연 활성화에 노력했다.

 

문학부문 수상자 이익주 경북문인협회 회원은

1987년부터 현재까지 33년간 문인협회 활동 및 시조시인협회 회원으로 지속적인 활동을 하면서, 문학의 본향인 민족시요 정통시인 현대시조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문학행사를 열정적으로 추진해 왔으며,

 

2012년부터는 현대 시조의 선구자로 시조문학의 중흥기를 열었던 한국 시조계의 거봉 백수 정완영(김천)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한 백수문학제를 전국적으로 알리는데 큰 기여를 했다.

 

언론부문 수상자 박원달 TBC대구방송 콘텐츠팀 부장은

지역방송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싱싱 고향별곡을 제작한 23년차 베테랑 프로듀서로서 지역민이 원하는 방송 콘텐츠를 만들어 도민들의 행복지수와 삶의 질을 높였다.

 

특히, 2017년부터 제작한 TV 다큐멘터리풍정라디오는 산골마을 노인들의 라디오 방송 도전기와 삶의 변화를 잘 보여줌으로써 지역 언론의 공익적인 역할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문화부문 수상자 김종길 도산서원 선비문화수련원 원장은

2011년부터 현재까지 한국의 선비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는데 열정적으로 활동을 해온 결과, 2019년까지 18만 여명이 선비문화수련원의 수련과정을 체험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20197월 한국의 서원(도산서원, 병산서원, 소수서원 등)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 되는데 누구보다 앞장서서 노력하는 등 한국유교문화정신을 대내외에 알리는데 큰 기여를 했다.

 

학술부문 수상자 윤대식 영남대학교 교수는

교통도시지역개발분야 전문가로 대한교통학회,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한국지역개발학회 등 다수 학회에서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는 동안 30권의 저서 출판과 국내외 100여 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했다.

 

뿐만 아니라, 실용적인 학문분야 전문가로서 지역현장에서의 기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 경북도 등 정부기관의 현안에 대한 자문 및 심의 위원으로 참여하면서 영남권 신공항 유치’, ‘경상북도 도청이전 등 지역현안사업 관련 연구논문에도 다수 참여했다.

 

시상식은 119일 경북도청 본관 다목적실에서 열릴 예정이다.

 

경상북도 김상철 문화관광체육국장은 경북 문화의 보존과 창조적 계승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문화예술을 선도해 나갈 인재 발굴과 육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경북도는 지역문화예술의 발전과 문화예술인들의 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31 올 추석엔 우리쌀로 만든 전통음식을 함께 먹어요  2022.09.10 49
430 그린에너지 시대, 경상북도 탄소중립 대전환 모색  2023.03.16 49
429 경북도, (M)뭐든 (Z)좋아! 쇼츠 영상 공모전 개최  2023.05.08 50
428 경북도, 국토부와 신규 국가산단 성공조성 및 지역발전 협력 논의  2023.06.27 50
427 경제 경북도, 해양문화 활성화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한다  2020.12.11 50
426 깍지벌레 월동 생존율 높아... 감나무 생육초기 방제 필요  2021.03.05 52
425 포항시 구항에‘첨단 해양산업 R&D센터’들어선다.  2021.02.17 52
424 경북도청 신도시에 ‘자율주행자동차’달린다!  2023.06.28 53
423 경북 차세대 배터리 리싸이클링 규제자유특구 4년 성과 한눈에  2023.06.28 53
422 ‘민선8기 경상북도 1년의 성과와 미래’정책 포럼 개최  2023.06.28 54
421 경북도, 사람 냄새 나는 현수막으로 귀성객 맞이  2023.01.17 54
420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이웃사랑 행복나눔 실천  2021.03.05 57
419 경북 포항 연안, 무해성 적조 생물 녹티루카종 출현  2021.06.11 57
418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성공적 마무리  2023.04.10 57
417 경북도, 대형장비 활용한 「디지털바이오」거점 조성 앞장선다  2023.05.04 57
416 문화 대한민국 특정도서 제1호 독도의 연체동물 전 세계에 소개  2020.11.06 57
4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한채민 연구사‘신진과학자상’수상  2021.05.14 58
414 CES2023 경상북도관 성공적 운영  2023.01.17 58
413 경북도, 일본식 지명 싹 갈아 치운다  2023.01.17 58
412 경제 경북도, 산림부서장들의 산불현장 지휘역량 강화한다  2020.11.06 59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