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이웃사촌 시범마을 추진 2년차 맞아 추진성과와 발전방향 모색

- 주민 주도형 지식실현 공동체, 인구댐 전략 등 다양한 정책논의

 

 

 

경상북도는 10일 도청 다목적홀에서 이철우 도지사, 이웃사촌 시범마을 조성 특별위원, 경북대 문계완 교수, 토지주택연구원 이미홍 연구위원 등 각계 전문가와 시군 공무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웃사촌 시범마을 발전포럼을 개최했다.

 

이웃사촌 시범마을 발전포럼은 사업추진 2년차를 맞아 그 간의 추진성과와 문제점을 짚어 보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군위, 의성, 청송 등 지방소멸을 걱정하는 시군 공무원 40여명도 청년 창업모델, 주거시설 조성 등 이웃사촌 시범마을의 성공요인과 추진상의 문제점을 꼼꼼히 메모하는 등 객석의 열기도 뜨거웠다.

 

먼저 이웃사촌 시범마을 조성 기본계획 보고에서 경북대 문계완 교수는 농촌혁신의 문제점으로 정부지원의 약화 등 외생적 한계와 농촌의 낮은 동기부여, 주민 무력감 등 내생적 한계를 지적하고, 주민 주도형 지식 실현 공동체, 6차 산업 육성 등 제2의 새마을운동을 언급했다.

 

이어 토지주택연구원 이미홍 연구위원은 농촌 주요거점에 일자리, 주거환경 등 생활 SOC를 연계집약하는 강소 읍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역거점을 마련해 인구유출을 막는 인구댐을 만들 것을 주장했다.

 

경상북도 이석희 미래정책자문관의 주재로 이어진 토론에서 각 토론자들은 이웃사촌 시범마을의 일자리와 주거, 문화 복지 등 추진성과 분석과 앞으로의 과제 등에 대해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토론자로 나선 유정규 이웃사촌 지원센터장은 현장에서 느끼는 기존 주민과 유입청년들의 융화 문제에 주목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중간지원조직의 노력과 주민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백광호 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청년창업이 실패할 경우, 다시 도전할 수 있는 정책 대안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웃사촌시범마을조성 특위 위원들은 스마트팜 청년농부의 자립기반을 위한 농산품 유통체계마련과 농촌 초등교육 특성강화를 통한 인구유입, 문화축제를 통한 관광상품 개발 등 보다 현실적인 자문의견을 제시했다.

 

이웃사촌 시범마을 특별위원회 위원장을 겸하고 있는 이석희 경상북도 미래정책자문관은 민간참여가 어렵고 특히 많은 예산이 필요한 주거단지와 IT인프라 부분에서 기업과 잘 협력해온 점을 중요한 성공요인으로 평가했다.

 

한편, 경상북도와 의성군이 추진하는 이웃사촌 시범마을에는 스마트팜 청년 농업인 51명과 시범마을 일자리 사업, 도시청년시골파견제 청년 CEO 34명 등 다양한 사업으로 유입된 청년 160여명이 모여 새로운 삶을 가꾸고 있다.

 

모듈러주택, 쉐어하우스 등 청년 주거시설도 대부분 완공되어 입주를 기다리고 있으며, LH청년행복주택 140호도 내년 여름에 착공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안계행복플랫폼도 시장현대화, 도시재생과 함께 내년에 본격 추진되어 안계면 중심가 모습이 새롭게 바뀌게 될 전망이다.

 

더불어, 주민 스스로 가꾸는 골목정원, 유채와 밀이 어우러지는 안계평야 경관관광단지,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에너지자립마을 등 주민과 함께하는 관광 활성화 사업도 준비하고 있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민선7기 초기부터 추진한 이웃사촌 시범마을 조성 사업이 2년간 숨 가쁘게 달려왔다. 이제는 중앙부처, 정부위원회 등 많은 기관이 벤치마킹 할 정도로 전국적인 모범 사례가 됐다면서, 앞으로 도 차원의 역량을 집중해 사라지는 농촌을 살아나는 농촌으로 만들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891 경북도, 식품안전지킴이 역량 강화 나서...  2021.12.07 8
890 경북도, 지역별 맞춤 지원으로 농업에 활력  2021.12.13 8
889 경북도 정책자문위원회, 동해안발전분과 화상회의 개최  2021.04.20 8
888 경북도, 2021년 치매극복관리사업 성과대회 개최  2021.12.15 8
887 경북도, 내수면 토속어류 산업화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1.12.15 8
886 선물 사고, 건강 챙기고...서울서 경북 우수가공품 홍보  2021.12.17 8
885 경북도, 산사태 피해지 복구사업 완료!  2021.12.17 8
884 경북도, 임하댐 수상태양광 전국 최초 신재생에너지 집적화단지 선정  2021.12.16 8
883 경북 동해안 인구감소,‘청년’에게 답을 구하다  2021.12.16 8
882 경제 봉화 소천면, 봉성면 집중호우 특별재난지역 선포  2020.08.25 8
881 사회 신임 소방행정자문위원 임명장 수여... 위원장에 연규식 단장 임명  2020.08.25 8
880 경제 경북도 산하기관 경영실적 평가... 청소년진흥원 최고 성적  2020.08.27 8
879 경제 경북도, 61년 역사의 쌍용양회 문경공장 일대 활력 불어넣다!!  2020.08.28 8
878 경제 경북 동해안권 해양수산 분야 지속 발전방안 찾는다  2020.08.28 8
877 경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마침내‘군위 소보․의성 비안’선정!  2020.08.28 8
876 사회 경북소방, 태풍 대비 긴급 상황판단회의... 선제적 대응 나서  2020.09.02 8
875 경제 태풍 마이삭 북상.. 농작물 피해방지 사전대응 철저 당부  2020.09.02 8
874 사회 경북도, 전국 최초 비대면 원격화상 감사 실시  2020.09.02 8
873 교육 경상북도 공무원, 징계 걱정없이 적극행정 펼친다  2020.09.07 8
872 사회 프로텍티브 패브릭스(주) 경북도에 친환경 방호복 300벌 기부  2020.09.08 8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