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저소득 위기가구 383천가구에 재난긴급생활비 2,221억원 지급 -

 

 경상북도는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해 소득감소 등으로 위기상황을 겪고 있는 383천 가구(도 전체 가구의 31%)에 대하여 선별적으로 신속하게경상북도 재난 긴급생활비’2,221억 원을 지원했다.

 

지원대상은 소득기준과 재산기준을 함께 적용한 소득인정액(기준중위소득 85%이하)을 기준으로 하였다.

 

소득인정액은 최근 3개월 상시근로 평균소득, 농어업소득, 사업소득 등 공적자료와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하여 산정하였다.

*기본재산액 중소도시 118백만원, 농어촌 101백만원 공제, 재산의 소득환산율 월4.17%

 

이를 토대로 산정한 가구당 소득기준은 1인 가구 1,494천원, 2인 가구 2,543천원, 3인 가구 3,290천원, 4인 가구 4,037천원, 5인 가구 4,784천원 이하에 해당한다.

 

지원액은 1인가구 50만원, 2인가구 60만원, 3인가구 70만원, 4인이상 가구 80만원까지 차등지원 하고, 지원방법은 지역사랑상품권, 온누리상품권, 선불카드 등으로 지급하였다. 이는 도내 코로나19 취약계층의 생활안정과 소상공인들의 경제회복에 큰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기초생활수급자, 긴급지원사업 대상자, 실업급여 대상자 등 기존 정부지원 대상가구와 공무원, 공공기관 임직원, 교직원, 직업군인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여 중복수혜를 지양하고, 코로나19로 생활이 급격하게 어려워진 위기가구를 선별하여 긴급지원 하였다.

금년에는 코로나19의 장기화에 따라 어려움을 겪는 도민들을 더욱더 면밀히 살피고 신속 지원하기 위해 한시적으로 완화된 기준을 적용하여 114억 원의 예산을 마련하여 긴급복지지원제도를 적극 운영 중이다.

 

지원대상은 실직, ·폐업, 질병·부상으로 소득이 감소되어 생활이 어려운 기준중위소득 75%이하 가구(4인가구 기준 3,658천원이하 소득), 4인 가구 기준 1,266천원 생계비를 최장 6개월까지 지원한다.

 

경상북도는 긴급복지지원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어려움을 겪는 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하고 신속히 지원하는데 행정력을 최대한 투입한다.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 지난해 경상북도 재난긴급생활비 지원 사업은 코로나19 여파로 어려움에 처한 취약계층에 대해 기준을 엄격히 적용하여 선별적으로 지원하였으며, 올해도 코로나19로 피해를 받고 있는 소상공인, 저소득 위기가구 등에 집중 지원하여 도민의 민생과 경제회복에 중점을 두고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611 이철우 경북도지사, 저출산 극복 챌린지 동참  2021.05.14 31
610 경북형 사회적경제 창업학교 참가자 모집  2021.05.14 31
609 경북도,‘너의 청춘을 응원해’청년지원사업 안내책자 발간  2021.05.14 32
608 경북농기원, 코로나19 일손부족 농가... 일손돕기 나서  2021.05.14 32
607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한채민 연구사‘신진과학자상’수상  2021.05.14 58
606 경북도 문화․관광 분야... 내년도 국비예산 잰걸음  2021.05.18 31
605 제2회 경북도 지역수자원관리위원회 3개 안건 심의  2021.05.18 31
604 코로나19 물렀거라... 우리는 숲에서 면역력 키워요!  2021.05.18 36
603 경북농기원, 성주군과 전략 작목 육성사업 업무협약  2021.05.18 31
602 이철우 도지사,“위기의 지방대학 살리기 힘 모으자”  2021.05.21 27
601 경북도,‘새바람 행복버스 성주군 현장 간담회’개최  2021.05.21 31
600 경북도, 배터리 규제자유특구 전국 최고 지역혁신사례 선정  2021.05.21 31
599 경북도, 조류 및 수질오염사고 대응 역량강화 교육 가져  2021.05.21 31
598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제4차 국가철도망 신규반영 촉구 공동건의  2021.05.25 27
597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 실시, 영주․문경 특별방역  2021.05.25 27
596 경북도, 클라우드 인프라 확충... 기업 활용도 높인다.  2021.05.25 28
595 경북도, 주한 베트남․포르투갈 대사관, 유럽상의 잇달아 방문  2021.05.25 35
594 대구・경북‘대중교통 광역환승시스템’공동 구축한다.  2021.06.08 23
593 경상북도, 탄소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포럼 개최  2021.06.08 15
592 경북도, 소상공인 온라인 역량강화 위해 팔 걷었다.  2021.06.08 15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