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떼배를 이용한 자연산 돌미역 채취방법 보전가치 인정 받아... -

 

경상북도는울진울릉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이 동해안권에서 최초로 국가중요어업유산(9)으로 지정받았다고 밝혔다.

 

국가중요어업유산은 어업인이 지역의 환경사회풍습 등에 적응하면서 오랫동안 형성시켜 온 유무형의 어업자원 중에서 보전할 가치가 있다고 인정하는 경우 해양수산부장관이 지정하는 제도로 2015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이번에 지정된 울진울릉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은 해양수산부 국가중요어업유산 자문위원회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통해 서류평가, 현장평가, 주민의견 청취 등 종합적인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역사성, 생태계보호, 주민참여 등 전반적인 부문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울진울릉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은 오동나무 등 통나무를 엮어 만든 떼배(뗏목)로 미역바위 군락까지 이동하여 미역을 채취운반하는 전통어업을 말한다. 울진울릉지역의 돌미역은 품질이 좋아 조선시대 왕실에 진상했다는 기록이 조선왕조실록과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에 남아 있을 정도로 유래가 깊다.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은 매년 음력 3~5월 사이 파고가 고요한 날에 이루어지며, 두 명이 한 조를 이뤄 떼배를 타고 미역바위 군락까지 이동해 한 사람은 창경(수경)을 들여다보면서 긴 낫으로 미역을 자르고, 다른 한 사람은 노를 잡고 낫 작업이 편리하도록 떼배를 움직인다. 채취한 돌미역은 떼배로 마을까지 운반하여 볕이 좋은 백사장의 미역발에 널어서 건조하고, 어촌계는 10~11월경 갯바위 닦기를 통해 품질 좋은 미역이 자랄 수 있도록 관리를 하고 있다.

 

국가중요어업유산으로 지정된 울진울릉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은 향후 3년간 총사업비 700백만원(국비 490, 지방비 210)을 지원받게 되어 전통 어업문화의 유지 및 보전방안 마련과 홍보마케팅브랜드 개발 등을 추진하게 된다.

 

한편, 경상북도의회 농수산위원회 남영숙 도의원은 국가중요어업유산지정과는 별도로 경상북도 농어업유산의 발굴과 효과적인 보전관리방안 등을 지원하기 위한 경상북도 농어업유산 보전 및 관리 조례를 대표 발의하여 전통적인 농어업유산 보전관리에 깊은 관심과 의지를 보여주었다.

 

이영석 경상북도 해양수산국장은스마트양식 등 첨단수산업을 추구해야하는 시대에 살고 있으나 우리의 전통어업 유산은 반드시 지켜야 하는 의무를 가지고 있어 이번 국가중요어업유산지정에 따른 보전계획수립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하고 도내 중요어업유산을 지속적으로 발굴보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2-1)때배_미역채취.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091 경북도, 미국 현지에서 200만불 수출협약 체결  2022.10.01 165
1090 경북도, 내년도 낙동강수계 기금 30억 확보  2022.11.12 164
1089 경북도, 물기업 지원 유관기관 협력기반 강화  2022.12.24 163
1088 경북도서관, 운영 효율화로 서비스 경쟁력 높인다  2022.11.05 161
1087 지황 재배농가의 판매처별 수익성 정보 제공  2022.11.05 160
1086 사회 아진산업(주) 서중호 대표, 119아이행복 돌봄터 도서 기증  2023.11.20 158
1085 대형산불 숨은 영웅들 산불진화 기량 겨뤄  2022.11.12 155
1084 경제 경북 농업대전환‘들녘특구’이모작 결실, 농업혁신 모델도 착착  2024.06.25 155
1083 경북도, 2022년도 시군 농정평가 결과 발표  2022.11.05 155
1082 사회 경북도,‘청년이 주도하는 빅블러 시대’주제... 국제 청년 메타버스 컨퍼런스 개최  2023.11.21 154
1081 사회 지역에 맞는 특화작목 발굴·육성으로 경북 농업 활로 개척  2023.11.20 154
1080 東京경북도민회 청년부 방문... 미래 든든한 후원자  2022.11.05 153
1079 경북 대표 관광상품 한자리에 모인다  2022.11.12 151
1078 푸르른 새마을 아래 꿈꾸는 청소년들의 글그림이야기  2022.10.23 151
1077 올 여름 휴가 최고의 축제여행 봉화로 떠나자  2022.07.29 150
1076 사회 경북소방본부, 2024년 수능 대비 비상대응태세 강화!!  2023.11.15 150
1075 사회 경북도, 임도시설 균형발전사업 우수사례 2년 연속 선정  2023.11.15 150
1074 2022 경북 e콘텐츠 놀이터 개막...게임산업 성과 한 눈에  2022.11.12 150
1073 한국을 넘어... 세계인이 인정한 경북의 전통유산  2022.11.05 150
1072 심폐소생술 교육, 가장 가까운 소방서에 문의 하세요  2022.11.12 149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