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쓰레기 매립장 및 폐기물 시설 화재 연평균 38.4% 증가 -

 

지난 1월 안동과 포항의 폐기물 매립장 화재에 이어 최근 구미에서도 화재가 발생하면서 악취와 유독성 연기로 인근 거주민들이 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염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경북소방본부에서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의 화재현황을 살펴본 결과, 도내 폐기물 관련 시설은 총 402개소가 있는데 화재는 2011년 이후 총 61건이 발생하여 매년 평균 38.4%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별로 구분 시, 폐기물 매립장에서 20건, 처리 시설에서 23건, 재활용 시설에서 18건이 발생했다.

 

화재 원인으로는 원인미상 14건(23%), 자연발화 13건(21.3%), 부주의 11건(18%), 기계적 요인 10건(16.4%) 순으로 나타났는데 원인미상 화재의 비중이 높은 이유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폐기물 더미를 분산하여 이동시키기 때문에 화재 패턴 및 발화지점 자체가 사라지며 혹여 남아있더라도 화재로 소실되어 어떤 물건이 있었는지 알 수가 없어 원인을 밝히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13건 중 9건이 매립장에서 발생하였는데 그 이유는 폐기물 더미를 일정 크기로 나눈 후 흙을 복토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는 방식으로 매립을 하기 때문에 사후 관리가 어려우며 외부에 노출되어 열과 습도의 영향을 크게 받아 자연발화에 유리한 조건이 쉽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13건 대부분은 10℃ ~ 24℃의 기온 및 50% 이상의 습도가 갖춰진 기상조건에서만 발생했다. 화재공학에서는 높은 습도는 열의 축적에 유리하여 일반화재와 반대로 습도가 높을수록 자연발화는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실제 화재도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 화재는 5월(10건)과 8월(9건)에 많이 발생했으며 계절에서도 가을(20건, 36.1%)과 여름(16건, 29.5%)에 주로 발생했으며 시간대와는 큰 연관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발화를 방지하기 위해선 폐기물 더미는 한 공간에 대량으로 쌓는 것을 피하고 열의 축척을 막기 위해 적절한 통풍과 낮은 습도의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24시간 감시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큰 피해를 막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인력 및 예산의 부족, 공간의 제한으로 인해 화재를 완벽히 방지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이며 지자체 및 관련 업체가 긴밀히 협조하고 화재예방‧대응대책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노력이 동반되어야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의 화재가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김종근 경북소방본부장은 “도내 폐기물 매립장과 처리 시설 화재로 인해 많은 도민들이 고통받고 있다. 우리 경북소방도 거듭된 연구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도민과 환경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10-1)폐기물_매립장_화재.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265 경제 경북도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선정... 그린 뉴딜 선도한다  2020.08.21 7
1264 경제 경북 청년, 네가 하고 싶은 거 해! 시즌2  2020.08.21 6
1263 경제 새로운 가치 치유농업, 농촌 힐링스페이스가 되다  2020.08.21 6
1262 사회 ‘경북형 우리가게 셀프클린UP’으로 위생업소 주도형 방역 확산  2020.08.21 6
1261 경제 경북 동해연안 수온상승 예상... 양식생물 관리 철저 당부!  2020.08.21 7
1260 문화 ‘2020 세계유산축전-경북’뜨거운 관심속 순항  2020.08.21 9
1259 경제 11번가․SK브로드밴드와 손잡고 경북 농특산물 온라인시장 확대  2020.08.21 6
1258 경제 경북도, 지자체 차원의 남북교류사업 철저히 준비한다  2020.08.21 6
1257 경제 강성조 행정부지사, 폭염․코로나 대비 경산․영천지역 현장점검  2020.08.21 6
1256 사회 8월 벌쏘임 사고 급증세! 벌쏘임 주의보 발령!  2020.08.21 6
1255 경제 대구․경북 자카르타 사무소, 현지 온라인 친구들 몰린다  2020.08.21 6
1254 사회 경북도,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속 사회복지이용시설 운영중단 기준 결정  2020.08.24 5
1253 경제 경북도, 통합신공항과 연계한 동해안권 발전전략 준비  2020.08.24 5
1252 경제 경북도,‘울릉도․독도의 맛’산업화․국제화 나선다  2020.08.24 5
1251 사회 경북도, 365일 24시간 정신질환자 응급대응에 총력  2020.08.24 5
1250 사회 경북소방본부,‘119아이행복 돌봄터’효과 톡! 톡!  2020.08.24 5
1249 사회 하회 구곡길,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함께 걸어요  2020.08.24 5
1248 경제 경북도,‘사회적기업 2차 일자리창출사업’참여기업 65곳 선정  2020.08.24 5
1247 경제 하대성 경제부지사, 비대면 취임식 후 현장으로...  2020.08.24 5
1246 사회 경북도, 코로나 재유행 대비해 생활치료센터 다시 문열어  2020.08.24 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6 Next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