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쓰레기 매립장 및 폐기물 시설 화재 연평균 38.4% 증가 -

 

지난 1월 안동과 포항의 폐기물 매립장 화재에 이어 최근 구미에서도 화재가 발생하면서 악취와 유독성 연기로 인근 거주민들이 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염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경북소방본부에서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의 화재현황을 살펴본 결과, 도내 폐기물 관련 시설은 총 402개소가 있는데 화재는 2011년 이후 총 61건이 발생하여 매년 평균 38.4%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별로 구분 시, 폐기물 매립장에서 20건, 처리 시설에서 23건, 재활용 시설에서 18건이 발생했다.

 

화재 원인으로는 원인미상 14건(23%), 자연발화 13건(21.3%), 부주의 11건(18%), 기계적 요인 10건(16.4%) 순으로 나타났는데 원인미상 화재의 비중이 높은 이유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폐기물 더미를 분산하여 이동시키기 때문에 화재 패턴 및 발화지점 자체가 사라지며 혹여 남아있더라도 화재로 소실되어 어떤 물건이 있었는지 알 수가 없어 원인을 밝히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13건 중 9건이 매립장에서 발생하였는데 그 이유는 폐기물 더미를 일정 크기로 나눈 후 흙을 복토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는 방식으로 매립을 하기 때문에 사후 관리가 어려우며 외부에 노출되어 열과 습도의 영향을 크게 받아 자연발화에 유리한 조건이 쉽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13건 대부분은 10℃ ~ 24℃의 기온 및 50% 이상의 습도가 갖춰진 기상조건에서만 발생했다. 화재공학에서는 높은 습도는 열의 축적에 유리하여 일반화재와 반대로 습도가 높을수록 자연발화는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실제 화재도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 화재는 5월(10건)과 8월(9건)에 많이 발생했으며 계절에서도 가을(20건, 36.1%)과 여름(16건, 29.5%)에 주로 발생했으며 시간대와는 큰 연관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발화를 방지하기 위해선 폐기물 더미는 한 공간에 대량으로 쌓는 것을 피하고 열의 축척을 막기 위해 적절한 통풍과 낮은 습도의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24시간 감시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큰 피해를 막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인력 및 예산의 부족, 공간의 제한으로 인해 화재를 완벽히 방지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이며 지자체 및 관련 업체가 긴밀히 협조하고 화재예방‧대응대책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노력이 동반되어야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의 화재가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김종근 경북소방본부장은 “도내 폐기물 매립장과 처리 시설 화재로 인해 많은 도민들이 고통받고 있다. 우리 경북소방도 거듭된 연구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도민과 환경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10-1)폐기물_매립장_화재.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71 사회 추석연휴 단계별 특별감시로 환경오염행위 사전 차단!  2020.09.21 5
70 축산×데이터·인공지능(AI) 융합프로젝트 본격 추진  2021.12.21 6
69 경제 측정분석기관 숙련도 평가에서 경북보건환경연구원‘적합’인증  2020.10.21 4
68 사회 치매 안심지역 경북, 코로나에도 치매돌봄 공백 최소화  2020.09.25 8
67 칠곡경찰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범죄·피해예방 교육 실시  2023.10.27 114
66 사회 코로나 방어 최일선 경북 생활치료센터에 응원 이어져  2020.09.04 11
65 경제 코로나 시대 경북 전통주도 드라이브 스루로~!  2020.10.12 7
64 코로나 이겨낸 경북 청년정책... 목표이행률 105% 달성  2021.12.20 5
63 사회 코로나 집단감염 대비 안전점검 실시.. 현장의 목소리 듣는다  2020.09.25 6
62 코로나19 국산백신의 새 시대, 경북바이오산단에서 열다  2022.09.03 78
61 사회 코로나19 극복! 어려울수록 더 강해지는 구미시!  2020.12.31 31
60 코로나19 물렀거라... 우리는 숲에서 면역력 키워요!  2021.05.18 36
59 코로나19 방역 최강...진드기 감염병 사업도 최고 경북  2022.12.10 213
58 사회 코로나19 재확산 방지를 위한 기부의 손길 이어져...  2020.09.02 9
57 교육 코로나를 이기는 늦깎이 배움의 즐거움... 경상북도 문해대전 개최  2020.11.05 10
56 경제 코로나블루, 산림치유에서 답을 찾자!  2020.10.07 8
55 쾌적한 공중화장실 깨끗하게 사용하세요  2022.08.28 74
54 클릭 한번으로 농업환경정보 다(多) 제공  2022.12.10 196
53 사회 탄소 중립 생활 실천 “명절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부터”  2024.02.07 246
52 태풍 대규모 피해...포항, 경주 특별재난지역 선포  2022.09.10 45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