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쓰레기 매립장 및 폐기물 시설 화재 연평균 38.4% 증가 -

 

지난 1월 안동과 포항의 폐기물 매립장 화재에 이어 최근 구미에서도 화재가 발생하면서 악취와 유독성 연기로 인근 거주민들이 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염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경북소방본부에서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의 화재현황을 살펴본 결과, 도내 폐기물 관련 시설은 총 402개소가 있는데 화재는 2011년 이후 총 61건이 발생하여 매년 평균 38.4%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별로 구분 시, 폐기물 매립장에서 20건, 처리 시설에서 23건, 재활용 시설에서 18건이 발생했다.

 

화재 원인으로는 원인미상 14건(23%), 자연발화 13건(21.3%), 부주의 11건(18%), 기계적 요인 10건(16.4%) 순으로 나타났는데 원인미상 화재의 비중이 높은 이유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폐기물 더미를 분산하여 이동시키기 때문에 화재 패턴 및 발화지점 자체가 사라지며 혹여 남아있더라도 화재로 소실되어 어떤 물건이 있었는지 알 수가 없어 원인을 밝히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13건 중 9건이 매립장에서 발생하였는데 그 이유는 폐기물 더미를 일정 크기로 나눈 후 흙을 복토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는 방식으로 매립을 하기 때문에 사후 관리가 어려우며 외부에 노출되어 열과 습도의 영향을 크게 받아 자연발화에 유리한 조건이 쉽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13건 대부분은 10℃ ~ 24℃의 기온 및 50% 이상의 습도가 갖춰진 기상조건에서만 발생했다. 화재공학에서는 높은 습도는 열의 축적에 유리하여 일반화재와 반대로 습도가 높을수록 자연발화는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실제 화재도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 화재는 5월(10건)과 8월(9건)에 많이 발생했으며 계절에서도 가을(20건, 36.1%)과 여름(16건, 29.5%)에 주로 발생했으며 시간대와는 큰 연관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발화를 방지하기 위해선 폐기물 더미는 한 공간에 대량으로 쌓는 것을 피하고 열의 축척을 막기 위해 적절한 통풍과 낮은 습도의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24시간 감시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큰 피해를 막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인력 및 예산의 부족, 공간의 제한으로 인해 화재를 완벽히 방지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이며 지자체 및 관련 업체가 긴밀히 협조하고 화재예방‧대응대책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노력이 동반되어야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의 화재가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김종근 경북소방본부장은 “도내 폐기물 매립장과 처리 시설 화재로 인해 많은 도민들이 고통받고 있다. 우리 경북소방도 거듭된 연구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도민과 환경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10-1)폐기물_매립장_화재.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631 인터불고CC 범도민 이웃사랑 행복나눔 기부금 전달  2021.04.23 17
630 막덮기 부직포로 날씨 걱정없는 고추농사  2021.04.23 30
629 감나무 초기 병해충 발생 빨라져 적기 방제 당부  2021.04.23 40
628 경북도, 10월까지 오존경보제 실시  2021.04.23 16
627 경북도, 수출일상화 사업으로 수출현장과 소통하다.  2021.04.23 16
626 ‘이웃사촌 시범마을’우리밀 현장 평가회 개최  2021.04.22 18
625 경북도,‘버들치’대량 생산 양식기술 개발 한다.  2021.04.22 20
624 경북도, 농번기 일손부족 해소... 국민참여형 일손돕기 추진  2021.04.22 18
623 연구중심 혁신도정 위한...‘안전경북 365포럼’본격가동  2021.04.22 13
622 경북도, 신재생에너지사업 해외시장 개척 박차  2021.04.22 15
621 이동안전체험차량 체험교육, 코로나에도 핫 뜨거워!  2021.04.21 11
620 경북 잠사곤충사업장,‘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지정  2021.04.21 11
619 경북도, 새바람 행복아카데미... 강연 통한 도민소통  2021.04.21 11
618 경북도, 정책자문위원회 지역개발분과위원회 개최  2021.04.21 11
617 경북 농특산물 쇼핑몰‘사이소’코로나19 뚫고 쾌속 질주  2021.04.21 11
616 경북도, 첨단생명공학 산학연 공동연구시설 준공  2021.04.21 11
615 경북소방, 대형공사장 화재안전관리 현장점검 실시  2021.04.20 22
614 경북농업기술원, 헴프 산업 발전을 위한 세미나 개최  2021.04.20 23
613 경북광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주민 취․창업 강화 나서  2021.04.20 10
612 경북도, 실전훈련으로 지진재난 대응능력 높인다!  2021.04.20 22
Board Pagination Prev 1 ...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