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쓰레기 매립장 및 폐기물 시설 화재 연평균 38.4% 증가 -

 

지난 1월 안동과 포항의 폐기물 매립장 화재에 이어 최근 구미에서도 화재가 발생하면서 악취와 유독성 연기로 인근 거주민들이 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염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경북소방본부에서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의 화재현황을 살펴본 결과, 도내 폐기물 관련 시설은 총 402개소가 있는데 화재는 2011년 이후 총 61건이 발생하여 매년 평균 38.4%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별로 구분 시, 폐기물 매립장에서 20건, 처리 시설에서 23건, 재활용 시설에서 18건이 발생했다.

 

화재 원인으로는 원인미상 14건(23%), 자연발화 13건(21.3%), 부주의 11건(18%), 기계적 요인 10건(16.4%) 순으로 나타났는데 원인미상 화재의 비중이 높은 이유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폐기물 더미를 분산하여 이동시키기 때문에 화재 패턴 및 발화지점 자체가 사라지며 혹여 남아있더라도 화재로 소실되어 어떤 물건이 있었는지 알 수가 없어 원인을 밝히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13건 중 9건이 매립장에서 발생하였는데 그 이유는 폐기물 더미를 일정 크기로 나눈 후 흙을 복토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는 방식으로 매립을 하기 때문에 사후 관리가 어려우며 외부에 노출되어 열과 습도의 영향을 크게 받아 자연발화에 유리한 조건이 쉽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13건 대부분은 10℃ ~ 24℃의 기온 및 50% 이상의 습도가 갖춰진 기상조건에서만 발생했다. 화재공학에서는 높은 습도는 열의 축적에 유리하여 일반화재와 반대로 습도가 높을수록 자연발화는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실제 화재도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 화재는 5월(10건)과 8월(9건)에 많이 발생했으며 계절에서도 가을(20건, 36.1%)과 여름(16건, 29.5%)에 주로 발생했으며 시간대와는 큰 연관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발화를 방지하기 위해선 폐기물 더미는 한 공간에 대량으로 쌓는 것을 피하고 열의 축척을 막기 위해 적절한 통풍과 낮은 습도의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24시간 감시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큰 피해를 막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인력 및 예산의 부족, 공간의 제한으로 인해 화재를 완벽히 방지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이며 지자체 및 관련 업체가 긴밀히 협조하고 화재예방‧대응대책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노력이 동반되어야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의 화재가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김종근 경북소방본부장은 “도내 폐기물 매립장과 처리 시설 화재로 인해 많은 도민들이 고통받고 있다. 우리 경북소방도 거듭된 연구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도민과 환경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10-1)폐기물_매립장_화재.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71 경제 경산지식산업지구에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 들어선다  2020.09.04 10
70 경제 김영화 경상북도 최고장인, 대한민국명장으로 선정  2020.09.03 13
69 경제 경북도 수출기업 심층조사... 자금지원과 해외판로 개척 확대 필요  2020.09.03 12
68 경제 경북도, 신공항 건설 연계 발전구상 밑그림 본격 구체화  2020.09.03 10
67 문화 이육사기념사업회 이옥비 이사, 올해의 경북여성 선정  2020.09.03 10
66 경제 경북도, 롯데슈퍼와 손잡고 지역 농특산물 판로 넓힌다!  2020.09.03 10
65 경제 이철우 도지사, 밤새 태풍피해 걱정했던 영덕 강구 찾아...  2020.09.03 9
64 경제 영덕 강구시장 도시재생으로 침수피해 근본대책 마련해야...  2020.09.03 10
63 사회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혈관숫자 꼭 알아두세요!  2020.09.02 9
62 사회 코로나19 재확산 방지를 위한 기부의 손길 이어져...  2020.09.02 9
61 경제 경북도, 혁신원자력 연구단지 활성화 전략 수립에 나선다!  2020.09.02 9
60 경제 경북도, 마을형 퇴비자원화지원 공모사업 3개소 선정  2020.09.02 9
59 사회 경북도, 전국 최초 비대면 원격화상 감사 실시  2020.09.02 8
58 경제 태풍 마이삭 북상.. 농작물 피해방지 사전대응 철저 당부  2020.09.02 8
57 사회 경북소방, 태풍 대비 긴급 상황판단회의... 선제적 대응 나서  2020.09.02 8
56 경제 경북도, 통합신공항 이전 예정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2020.09.02 11
55 사회 수상 안전지킴이!! 119시민수상구조대 임무 완수!!  2020.09.01 10
54 경제 한가위 선물은‘사이소’에서 판매하는 경북 농산물이 딱이네!  2020.09.01 7
53 경제 경북도, K-방역제품 해외인증 취득비 지원으로 수출길 활짝  2020.09.01 7
52 경제 경북도, 내년도 국비건의 4조8561억원 정부예산안 반영  2020.09.01 7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