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쓰레기 매립장 및 폐기물 시설 화재 연평균 38.4% 증가 -

 

지난 1월 안동과 포항의 폐기물 매립장 화재에 이어 최근 구미에서도 화재가 발생하면서 악취와 유독성 연기로 인근 거주민들이 생활에 불편을 겪고 있으며 건강에 대한 염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경북소방본부에서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의 화재현황을 살펴본 결과, 도내 폐기물 관련 시설은 총 402개소가 있는데 화재는 2011년 이후 총 61건이 발생하여 매년 평균 38.4%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별로 구분 시, 폐기물 매립장에서 20건, 처리 시설에서 23건, 재활용 시설에서 18건이 발생했다.

 

화재 원인으로는 원인미상 14건(23%), 자연발화 13건(21.3%), 부주의 11건(18%), 기계적 요인 10건(16.4%) 순으로 나타났는데 원인미상 화재의 비중이 높은 이유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폐기물 더미를 분산하여 이동시키기 때문에 화재 패턴 및 발화지점 자체가 사라지며 혹여 남아있더라도 화재로 소실되어 어떤 물건이 있었는지 알 수가 없어 원인을 밝히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13건 중 9건이 매립장에서 발생하였는데 그 이유는 폐기물 더미를 일정 크기로 나눈 후 흙을 복토하는 과정을 수차례 반복하는 방식으로 매립을 하기 때문에 사후 관리가 어려우며 외부에 노출되어 열과 습도의 영향을 크게 받아 자연발화에 유리한 조건이 쉽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자연발화로 인한 화재 13건 대부분은 10℃ ~ 24℃의 기온 및 50% 이상의 습도가 갖춰진 기상조건에서만 발생했다. 화재공학에서는 높은 습도는 열의 축적에 유리하여 일반화재와 반대로 습도가 높을수록 자연발화는 더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기술하고 있으며 실제 화재도 습도가 높은 조건에서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 화재는 5월(10건)과 8월(9건)에 많이 발생했으며 계절에서도 가을(20건, 36.1%)과 여름(16건, 29.5%)에 주로 발생했으며 시간대와는 큰 연관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발화를 방지하기 위해선 폐기물 더미는 한 공간에 대량으로 쌓는 것을 피하고 열의 축척을 막기 위해 적절한 통풍과 낮은 습도의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24시간 감시체계를 구축하는 것도 큰 피해를 막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인력 및 예산의 부족, 공간의 제한으로 인해 화재를 완벽히 방지하기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 보이며 지자체 및 관련 업체가 긴밀히 협조하고 화재예방‧대응대책 연구 등 다양한 분야의 노력이 동반되어야 폐기물 매립장 및 처리 시설의 화재가 해결될 것으로 보인다.

 

 

김종근 경북소방본부장은 “도내 폐기물 매립장과 처리 시설 화재로 인해 많은 도민들이 고통받고 있다. 우리 경북소방도 거듭된 연구를 통해 해결방안을 모색하여 도민과 환경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10-1)폐기물_매립장_화재.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71 ‘영덕 괴시마을’국가민속문화재 지정 예고  2021.05.04 23
70 문화 ‘여행 그 자체 경북’서울국제관광박람회 참가...  2020.11.05 39
69 경제 ‘어머! 이건 꼭 먹어야해’ 우수 농산물가공제품 한권에 담아  2020.09.28 4
68 경제 ‘실라리안’과 함께 몸도 마음도 넉넉한 추석 보내세요!  2020.09.15 4
67 경제 ‘사람 내음 가득한 경북’청년이 함께 만듭니다.  2020.09.29 3
66 ‘보이소 TV’지자체 최초 유튜브 인증 배지 획득  2021.02.25 40
65 ‘민선8기 경상북도 1년의 성과와 미래’정책 포럼 개최  2023.06.28 54
64 경제 ‘민생․경제투어’첫 방문지로 경북 찾은 정 총리  2020.11.02 4
63 사회 ‘도민의 안전, 행복한 경북’119가 함께 하겠습니다  2020.11.11 65
62 경제 ‘대구경북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 출범!!  2020.09.21 4
61 ‘경상북도 청년통계’로 청년맞춤형 정책 기반 마련  2021.01.22 22
60 사회 ‘경상북도 동부청사’포항시 북구 흥해읍으로 청사 이전  2024.06.25 16
59 교육 ‘경북도립대 산학협력 학생참여단’힘찬 출발!  2020.09.23 7
58 사회 ‘경북 클린안심 방역단’특별운영으로 코로나 선제적 대응  2020.08.26 12
57 문화 ‘경북 독립유공자 후손 집고치기’1호집 멋지게 바꼈네!  2020.09.29 3
56 문화 ‘가야고분군’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신청 대상 선정  2020.09.11 6
55 문화 ‘Yes We Can 콘서트 in 경북’온라인 개최!  2020.11.02 9
54 문화 ‘2020 세계유산축전-경북’뜨거운 관심속 순항  2020.08.21 9
53 경제 NS홈쇼핑! 코로나 의료진도 돕고, 청년 농업인도 돕는다!  2020.09.28 3
52 사회 NH농협, 경북지역 태풍피해 극복에 2억원 쾌척  2020.09.10 503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