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3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중기부 규제자유특구 2주년 포럼, 전국 24개 특구 중 우수사례 발표 영광 -

- 전국 최대 투자 유치(5,522), 운영성과평가 2년 연속 우수 등 성공안착 -

 

경상북도는 지난 20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열리는규제자유특구 시행 2, 향후 발전방안 포럼에 경북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사업이 전국 24개 규제자유특구 중 우수사례로 선정되어 발표했다고 밝혔다.

 

오프라인(50) :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권칠승), BH 중소벤처비서관(이병헌), 지자체(경북, 강원), 중기부, 중기연, 중진공 등

경북도 발표(10) : 장상길 과학산업국장, ‘경북 차세대 배터리 성과

비대면(100) : 14개 지자체, 참여기업, 전문가 및 정책관계자 등

 

 

이번 포럼은 규제자유특구 2주년*을 맞아 규제자유특구 주관부처 권칠승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청와대 이병헌 중소벤처비서관이 참여하고 이외 관계부처기관, 지자체, 참여기업, 전문가 등 범 규제자유특구 관계자들이 모두 참여한 가운데 특구 출범 의미를 공유하고 향후 제도 발전방향에 대한 공론의 장을 마련할 목적으로 열렸다.

*중소벤처기업부 규제자유특구기획단 출범(‘19.5.21) 기준

 

중기부에서 규제자유특구 2년간의 발자취에 대해 먼저 소개하고, 이어서 지자체(경북, 강원)의 특구 우수사례 발표를 하며, 중장기 발전방안 및 안착화 방안에 대한 주제발표, 그리고 전문가 패널이 참여한 주제토론으로 진행되었다.

 

이날 경북도의 사례발표에서는 경북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의 성과와 성공요인이라는 주제로 추진배경, 그간 추진경과, 세부 사업구조, 기업 투자유치 성과, 후속 정책 사업을 통한 향후 추진전략 등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경북 배터리 특구는 전기 차의 사용 후 배터리 발생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도 재사용과 재활용에 대한 기준이 부재하여 산업화가 어려운 점에 주목하였는데, 사용연한이 도래한 전기 차의 사용 후 배터리를 ESS 등으로 재사용 및 희유금속 추출을 위한 재활용을 실증하는 사업이다.

 

2019년 지정당시 6개에서 현재 12개 특구기업으로 확대되었으며, 이제는 특구기업 외에도 크고 작은 배터리 소재 기업들이 규제자유특구 일원으로 계속 모이고 있다. 기업유치는 대통령이 참석한 GS건설 1,000억 원 투자를 시작으로 이차전지 소재분야 전반의 투자로 이어지고 있는데, 에코프로, 포스코케미칼, 뉴테크엘아이비 등 총 5,522억 원의 민간투자로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가시적 성과들로 지난 2월에 있었던 국무조정실 규제샌드박스 2주년 성과보고회와 이번 중소벤처기업부 규제자유특구 2주년 포럼에서도 대표 사례로 발표하게 되었고, 최근 운영성과평가에서는 2년 연속 최고 평가등급(우수)을 획득하는 등 규제자유특구 제도시행 2년 후 제도안착에 크게 기여한 가장 성공적인 특구모델로서 공식 인정받고 있다.

 

이제 배터리 특구는 기업 투자유치에서 더 나아가 그린 뉴딜 사업과 연계한 후속 정책 사업을 통해 한 단계 더 도약할 준비를 하고 있다. 우선 특구 내 유치한 영남권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를 통해 사용 후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6월 준공되는 경북 이차전지종합관리센터는 성능평가 및 등급분류를 수행하는 센터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환경부의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 클러스터 구축사업을 통해 이를 산업전반에 확산시켜 나갈 복안이다.

 

여기에 중장기 과제로 추진 중인 산업부의 고성능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기술개발 예타 사업까지 성공한다면 경북 포항은 기존 철강 산업에 이어 차세대 이차전지 거점선도도시로서 국가경제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규제자유특구의 성과가 있기까지 경상북도는 4차 산업기반과(ICT융합산업팀)를 전담부서로 지정하고, 전국 최초로 테크노파크에 규제혁신센터를 설치하여 업무에 전문성을 기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중기부, 환경부, 산업부 등 소관부처와 유기적 협력관계를 구축하고 2년간 수백차례에 달하는 회의, 현장방문, 기업 간담회, 포럼 등을 개최하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그 결과 2019년에는차세대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를 지정받아 동부지역(포항)을 이차전지 산업메카로 발전시켰고, 2020년에는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를 지정받아 북부지역(안동) 바이오 산업발전의 외연을 확장시켰으며, 2021년 상반기에는스마트 그린물류 규제자유특구를 지정받아 서부지역(김천) 물류산업 국가전략특구로 중점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를 통해 경상북도는 권역별 대표 산업도시에 혁신거점이 생기게 되어 시너지 효과를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이철우 경상북도지사는경북의 규제자유특구는 수도권 중심에서 벗어나 규제혁신을 통해 지역혁신성장을 이루고자 하는 지방의 절박함이 묻어나는 핵심 브랜드 사업이다, “이제 경북의 기업에게 규제는 제약이 아니라 기회이다. 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던 산업이 경북에서 꽃피울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4-1)규제특구_포럼.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31 올 추석엔 우리쌀로 만든 전통음식을 함께 먹어요  2022.09.10 49
430 그린에너지 시대, 경상북도 탄소중립 대전환 모색  2023.03.16 49
429 경북도, (M)뭐든 (Z)좋아! 쇼츠 영상 공모전 개최  2023.05.08 50
428 경북도, 국토부와 신규 국가산단 성공조성 및 지역발전 협력 논의  2023.06.27 50
427 경제 경북도, 해양문화 활성화 위한 중장기 계획 수립한다  2020.12.11 50
426 깍지벌레 월동 생존율 높아... 감나무 생육초기 방제 필요  2021.03.05 52
425 포항시 구항에‘첨단 해양산업 R&D센터’들어선다.  2021.02.17 52
424 경북도청 신도시에 ‘자율주행자동차’달린다!  2023.06.28 53
423 경북 차세대 배터리 리싸이클링 규제자유특구 4년 성과 한눈에  2023.06.28 53
422 ‘민선8기 경상북도 1년의 성과와 미래’정책 포럼 개최  2023.06.28 54
421 경북도, 사람 냄새 나는 현수막으로 귀성객 맞이  2023.01.17 54
420 경북 포항 연안, 무해성 적조 생물 녹티루카종 출현  2021.06.11 55
419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이웃사랑 행복나눔 실천  2021.03.05 57
418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성공적 마무리  2023.04.10 57
417 경북도, 대형장비 활용한 「디지털바이오」거점 조성 앞장선다  2023.05.04 57
416 문화 대한민국 특정도서 제1호 독도의 연체동물 전 세계에 소개  2020.11.06 57
415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한채민 연구사‘신진과학자상’수상  2021.05.14 58
414 CES2023 경상북도관 성공적 운영  2023.01.17 58
413 경북도, 일본식 지명 싹 갈아 치운다  2023.01.17 58
412 경제 경북도, 산림부서장들의 산불현장 지휘역량 강화한다  2020.11.06 59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