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5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포항 월포 ~ 영일만항 간헐적 발생, 수산생물 영향 없는 무독성 첫 발생 -

 

경상북도 환동해지역본부 어업기술센터는 높은 일사량의 영향으로 무해성 와편모 조류인 녹티루카 신틸란스(Noctiluca scintillans) 적조가 포항시 연안을 중심으로 발생했다고 밝혔다.

 

녹티루카 신틸란스(Noctiluca scintillans)는 매년 봄철가을철에 연안을 중심으로 대번식하며, ‘야광충이라고 불리는 1남짓한 플랑크톤의 일종으로 어패류 등 수산생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녹티루카 신틸란스(Noctiluca scintillans)는 해양 와편모 조류로 길이 1502,000μm, 1502,000μm로 다른 적조생물에 비해 크기가 크고, 세포벽은 2층의 젤라틴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 종은 전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부영양화(富營養化)일어난 수역에서 수온 2122, 염분 2832일 때 잘 서식한다. 적조 발생시 수색은 토마토쥬스 색깔을 나타내나 쇠퇴기에는 황갈색이나 백색을 나타내는 발광 플랑크톤이다.

 

경북도는 올해 처음으로 경북 동해 연안에 나타난 무해성 녹티루카종 적조 생물의 출현은 최근 지속된 높은 일사량 등 플랑크톤 번성에 적합한 조건으로 대량 발생한 현상이며,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환동해지역본부 이영석 해양수산국장은 현재 발생한 녹티루카 적조는 수산피해를 일으키지 않는 무해성 적조로, 수산피해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나 바닷물을 여과하여 이용하는 시설에는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를 당부한다고 했다.

(4-1)녹티루카_신탈란스.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422 경북도청 신도시에 ‘자율주행자동차’달린다!  2023.06.28 53
421 경북 차세대 배터리 리싸이클링 규제자유특구 4년 성과 한눈에  2023.06.28 53
420 ‘민선8기 경상북도 1년의 성과와 미래’정책 포럼 개최  2023.06.28 54
419 경북도, 사람 냄새 나는 현수막으로 귀성객 맞이  2023.01.17 54
418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이웃사랑 행복나눔 실천  2021.03.05 57
417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성공적 마무리  2023.04.10 57
416 경북도, 대형장비 활용한 「디지털바이오」거점 조성 앞장선다  2023.05.04 57
415 문화 대한민국 특정도서 제1호 독도의 연체동물 전 세계에 소개  2020.11.06 57
414 경상북도농업기술원 한채민 연구사‘신진과학자상’수상  2021.05.14 58
413 CES2023 경상북도관 성공적 운영  2023.01.17 58
412 경북도, 일본식 지명 싹 갈아 치운다  2023.01.17 58
411 경제 경북도, 산림부서장들의 산불현장 지휘역량 강화한다  2020.11.06 59
410 경북도-NH농협은행 경북본부 다문화가족 금융교육 지원협약 체결!  2023.03.16 59
409 경북도·포항시 이차전지 소재분야 대규모 투자협약 체결  2023.05.04 60
408 방사청-경북도-구미시 방산혁신클러스터 구축 업무협약  2023.06.05 60
407 경상북도 도립예술단 이전 건립 설계공모 당선작 선정  2023.05.03 61
406 나라셀라, 경북에 안동소주 생산라인 구축한다  2023.05.03 61
405 경북도-에티오피아, 우호교류 협력 확대 방안 논의  2023.06.29 62
404 교육 환동해를 해양문화․교육 메카로!... 해양문화포럼 개최  2020.11.06 62
403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테크노파크로 첫 삽 뜨다!  2023.04.05 63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