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21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18일 경북대 글로벌플라자에서 동북아 3국의 입장과 대응 논리 모색 -

 

경상북도는 대한정치학회(회장 경북대 이정태교수),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회장 계명대 이성환교수)와 공동으로 18일 경북대학교 글로벌플라자에서 동북아 해양영토분쟁의 기원과 쟁점을 주제로 국제학술대회를 열었다.

 

이날 학술대회는 일본을 둘러싸고 동북아 3국이 안고 있는 해양영토분쟁의 기원과 쟁점을 집어보고 각국의 대응 논리를 분석하는 자리였다.

 

1섹션에서는 중국의 댜오위다오 정책, 2섹션에서는 대한민국의 독도의 위상과 전략, 3섹션에서는 일본을 둘러싼 해양영토문제 독도, 남쿠릴열도, 댜오위다오(센카쿠제도)에 대한 일본의 입장과 각국의 대응에 대해 논의했다.

 

코로나19의 상황 속에 방역지침을 준수하여 발표자, 토론자, 관계자 등 최소인원이 참석한 대면학술회의를 진행하고, 일반인은 온라인으로 참여했으며 유튜브 영상으로 송출하여 학술대회 내용을 공유할 수 있게 했다.

 

먼저 중국 절강상공대학 한국학연구소 인후(尹虎) 박사는 “2012년 일본이 댜오위다오의 국유화 추진으로 격화되었으며, 중국은 2018<해경법>을 반포하고 해경이 총기사용을 명시하면서 격화일로의 길을 걷고 있다댜오위다오 분쟁은 이미 중일 간의 영토 분쟁이라는 범위를 벗어나 미국과 일본이 중국의 부상을 억제하는 수단으로 전환되었다고 주장했다.

독도와 관련해서는 이성환 계명대교수는 일본 메이지정부의 태정관지령은 1699년 조선과 일본 사이에 성립한 울릉도쟁계합의(국경조약)의 추후관행(subse quent practice)으로서 국제법적 법적 효과를 지닌다또 일본은 태정관지령과 울릉도쟁계합의에 대해 지금까지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죽도외 일도(竹島外一島 울릉도와 독도)는 일본과 관계없다고 천명한 태정관지령과 울릉도쟁계합의는 지금까지 유효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이정태 경북대 교수의 중국회색지대전략에 대한 미국의 오판여수일 중국 위린사범대 교수의 독도문제 관한 중국 여론배규성 경희대 국제지역연구원의 남쿠릴열도 : 러시아의 입장과 독도에서의 함의이명찬 동북아재단의 미중 패권경쟁시대를 살아가는 일본의 센카쿠제도 전략신정화 동서대 교수의 센카쿠열도 갈동과 일본의 대중 안보전략이기완 창원대 교수의일본 아시아주의 속의 독도의 위상과 전략나승학 동명대 교수의러일전쟁 시기 일본의 독도 지리적 인식 고찰 : 군사 전략적 측면으로를 주제로 발표가 있었다.

 

이영석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이번 국제학술대회는 일본을 둘러싼 동북아 3국이 안고 있는 문제로 외연을 확대해 보는 의미있는 자리였으며, 일본이 각각 다른 태도로 입장을 취하고 있는데 이를 독도문제 대응 논리로 접목해 나가야 할 것이다경북도는 일본의 독도편입의 부당성과 역사왜곡을 차단하는데 힘써 나가겠다고 말했다.

(2-1)학술대회(1).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702 대한전문건설협회 경상북도회 범도민 이웃사랑 행복나눔, 성금 1,000만원 기부  2021.02.19 33
701 경북도, 코로나19로 어려운 민생경제 해법 찾아 현장으로  2021.02.19 33
700 ‘보이소 TV’지자체 최초 유튜브 인증 배지 획득  2021.02.25 40
699 경북도, 시대적 트렌드 반영... 우수농산물 인증브랜드 바꾼다.  2021.02.25 44
698 경상북도 해외자문위원, 도청에 친환경 전동차 기증  2021.02.25 41
697 경북도, 수출유관기관과 기업방문... 현장 목소리 듣는다.  2021.02.25 43
696 경북 민생 氣 살리러‘새바람 행복버스’가 달린다!  2021.03.03 34
695 이철우,“대구경북 통합해 세계와 경쟁하는 과감한 구상 필요”  2021.03.03 36
694 경북소방, 구급상황관리센터 심폐소생술 교육... 전국 확대 보급  2021.03.03 39
693 대구경북 산학연 역량 융합... 지역혁신플랫폼 구축 시동  2021.03.04 49
692 경북도․구미시, 구미 국가산단 내 3개 기업과 투자협약 체결  2021.03.04 47
691 하대성 경제부지사, 철도·도로 SOC 확충에 전력  2021.03.04 40
690 경북도, 파격적 관광마케팅 추진... 관광으로 민생살리기 총력  2021.03.04 39
689 경북도, 농번기 일손지원... 선제적 인력공급 추진  2021.03.04 40
688 경상북도의 고유한 특성 지닌 관광기념품 공모 한다.  2021.03.05 41
687 깍지벌레 월동 생존율 높아... 감나무 생육초기 방제 필요  2021.03.05 52
686 경북문화관광공사, 범도민 이웃사랑 행복나눔 기부 참여  2021.03.05 45
685 한국농어촌공사 경북지역본부, 이웃사랑 행복나눔 실천  2021.03.05 57
684 2021 전국체전, 이색! 특색! 경기종목... 재미 더한다.  2021.03.11 67
683 울진・울릉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 동해안권 최초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  2021.03.11 49
Board Pagination Prev 1 ...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