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대기업 유통업체의 지역기여도 평가결과 발표

현대백화점 지역기여도 Best업체로 선정, 대구시장 표창 받아

 

대구시는 대기업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지역기여도 평가결과를 발표하고 유통업 상생협력 방안 토의를 위해 71() 시청별관 대회의실에서 14회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를 개최했다.

 

대구시는 2012년 전국 최초로 지역에 진출한 대기업 유통업체의 지역기여도 평가제를 도입해 매년 대기업 유통업체의 지역기여도 평가결과를 발표하고 대구시 대·중소 유통업체의 상생발전 방안을 위한 현안을 토의하기 위해 제14회 유통업상생발전협의회를 개최했다.

 

대기업 유통업체 지역기여도 실적 점검 대상인 8개 사 32개 점포의 2020년 추진실적 자료 및 현장점검 결과를 토대로 지역 금융 이용, 지역 제품 매입, 지역 인력 고용, 지역사회 환원 등 가이드라인에 따라 10개 분야에 대해 평가했다.

백화점 등 : 롯데(4), 이랜드리테일(6), 현대, 신세계

대형마트 : 롯데마트(2), 이마트(7), 코스트코(2), 홈플러스(9)

 

2020년 지역기여도 평가 결과 코로나19 확산으로 대기업유통업체 전체 매출은 2019년 대비 10% 정도 감소했으나, 지역 제품 매입비율(11.4%12.5%)과 지역 인력 고용 비율(98.2%98.4%)만 소폭으로 증가했으며, 지역 금융 이용, 지역 용역 발주 실적, 영업이익 사회환원 기부액, 지역 제품 판로 확대를 위한 기획전 개최 횟수 등 나머지 항목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금융이용(정기예금 1,046억원1,046억원, 평균잔액 492.9억원327.6억원, 지역 법인카드 이용 가점 : 현대, 신세계백화점, 홈플러스), 지역 제품 매입(11.4%12.54%), 용역발주(60.5%58.3%), 인쇄물발주(95.3%91.9%), 지역 우수 제품 입점(707561), 지역 인력 고용(98.2%98.4%), 지역 상품판로확대(기획전 322289), 지역 사회환원(80.61억원66.92억원), 지역 상품 상설매장 설치 면적은 54개 업체 4,781, 공익참여 및 상생협력 실적은 총 24513.19억원 지원

 

하지만, 대구지역 코로나 확진자 급증에 따른 마스크 대란 당시 대형 유통업체가 대량으로 물량을 확보해 공급했으며, 보건소와 의료봉사단, 생활치료센터에 구급식량 및 생필품을 전달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공익활동을 추진해 왔으며, 독거노인 도시락 배달, 희망배달 마차, 소방관과 경찰관 자녀 및 저소득층 장학금 전달 등 비대면 사회공헌활동도 적극 추진했다.

 

한편, 2020년 지역기여도 평가결과 현대백화점이 베스트(Best)기업으로 선정돼 김창섭 현대백화점 대구점장이 대구시로부터 유통업 상생발전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표창장을 받았다. 현대백화점은 지역 법인카드를 사용해 출장 교통비를 처리하는 등 지역 금융 이용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으며, 용역발주와 인쇄발주를 100% 지역업체와 계약하고, 사회환원 기부액도 21.6억원으로 가장 많이 하는 등 다수의 평가항목에서 최고점을 받았다.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시민들 모두 방역 피로감이 누적되어 있으며, 온라인쇼핑 트렌드 확산 등으로 오프라인 유통업체들이 어려운 상황으로, 지역의 전통시장과 소상인, 대형유통업체 모두가 소통과 화합을 통한 상생협력만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며, 대구시도 지역기여도 제고를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IMG_3460.JPG

 

김창섭 현대백화점 대구점장(좌), 홍의락 경제부시장(우).JPG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147 버스 타고 오감만족 군위여행 대구광역시 군위군 시티투어 테마노선 본격 운영 file 2023.06.15 76
1146 「제3회 대구여성 창업스타전」도전,“이젠 나도 CEO!” file 2023.06.14 80
1145 세계 최초 AI기반 자율주행 서빙로봇을 개발한 美 베어로보틱스社, 대구에 대규모 투자! file 2023.06.14 72
1144 6월은 1기분 자동차세 납부의 달! 2023.06.14 69
1143 광역지자체 최초, 대구광역시 누리집 전자점자 서비스 개시 file 2023.06.13 74
1142 대구광역시, 2023 데이터 중심도시 대구 컨퍼런스 개최 file 2023.06.13 67
1141 「제36회 대구 베이비&키즈 박람회」 대구시 출산정책홍보관 운영 file 2023.06.13 65
1140 「대구광역시 노인복지대상」수상 후보자를 찾습니다! 2023.06.12 71
1139 대구-히로시마 대표단 공식교류 본격 재개에 나서, 2023 히로시마 플라워페스티벌 방문 file 2023.06.12 66
1138 대구주행시험장 자율주행 레벨4단계 시험 가능토록 고도화 file 2023.06.12 70
1137 소재부품장비 기술지원사업 선정 file 2023.06.08 82
1136 대구광역시, UAM분야 R&D사업 기업 참여방안 설명회 개최 file 2023.06.08 79
1135 4차순환도로 개통 후 1년, 도심 교통량 분산 효과 뚜렷 2023.06.08 80
1134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메타버스 사업의 일환으로 대구관광명소 앞산전망대 XR망원경 설치 운영 시작! file 2023.06.07 88
1133 환경도시 대구, 시민의 친환경 생활실천으로 가능해요 file 2023.06.07 81
1132 대구시립국악단 209회 정기연주회 <전통의 향기> 개최 file 2023.06.05 48
1131 대구大邱에서 만나자 -1910년대 광복光復을 꿈꾼 청년靑年들-’ 2023년 대구근대역사관 특별기획전 개최 file 2023.06.05 51
1130 대구예술발전소,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와 교류전 개최 file 2023.06.05 47
1129 「CEO와 함께하는 대학생 정책제안 발표회」개최 file 2023.06.02 55
1128 대구생활문화센터, 생활미술프로젝트 참여자 모집 file 2023.06.02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