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54억 투입된 ‘D-클라우드시스템 구축 사업완료, 본격 운영 개시

D-클라우드(대구형 클라우드) 시스템 활용으로 42.4% 구축 비용 절감

정보시스템 구축 전반을 표준화하는 선진 클라우드 모델(PaaS) 채택

 

긴급장애재난상황에 대비한 무중단 클라우드시스템 구축에도 총력

 

대구시는 행정정보시스템 운영 환경을 하나로 통합하는 ‘D-클라우드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본격 운영을 시작한다.

 

2016년부터 6년간 총 54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D-클라우드 구축사업은 1990년대 초 행정정보화 태동기에 설계된 공공기관 내 전산환경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는 디지털 대혁신 사업이다.

 

대구시는 이번 사업으로 향후 정보시스템 구축 예산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클라우드 내 여유 자원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전산장비의 구매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통합예약시스템의 경우와 같이 접속자가 한꺼번에 집중되는 경우 시스템 규모를 일시적으로 늘려 접속 대기 시간을 줄이고 시스템이 중단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대구시는 D-클라우드를 활용해 6년 동안 별도 구축 대비 42.4%의 비용을 절감했다. 기존 방식으로 시스템을 새로 구축하려면 전용 장비를 설계하고 구매하는 비용과 절차가 필요하지만 이 모두를 생략할 수 있다. 실제로 지역의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했던 작년 대구는 D-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전국 최초로 재난지원금 지급을 완료했고, 최근 신규 구축되는 시스템들 또한 이전 대비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과 기간이 절반 이상 줄어들고 있다.

 

정부의 클라우드컴퓨팅법(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에 맞춰 대구시는 기존 정보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 작업도 차근차근 진행 중이다. 사업을 착수한 201614개를 시작으로 매년 10여 종의 시스템을 D-클라우드로 편입시켜, 2021년 현재 총 78종 업무의 전환을 완료한 상태다. 대구시는 정부가 정한 클라우드 전환 완료 시점인 2025년까지 모든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 방식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클라우드 저변 확대를 통해 지역 IT산업 생태계의 부활도 기대되고 있다. 6년 동안 이루어진 대구시의 D-클라우드 구축 사업은 지역 기업들에 관련 기술의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내년에 개원 예정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와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들이 향후 발주하게 될 IT 사업들의 수주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대구시의 D-클라우드 사업은 플랫폼 기반 서비스(PaaS: Platform as a Service)의 완성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중앙정부를 비롯한 많은 기관들이 시대적 요구에 따라 클라우드 사업을 기획하거나 추진하고 있지만, 단순히 하드웨어 장비를 하나의 장소로 옮겨와 운영(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하는 기초적인 수준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대구시의 이번 사업은 시스템 구축 전 과정(하드웨어코딩배포환류)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표준화했다는 점이 눈여겨볼 만하다. 향후 대구시가 발주하는 모든 신규 시스템들은 이 표준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구축비, 운영비 절감은 물론 통합 보안 관리를 통한 해킹사고 위험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대구시는 예측할 수 없는 시스템 장애나 재난·재해 상황에 대비한 업무연속성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통합전산센터(수성구 지산동 소재)에서 운영 중인 D-클라우드 시스템은 화재 등 심각한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행정서비스가 중단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구시는 무중단 클라우드시스템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중앙정부와 일부 지자체도 둘 이상의 전산센터를 상호 백업 체계로 운영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무중단 체계가 완성되면 시스템 내 저장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원격지(후보지 미정)로 복사돼 긴급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시민들에게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김정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대구시는 경제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매우 우수한 클라우드 시스템을 완비하고, 중앙정부의 클라우드 전환 정책에도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6년 전 시작된 선도적인 투자가 예산 절감과 운영 효율화라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도록 관리와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589 대구시, 상업지역 주거복합 건축물 조례 개정(안) 입법예고 2020.08.19 13
588 대구사진비엔날레 특별사진전 「ViewFindThe」展, 「20c초 대구, 대구인의 삶」展 개최 2020.08.14 13
587 대구레이디스싱어즈「Sing With Us!」 2020.08.12 13
586 주한 싱가포르 대사, 코로나19 의료진 위문 위해 대구 방문 2020.08.11 13
585 아이에스동서, 대구시에‘사랑의 집수리사업’성금전달 file 2021.12.23 13
584 대구도시철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앞두고 안전관리 집중 file 2021.12.23 13
583 대구시설공단, 동절기 대비 시설물 특별 안전점검 실시 2020.11.05 12
582 2020 대구 청년 소셜벤처 육성협의회 개최 2020.11.02 12
581 대구시설공단 사격팀, 전국사격대회 금빛 총성 2020.10.28 12
580 10배 정밀한 광 바이오센서 설계 기술 개발 2020.10.08 12
579 코로나 뚫고 설립 49년 만의 첫 수출 비결은? 2020.10.07 12
578 대구시립국악단 제198회 정기연주회 <젊은 명인전Ⅲ> 개최 2020.10.05 12
577 브람스의 계절에 듣는 교향곡 제4번 2020.09.28 12
576 대구희망지원금 신청마감, 97.6%가 신청 2020.09.28 12
575 추석 연휴기간, 코로나19 의심 증상이 있으면, 콜센터 상담 후에 보건소 선별진료소 방문하세요! 2020.09.24 12
574 ‘대구노원안경제조 소공인특화지원센터’개소 file 2020.09.16 12
573 대구시설공단, 1일부터 1/3 재택근무 실시 2020.09.01 12
572 농촌관광 클린사업장에서 안전한 여름휴가 보내세요! 2020.08.13 12
571 대구경북첨복재단,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기업지원 업무협업 2020.08.12 12
570 대구소방안전본부장 「찾아가는 상담실」 심리지원단 간담회 개최 2020.08.1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