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년간 54억 투입된 ‘D-클라우드시스템 구축 사업완료, 본격 운영 개시

D-클라우드(대구형 클라우드) 시스템 활용으로 42.4% 구축 비용 절감

정보시스템 구축 전반을 표준화하는 선진 클라우드 모델(PaaS) 채택

 

긴급장애재난상황에 대비한 무중단 클라우드시스템 구축에도 총력

 

대구시는 행정정보시스템 운영 환경을 하나로 통합하는 ‘D-클라우드 구축 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본격 운영을 시작한다.

 

2016년부터 6년간 총 54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 D-클라우드 구축사업은 1990년대 초 행정정보화 태동기에 설계된 공공기관 내 전산환경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바꾸는 디지털 대혁신 사업이다.

 

대구시는 이번 사업으로 향후 정보시스템 구축 예산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클라우드 내 여유 자원을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어 전산장비의 구매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통합예약시스템의 경우와 같이 접속자가 한꺼번에 집중되는 경우 시스템 규모를 일시적으로 늘려 접속 대기 시간을 줄이고 시스템이 중단되는 사고를 예방하는 등의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된다.

 

대구시는 D-클라우드를 활용해 6년 동안 별도 구축 대비 42.4%의 비용을 절감했다. 기존 방식으로 시스템을 새로 구축하려면 전용 장비를 설계하고 구매하는 비용과 절차가 필요하지만 이 모두를 생략할 수 있다. 실제로 지역의 코로나19 상황이 심각했던 작년 대구는 D-클라우드 시스템을 통해 전국 최초로 재난지원금 지급을 완료했고, 최근 신규 구축되는 시스템들 또한 이전 대비 구축에 소요되는 비용과 기간이 절반 이상 줄어들고 있다.

 

정부의 클라우드컴퓨팅법(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에 맞춰 대구시는 기존 정보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 작업도 차근차근 진행 중이다. 사업을 착수한 201614개를 시작으로 매년 10여 종의 시스템을 D-클라우드로 편입시켜, 2021년 현재 총 78종 업무의 전환을 완료한 상태다. 대구시는 정부가 정한 클라우드 전환 완료 시점인 2025년까지 모든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 방식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클라우드 저변 확대를 통해 지역 IT산업 생태계의 부활도 기대되고 있다. 6년 동안 이루어진 대구시의 D-클라우드 구축 사업은 지역 기업들에 관련 기술의 경험을 쌓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고, 내년에 개원 예정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와 혁신도시 내 공공기관들이 향후 발주하게 될 IT 사업들의 수주 가능성을 한층 높였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대구시의 D-클라우드 사업은 플랫폼 기반 서비스(PaaS: Platform as a Service)의 완성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중앙정부를 비롯한 많은 기관들이 시대적 요구에 따라 클라우드 사업을 기획하거나 추진하고 있지만, 단순히 하드웨어 장비를 하나의 장소로 옮겨와 운영(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하는 기초적인 수준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대구시의 이번 사업은 시스템 구축 전 과정(하드웨어코딩배포환류)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표준화했다는 점이 눈여겨볼 만하다. 향후 대구시가 발주하는 모든 신규 시스템들은 이 표준 플랫폼을 활용함으로써 구축비, 운영비 절감은 물론 통합 보안 관리를 통한 해킹사고 위험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대구시는 예측할 수 없는 시스템 장애나 재난·재해 상황에 대비한 업무연속성 확보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통합전산센터(수성구 지산동 소재)에서 운영 중인 D-클라우드 시스템은 화재 등 심각한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행정서비스가 중단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구시는 무중단 클라우드시스템 구축을 서두르고 있다. 중앙정부와 일부 지자체도 둘 이상의 전산센터를 상호 백업 체계로 운영해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무중단 체계가 완성되면 시스템 내 저장된 정보가 실시간으로 원격지(후보지 미정)로 복사돼 긴급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시민들에게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김정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이번 사업을 통해 대구시는 경제적으로나 기술적으로 매우 우수한 클라우드 시스템을 완비하고, 중앙정부의 클라우드 전환 정책에도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6년 전 시작된 선도적인 투자가 예산 절감과 운영 효율화라는 효과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갈 수 있도록 관리와 운영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287 「제36회 대구 베이비&키즈 박람회」 대구시 출산정책홍보관 운영 file 2023.06.13 65
1286 「2032 서울평양 공동올림픽 유치기원 온라인 청년통일콘서트」 2020.09.21 6
1285 힘찬 봄기운과 함께 찾아온 시립예술단 <토요시민콘서트> file 2024.03.21 364
1284 흰지팡이의 날 기념 대구시각장애인복지대회’개최 2022.10.23 121
1283 희귀질환 파브리병 치료제 개발 지원 file 2023.03.15 126
1282 흐린 물 출수 예상 안내 file 2023.04.27 54
1281 흐린 물 출수 예상 안내 file 2021.12.21 8
1280 흐린 물 출수 예상 안내 2020.09.07 8
1279 휴스타[HuStar] 대구혁신아카데미, 73%의 높은 취업 성과 보여! 2020.09.22 7
1278 휴가 중인 대구 119상황요원이 상가 간판에 난 불 껐다 file 2021.12.13 6
1277 황금비나무라 불리는 황금빛 꽃‘모감주나무’만개 file 2021.07.01 205
1276 황금동~범안삼거리 등 6개 광역 및 혼잡도로’국가계획 사업 추진 file 2021.12.15 20
1275 환자 낙상 관리 시스템 개발, 요양병원 침대 적용위해 기술이전 file 2023.11.14 124
1274 환경도시 대구, 시민의 친환경 생활실천으로 가능해요 file 2023.06.07 81
1273 화성센트럴파크‘2021년 국토부 우수관리단지’선정 2021.12.23 19
1272 화성산업(주), 이웃사랑 성금 2억원 전달 file 2021.12.13 4
1271 홍준표 시장, 국가경쟁력에 직결되는 초대규모 사업 차질 없이 준비하라! file 2023.03.21 52
1270 홍준표 대구시장 설 이후 첫 간부회의서 “ 속도감 있는 정책 추진 ”지시 file 2023.01.26 239
1269 홍준표 대구시장 등 추석연휴 대비 비상근무자 격려 file 2022.09.10 117
1268 호출료·수수료 없는 착한‘대구로택시’출범 한달째 가입 껑충 file 2023.01.20 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