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농가 소득 64% 증가, 연간 일자리 창출 353, 농창업 증가 추세 -

 

- 내년 안동영주 지황, 상주 포도, 예천 화훼 등 167억 투입 -

 

경상북도는 올해 지역별 맞춤형 농업 지원으로 농가 소득이 64% 오르고 연간 353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내년에도 167억 규모의 사업비를 확보하고 지원을 계속할 계획이어서 그 성과가 기대된다.

 

경북도는 지역에서 중점적으로 육성하려는 품목에 대하여 균특 사업으로 지역 활력화 작목 기반조성을 추진해 농가는 건전 종자, 신기술의 종합 투입, 생산 효율화를 위한 기자재를 지원 받았다.

 

올 해까지 115분야의 사업을 추진해 경북 농업 발전을 이끌어 오고 있다.

 

이번 사업을 통해 농가 소득은 증가했다.

 

우량 종자를 보급하고 생산 단지를 규모화 하는 한편, 농산물 재배 신기술을 적용해 단위 면적당 조수입이 늘었다.

 

또 효율적인 작업을 도와주는 기자재를 지원으로 경영비는 줄었다.

 

단순한 1차 생산물의 판매에 그치지 않고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높여 ha당 평균 9600만원 수준이던 농가 소득이 15800만원으로 높아졌다. 사업 전과 비교 했을 때 64% 증가한 수치다.

 

그 예로 청송은 자두나무를 Y자형으로 재배하는 기술을 보급해 단위 면적당 수확량을 50% 늘렸다.

 

Y자형으로 나무를 키우게 되면 과수원을 농기계로 관리하기가 유리해 일반 과수원에 비해 노동력이 30% 가량 적게 든다.

 

청송은 또 자두소스 비빔면을 개발해 판매에 나선다. 생과 판매가 어려워 버려졌던 자두를 가공해 고부가가치 상품으로 만들었다.

 

지역 농업이 활성화되면서 일자리 창출 효과도 컸다.

 

재배, 수확의 생산 관리와 선별, 포장, 체험 프로그램 운영 인력 등 연간 353명의 고용 창출효과를 거뒀다.

 

이 중에서 204명이 상시 채용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눈에 띄는 점은 농창업의 증가이다. 최근 3년간을 살펴보면, 179명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도시의 높은 주거비, 취업난, 워라벨 문화의 보편화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이러한 증가 추세가 계속 된다면 농업인구 감소, 농촌 소멸 문제의 해법이 되어 주기를 기대해 볼 수 있다.

 

경북도만의 차별화로 소비자 인지도와 시장 경쟁력을 높이기도 했다.

 

포항의 경우, 화분 재배로 우수한 품질의 산딸기를 생산해 TV홈쇼핑에서 11톤을 판매했다.

 

또한 생산 기간을 늘려 분산 출하로 안정적인 가격에 판매할 수 있게 되어 시장 경쟁력이 높아졌다.

 

봉화는 사과는 빨갛거나(홍로, 부사 등) 초록색(아오리)이다라는 보편적인 인식에 황색 사과 품종으로 차별화를 뒀다.

 

흔히 먹던 사과와는 다른 색깔과 특유의 아삭한 식감, 청량한 맛이 소비자의 입맛을 끌었다. ‘골든애플이라는 이름으로 봉화 사과의 인지도를 한층 높였다는 평가다.

 

내년에도 경북도는 지역 농업 활력을 위한 노력을 이어 나간다.

 

167억 규모의 사업비를 확보해 18개 시군에 25분야에 지원한다. 안동영주 지황 영천 마늘 상주 포도 성주 아열대작목 예천 화훼 울릉 산채가 대표적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코로나19에도 지역 농산물 수출은 20% 늘었다. 이는 경북 농산물의 우수성을 입증하는 예라며, “지역 농산물이 국내 시장 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서도 인정받기 위해 지속해서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10-3)지역활력화5_(포항_산딸기_화분재배).jpg

 

(10-2)지역활력화3_(청송자두_Y자형).jpg

 

(10-1)지역활력화1(봉화_골든애플).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625 경제 경북도, 통합신공항 시대 대비 환동해 발전 전략 모색 !  2020.09.23 8
624 경제 경북도, 통합신공항 연계 미래전략 구상 돌입!  2020.09.22 5
623 경제 경북도, 통합신공항 이전 예정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2020.09.02 11
622 경제 경북도, 통합신공항과 연계한 동해안권 발전전략 준비  2020.08.24 5
621 경제 경북도, 퇴비유통전문조직 6개소 추가 선정  2020.09.15 5
620 경제 경북도, 투자유치 기반 마련 위한 산업용지 적기 공급 추진!  2023.11.21 228
619 경제 경북도, 투자하기 좋은 환경 조성을 위해 현장소통 강화  2023.11.02 113
618 경제 경북도, 특별방역대책 추진해 가축질병 청정지역 유지한다  2020.10.05 5
617 경북도, 특별법 제정 이후 공항신도시 조성에 역량 집중  2023.04.17 103
616 경제 경북도, 특화작목‘생강’의 안정생산과 건조기술 개발  2020.09.15 4
615 경북도, 파격적 관광마케팅 추진... 관광으로 민생살리기 총력  2021.03.04 39
614 경제 경북도, 포스트 코로나시대 지방소멸 위기 해법 찿는다  2020.10.26 5
613 경북도, 포항․경주 농업용저수지 긴급안전점검 실시  2022.09.10 76
612 경제 경북도, 포항지진특별법 시행령 아쉬움... 특별지원사업 적극 요청  2020.08.26 12
611 사회 경북도, 한가위 보름처럼‘일․∙삶∙쉼’충만 여성정책 펼친다!  2020.09.29 3
610 경북도, 한국암웨이․나눔제약과 농식품산업 경쟁력 강화 한다  2021.01.22 28
609 경제 경북도, 한국전력과 손잡고 축산분뇨 고체연료화 사업 추진  2020.08.19 5
608 경제 경북도, 한국전력기술과 농어촌 상생협력 강화한다  2020.08.31 6
607 경제 경북도, 한국포도수출연합과 함께 샤인머스켓 세계시장 공략한다.  2020.09.22 2097
606 경북도, 한국해비타트와 문화활동기반 구축 나선다!  2023.03.22 34
Board Pagination Prev 1 ...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66 Next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