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1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부탄가스, 석유난로, 모닥불 등으로 인한 화재 주의 -

 

- 코로나19 이후 캠핑 인구 급격히 증가, 안전수칙 지켜 화재예방 -

 

경북소방본부는 코로나19 이후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캠핑장 이용에 대해 화재예방을 위한 주의사항을 전했다.

 

비대면이 일상화되면서 야외에서 휴식과 낭만을 즐기기 위한 캠핑은 대표적인 취미생활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캠핑 중 음식 조리나 모닥불, 휴대용 가스레인지, 난로 등 화기 취급이 많아지면서 화재 발생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특히 가스나 석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화기는 순식간에 폭발할 수 있어 상당히 위험하다.

 

지난해 5월 지역 A군에서 캠핑 중 부탄가스 폭발해 4명이 부상을 당했고, 같은 해 11B군에서도 텐트 내에 설치한 석유난로가 음주차량에 부딪혀 화재가 발생한 사건도 있었다.

 

가스로 인한 화재는 거대 불판을 사용하거나, 날씨가 추워 점화가 잘 안되는 부탄가스 용기를 데우다가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모닥불 또한 화재의 주요 원인이다.

 

불에 타기 쉬운 가연물을 가까이 두지 말아야 하며, 불을 끈 후 잿더미 속에 불씨가 남아있다면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GO야 한다.

 

최근에는 차에서 숙식을 하는 일명 차박이나 카라반, 모터홈(이하 캠핑카)을 이용한 캠핑이 증가하면서 전기로 인한 화재도 증가하RH 있다.

 

올해만 해도 4건의 캠핑카 화재가 발생했는데 3건이 전기적인 원인으로 추정됐다.

 

캠핑카는 시동을 끄고 전원을 차단하더라도 충전장치가 계속 작동하여 캠핑용 대용량 배터리와 연결된 전선에는 항상 전기가 흐르고 있어 화재 발생 위험이 높다.

 

또한 주행 중 발생하는 진동과 낮밤 온도 차에 의한 습기 등 전기 장치에 취약한 악조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건물보다 전기화재 발생 위험성이 훨씬 크다.

 

이러한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안전성을 인정받은 정품 배터리와 허용전류에 적합한 전기배선을 사용하고, 연결 부위를 단단히 체결하여 진동에 헐거워지지 않게 해야 한다.

 

배터리 상태나 고장 유무를 경고해 주는 모니터를 부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김종근 경북도 소방본부장은 캠핑을 즐기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화재 및 안전사고 위험도 증가하고 있다라며, “개개인이 화재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고, 아울러 밀폐된 공간에서 난방 기구 사용 시 가스중독 사고 방지를 위해 반드시 환기구를 확보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6-2)캠핑장_화재사진2.png

 

(6-1)캠핑장_화재사진1.jpg

 

 


  1. 경북도, 농특산물 완판운동 경진대회 우수 시‧군 시상

  2. 경북도민행복대학, 제1회 명예도민학사 799명 배출

  3. 경북도, 산돌배로 임업인 소득원 확보 나선다

  4. 경북 농식품유통혁신위원회, 내년 농정분야 정책과제 발표

  5. 축산×데이터·인공지능(AI) 융합프로젝트 본격 추진

  6. 올품, 경북도ㆍ상주시와 투자양해각서 체결

  7. 제7회 경북도 수자원관리위원회 심의 결과 발표

  8. 코로나 이겨낸 경북 청년정책... 목표이행률 105% 달성

  9. 경북도, 지역 소장 문화유산 9건 문화재 신규 지정

  10. 경북도, 올해 저출생 극복 우수시군 선정

  11. 경북전문건설인, 연말 어려운 이웃에 따뜻한 나눔 실천

  12. 경북도, 탄소중립 생활실천 캠페인 전개

  13. 경북콘텐츠진흥원 창립 10주년, 비전 2030 선포

  14. 경북의 농가맛집, 특화밥상으로 꽃 피다

  15. 경북도, 고품질 건고추용 신품종‘홍고은’개발

  16. 경북도, 100인의 아빠단 해단...수고하셨어요

  17. No Image 20Dec
    by
    2021/12/20 Views 4 

    경북의 농가맛집, 특화밥상으로 꽃 피다

  18. 선물 사고, 건강 챙기고...서울서 경북 우수가공품 홍보

  19. 경북도, 산사태 피해지 복구사업 완료!

  20. 경북도, 생활주변 집중관리 도로 지정해 노면청소 강화한다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