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1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기후변화 대응 경북형 저탄소 농산물 생산기술발전방향 등 주요과제 채택 -

 

- 경북 미래 혁신 농정 가치창출 변곡점 마련.. 싱크탱크(think tank) 역할 수행 -

 

경상북도 농식품유통혁신위원회(이하 위원회)21일 도청에서 내년도 농정분야 정책과제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지난 42기 위원회 출범식 이후 경북 농정의 최대 현안 과제인 농식품 유통혁신을 위해 1년간 연구한 과제를 농업인단체, 공무원 등을 초청해 발표회를 가졌다.

 

7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는 김재수 위원장(64, 동국대 석좌교수)을 중심으로 4개 팀인 농식품 유통혁신 T/F농식품 연구개발 T/F 청년농 및 농어업인력양성 T/F 건강한 먹거리 생산 T/F팀으로 구성돼 있다.

 

위원회의 주요 역할로 유통구조개선, 건강한 먹거리 생산, 유통 취약농가 판로 확대 등 농식품 유통정책 자문, 미래 경북 농업의 청사진 제시로 농정 현장의 목소리 청취를 통한 정책개발 자문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번에 발표한 정책과제를 살펴보면 먼저, 기후변화에 대응한 경북형

저탄소 농산물 생산확대를 위해 경북도 대표작물인 사과의 저탄소인증제도 정착 시범사업 저탄소 농업기술로 풋거름 작물재배 우선 추진 저탄소 농산물 인증 지원을 위한 시군 지원체계 구축 저탄소 농산물 인증 희망농가 저탄소 농산물 마을선정 등 정책 제안으로 온실가스 감축과 건강한 먹거리 생산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두 번째로 빅데이터 기반 경북 농식품 온오프라인 소비특성을 분석해 소비자 맞춤형 판로 확대 빅데이터 기반 지역 주요 농산물 판로 개척 모바일 쇼핑을 통한 지역 농식품 온라인 판로 확대 시책 등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세 번째로 뉴노멀 시대, 경북 농식품산업의대응 전략을 위해 경북형 농식품 통합(생산-유통-소비)혁신 플랫폼 구축 지역 소비환경특성 기반 밀키트, HMR 등 활용 식품 R&D 강화를 제안했다.

 

네 번째로는 경북도 역귀농 실태조사에 따른 대응전략으로 귀농 인식 개선 및 귀농교육 내실화 주민-귀농인 협력사업 지원제도 및 귀농 포기자 대상 사후 컨설팅 사업을 신규 사업으로 제안했다.

 

위원회는 유통구조 개선, 통합 마케팅, 판로 확대 등을 위해 간담회, 심포지엄, 토론회를 통해 4차례에 걸쳐 자문을 하였으며 현장의 목소리 청취를 위한 현장 활동을 11차례 실시해 의미 있는 성과를 올렸다.

 

특히, 1년간 연구한 농정분야 정책과제는 단순 연구에만 그치지 않고 내년도 경북도 정책으로 적극 채택할 계획이며, 앞으로 위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농정정책 발굴에 힘쓸 예정이다.

 

이날 김재수 위원장은 현장 중심의 활동을 통해 위원들의 지혜를 모아 안정적 판로 제공과 소득증대를 도모하고 소비자에게는 품질 좋고 안전한 먹거리를 제공하는데 한 몫을 담당해 민관 협치의 가장 이상적인 모델로 평가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관 협력과 각 분야의 전문가 안목과 경험을 바탕으로 치밀한 전략과 뚝심으로 뉴노멀 시대 경북 농업농촌의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줄 것을 당부했다.

 

(6)농식품유통혁신위원회_활동_성과_보고회1.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502 경제 경북도, 호국정신의 표상‘병역명문가’에 문패 전달  2020.08.25 10
» 경북 농식품유통혁신위원회, 내년 농정분야 정책과제 발표  2021.12.21 10
500 경북도, 도심 복개하천을 생태하천으로 되살린다  2021.12.16 10
499 경북도, 과메기로 日 젊은 층 입맛 사로 잡는다  2021.12.16 10
498 경북광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주민 취․창업 강화 나서  2021.04.20 10
497 경제 경북도, 태풍 등으로 피해발생 벼 21일부터 전량 매입한다  2020.10.21 10
496 버려지는 마(麻)의 영여자, 드시면 일석이조 효과  2021.04.16 10
495 경북도, 민관협력 데이터 거버넌스 선포  2021.12.14 10
494 경북도, 커피박 재자원화 사업으로 탄소중립 실현  2021.12.22 9
493 교육 경북서남부노인보호전문기관 교육관 개관  2020.11.05 9
492 문화 꽃이랑 함께하는‘화(花)랑 플리마켓’경주 보문단지에서 열려  2020.11.05 9
491 문화 세계인의 인문학 축제‘세계인문학 포럼’경주서 열려  2020.11.03 9
490 문화 ‘Yes We Can 콘서트 in 경북’온라인 개최!  2020.11.02 9
489 교육 경북도, 울릉우산학 정립 위한 학술대회 열어  2020.10.29 9
488 사회 경북도, 코로나․독감 대비해 호흡기전담클리닉 설치한다  2020.10.29 9
487 경제 대구‧경북 손잡고 농산물 상생장터 화합한마당 열어!  2020.10.29 9
486 경제 경북 학교 밖 청소년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2020.10.28 9
485 사회 경북도, 신규 노인일자리‘코로나 열 감지모니터링요원’발굴!  2020.10.28 9
484 문화 한반도의 시작‘독도’... 경상북도가 지킨다!  2020.10.23 9
483 경제 경북 농특산품, 추석명절 53억원 판매로 대박 행진!  2020.10.12 9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