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의군 이웃사촌 시범마을 성과 바탕‘22년에 2개소 확산 추진 -

 

- 지역고유 특징과 자원 활용한 다양한 모습의 이웃사촌마을 조성 -

 

경상북도는 민선7기 이철우 도지사의 대표 공약사업 중 하나인 이웃사촌 시범마을사업의 청년유입과 지역활력 증대 성과를 토대로 내년에 2개소로 확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2019년부터 본격 추진된 이웃사촌 시범마을사업은 2018년 당시 한국고용정보원이 발표한 지방소멸위험 1 지역인 의성 안계면 일원에 예산 1220억원을 투입해 청년친화 환경과 일자리를 만들고 인구감소 대응거점을 형성하는 경북도와 의성군의 역점사업이다.

 

이 사업은 청년 일자리 사업, 청년 주거확충, 보육, 의료, 문화시설 확충까지 단순히 청년유입에만 그치지 않고 청년안착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추진됐다.

 

또 중간지원조직인 이웃사촌지원센터는 유입청년과 기존주민의 가교역할을 담당하며, 주민들과 함께 골목정원과 청년특화거리도 만들어 가고 있다.

 

사업시행 후 지역 인구도 증가 추세다.

 

18년말 안계면 인구는 4552, 19~ 45세 청년인구는 972명에 불과했지만, 7월 기준 각각 4588(36명 증가), 1007(35명 증가)으로 늘었다.

 

또 이웃사촌 시범마을 사업에 참여 중인 청년은 159명이며, 그 중 104명은 지역으로 주소를 이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의성의 전체 인구는 52944명에서 51042명으로 1902명 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이웃사촌 시범마을이 청년 유입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 셈이다.

 

한편, 중앙 부처와 언론, 학계의 방문뿐만 아니라 일본 마이니치 신문에서도 현지 취재를 펼치는 등 이웃사촌 시범마을사업은 인구감소 극복의 모범 사례로 소개되기도 했다.

 

경북도는 이러한 성과와 유용성을 제2, 3의 이웃사촌마을을 조성하기 위한 공모계획을 수립했다.

 

공모사업 대상지는 행정안전부에서 지정고시한 인구감소지역 시* 소재 읍면을 대상으로 하며 총 2개소를 선정한다.

 

* 행정안전부 고시(‘21. 10. 19) 경상북도 인구감소지역 16(안동, 영주, 영천, 상주, 문경, 군위, 의성,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봉화, 울진, 울릉),

 

공모사업의 주요내용은 지역 특성과 고유자원을 반영한 일자리 창출 주거 조성 생활여건 개선 공동체 활성화 청년 유입 등 5대활력 분야를 중심으로 계획을 수립하되 각 단위사업간 연계와 기존사업과 조화를 잘 살리는 점이 중요하다.

 

재원계획은 개소당 1000억원* 규모로 자체사업과 국도비사업, 민자사업을 구분해 수립해야 하며, 부지확보 여부, 사업비의 적정성 등 실현가능성도 고려해야 한다.

* 자체사업 200억원(100, 시군 100), 국도비사업 600억원(개별 공모사업 선정시 도비 지원), 민자사업 200억원

 

신청기간은 내년 720일까지이다.

 

경북도는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토대로 전문가가 참여한 3단계 평가를 거쳐 최종 사업대상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이번 사업은 각 지역들이 저마다 고유자원을 활용해 인구증가의 해답을 스스로 찾아보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청년들의 귀농귀촌 선택지를 넓힐 수 있는 다양한 모습의 마을을 만들어 인구감소 극복의 대표 브랜드로 부각시키겠다라고 밝혔다.

 

 

(11-3)이웃사촌시범마을_발전포럼_사진.jpg

 

(11-2)이웃사촌시범마을_확산공모사업_추진일정.jpg

 

(11-1)이웃사촌시범마을_청춘구_행복동_3기_활동사진_1.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971 경북도, 서울시와 교류 강화 위한 협약(MOU) 체결  2023.01.18 277
970 반도체 기업 코마테크놀로지, 구미에 사업 확장 나서  2023.01.18 277
969 경북도, 경로당 행복도우미와 어르신복지 품격 높인다  2023.01.18 277
968 경북도,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새롭게 거듭난다  2023.01.18 278
967 경북자치경찰, 여성 범죄 예방에 힘 모은다  2023.01.17 285
966 경북도, 탄소중립 실천 친환경 설 보내기 캠페인  2023.01.17 67
965 경북도, 일본식 지명 싹 갈아 치운다  2023.01.17 58
964 경북도, 사람 냄새 나는 현수막으로 귀성객 맞이  2023.01.17 54
963 CES2023 경상북도관 성공적 운영  2023.01.17 58
962 경북도, 육지해녀 삶과 음식문화 발굴‧보전‧전승 나서  2022.12.24 175
961 도심형 친환경 근거리 배송서비스 실증 간담회 개최  2022.12.24 180
960 경북도, 물기업 지원 유관기관 협력기반 강화  2022.12.24 163
959 경북도, 광역크루즈ㆍ국제 마리나네트워크 구축 나서  2022.12.24 165
958 영양고추연구소, 내년에 고추연구 세미나동 들어서  2022.12.17 174
957 경북도, 청년마을 확산ㆍ기여...대통령 기관표창 수상  2022.12.17 170
956 경북도, 인공지능 생태계 조성에 박차  2022.12.17 170
955 경북도,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전환 큰걸음  2022.12.17 168
954 경북, 탄소기업의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곳  2022.12.17 172
953 경북도, 베트남과 경제ㆍ인력분야 새로운 이정표 만들어  2022.12.17 167
952 경북도, 문화재 안내 잘했다  2022.12.10 209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