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2.() 오후 2시 비대면 온라인으로 2021년 빅데이터 분석 성과발표회 열려

대구시 행정 전반에 빅데이터 확산 계기 마련

정기분석과제 15, 수시분석 47, 협력분석 1

 

대구시와 대구빅데이터활용센터는 지난 1년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데이터 기반 활성화 노력 성과를 정리하고 우수사례 공유를 위한 ‘2021년 빅데이터 분석 성과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1년간의 빅데이터 분석 추진성과 보고, 지역의 빅데이터 활성화에 기여한 유공자 표창, ‘소방 빅데이터 구축 및 취약지역 분석4건의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 우수사례 발표, 빅데이터활용센터의 온라인 홍보 서포터즈 발대식 순으로 진행됐다.

 

올해 추진한 주요 분석과제로는 쓰레기 무단투기 민원 분석, 주차수급실태 분석, 유동인구를 반영한 지진대피소 입지분석, 내 집 앞 도서관 입지분석 등 시민 생활 현장의 불편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분석뿐만 아니라 상담민원 자동분류 모델, 미대출도서 추천서비스 등 분석결과를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AI기술 기반의 모델도 개발해 활용 중이다.

 

재난사고에 한발 앞서 움직이기 위해 추진한 소방 빅데이터 구축 및 취약지역 분석의 경우 화재, 구조, 구급 데이터를 사고 단위로 통합하고, 사고 유형별 분석과 소방안전 취약지역을 도출했으며 현재, 분석결과를 전체 소방인력이 공유할 수 있는 실질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용자로부터 주목받지 못한 장기 미대출 도서들을 추천해주는 미대출도서 추천 서비스는 이용자의 대출이력을 바탕으로 유사한 미대출 인기도서를 추천해줌으로써 장서운영 효율성 개선효과가 나타났으며, 향후 전 도서관으로 분석 대상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지난 ’20년 분석개발된 개인맞춤형 도서 추천서비스와 함께 대구시 통합도서관 이용자들에게 보다 편리한 개인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

 

김정기 대구시 기획조정실장은 성과발표회를 통해 대구시 행정 전반에 데이터 기반 행정 문화가 뿌리내리고, 이를 통해 일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민생활 전반에 편리하고 지능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IMG_0162.jpg

 

IMG_0169.jpg

 

IMG_0115.jpg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769 11월 10일 대구의료원 제14대 김승미 원장 취임 2020.11.11 39
768 대구시, 대구관광재단 임원 공모 2020.11.02 39
767 2023 대구공연예술연습공간 하반기 정기대관 공고 file 2023.06.29 39
766 ‘New K-2’, 글로벌 신성장 도시 건설! file 2023.06.28 39
765 대구광역시, 6·25전쟁 제73주년 행사 개최 file 2023.06.26 39
764 대구시설공단, 지하상가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0.10.15 38
763 대구시설공단, 임직원 심리방역 위한 커피차 토닥 트럭 운영 2020.10.15 38
762 대구시, 어린이 보호구역 내 교통사고 비율 전국 최저 2020.10.15 38
761 ‘2020 대구도시디자인 공모전’당선작 선정 2020.11.11 37
760 곳곳에 울려퍼지는 K트롯 대구의 맛! 대구 음식 홍보의 첨병! file 2023.03.22 37
759 대구광역시, 중소기업·소상공인 성장 지원 박차 file 2023.04.05 37
758 대구시 반려식물 치료센터에서 무료로 화초 관리 받으세요! file 2023.04.05 37
757 글로벌 미래 에너지산업 트렌드 한눈에! 「제20회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개막 file 2023.04.11 37
756 ‘아이 러브 워라밸 대구!’워라밸 문화확산 캠페인 전개! file 2024.06.11 37
755 대구광역시, 보건소 결핵 관리 역량강화 교육 실시 file 2024.06.11 37
754 국민통합위원회 대구지역협의회 출범! file 2023.03.22 37
753 대구시설공단, 코로나19극복‘사랑의 단체헌혈’동참 2020.10.15 37
752 대구시, 지역균형뉴딜 포럼서 대구형 뉴딜 추진방향 설명 2020.10.16 37
751 디퍼런트시리즈 : 네오클래식 12 – 새로운 조성 2020.10.16 37
750 전통예술의 첫 걸음마, 국악뮤지컬 토돌이의 모험 file 2020.10.16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