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주택유형 도입을 위한 유연한 도시계획 제도 운용

층수·건축물 허용용도 완화제도 제1종일반주거지역 확대 시행

 

대구시는 대규모 단독주택지 종 상향 허용, 건축물 층수·허용용도 완화 등의 제도개선을 골자로 하는 새로운 대규모 단독주택지 관리방안을 발표했다.

 

1970년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조성된 남구 대명동, 달서구 송현동, 수성구 범어·만촌동 일원(6.1)은 저층주택 밀집지역으로 대구시는 제1종일반주거지역으로 지정하여 대규모 단독주택지로 관리해 왔다.

 

조성 후 50여 년이 경과한 이들 지역은 최근 노후건축물이 약 50%를 차지하고 주차장·공원 등의 기반시설 부족, 원룸 난립 등으로 쾌적한 저층 주택지로서의 위상이 약해지고 교통, 주차, 안전, 쓰레기 등 주민들의 불편이 날로 심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대규모 단독주택지를 둘러싸고 다수의 고층아파트들이 건립되고 있어 주민들의 상대적 박탈감 증가와 종 상향 제한에 따른 형평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에 대구시는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여건을 반영하고 주민참여위원회, 주민설문조사 등의 다양한 주민참여와 분야별 전문가 의견 수렴을 통해 대규모 단독주택지 관리에 대한 전면적인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관리방안의 주요 제도 개선내용으로는 먼저 대규모 단독주택지도 일반적인 제1종일반주거지역처럼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종 상향을 허용하고, 종 상향 단계별 기준을 정비해 개발이익은 주변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도로, 공원, 주차장 등의 생활편의 시설로 조성한다.

 

그리고, 10규모 정도의 마을 단위에 계획적인 주택지 종합개발안을 제안하는 경우, 기존 기반시설의 재배치로 공공기여량은 최소화 하고 다양한 주택유형이 공존할 수 있는 미니뉴타운 방식의 도시개발 방식을 도입한다.

 

또한, 대규모 단독주택지역이 아닌 일반적인 제1종일반주거지역(계획적 조성으로 지구단위계획이 기 수립된 지역 제외)에 대해서도 다양한 주택유형 수용과 상업지역 인근의 주거·상업 완충기능 도입을 위해 현재 대규모 단독주택지에서만 운용되고 있는 층수 완화(47층 완화)와 건축물 용도 완화 규정을 확대 시행한다.

 

이러한 제도개선 내용들은 2022년 상반기 내에 대구광역시 지구단위계획 수립지침의 개정 절차를 완료하고 시행될 예정이다.

 

아울러,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해 건축 협정제, 맞벽 건축 등의 제도를 통한 다양한 형태의 창의적 주택 건립을 유도·장려하고 주민참여 기반의 마을관리를 통한 정주여건 개선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규모 단독주택지 관리방안 혁신을 계기로 보다 혁신적이고 유연한 도시계획정책을 통해 대구시민 누구나 쾌적한 주거환경을 누릴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2021.12.23 대규모 단독 주택지 관리방안 관련 권영진 대구광역시장 언론 브리핑(시청본관 2F 상황실) (1).jpg

 

2021.12.23 대규모 단독 주택지 관리방안 관련 권영진 대구광역시장 언론 브리핑(시청본관 2F 상황실) (2).jpg

 

2021.12.23 대규모 단독 주택지 관리방안 관련 권영진 대구광역시장 언론 브리핑(시청본관 2F 상황실) (3).jpg

 

위치도

위치도.jpg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487 화성센트럴파크‘2021년 국토부 우수관리단지’선정 2021.12.23 19
486 김천혁신도시에서 새 희망과 도약을 다짐하는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2021.12.23 6
» 50년 만에 대규모 단독주택지 전면 혁신‘종 상향 허용’ file 2021.12.23 8
484 대구시, 탄소배출권 39만톤 127억원에 판매 file 2021.12.23 16
483 2021년 청년희망공동체 대구 스토리 공유회 개최 file 2021.12.23 5
482 아이에스동서, 대구시에‘사랑의 집수리사업’성금전달 file 2021.12.23 13
481 대구시, 단독주택 재활용품 분리배출 요일제 전면 시행 file 2021.12.23 33
480 대구시 무장애 관광, 환경개선 사업으로 거듭나다 file 2021.12.23 59
479 대학생들의 꿈을 응원하는, 대학리빙랩 성과공유회 열려 file 2021.12.23 9
478 상화로 입체화 사업’계약체결로 공사 착수 file 2021.12.23 19
477 주말 한파에도‘수도계량기 동파’걱정 마세요! file 2021.12.23 50
476 판소리로 2021년 대미 장식! 양수진의 판소리 완창 개최 file 2021.12.23 11
475 자연이 있는 농촌교육농장으로 체험하러 오세요! file 2021.12.23 26
474 대구시설공단, 지역 아동을 위한 사랑의 숲 조성사업 추진 file 2021.12.23 9
473 국립대구과학관,「별난물건박물관 사이언스 토이」 특별기획전 개최 file 2021.12.23 16
472 대구도시철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앞두고 안전관리 집중 file 2021.12.23 13
471 케이메디허브, 꾸준한 인재 채용 file 2021.12.23 16
470 권영진 대구시장 대구 시총 1위 기업 엘앤에프 방문 file 2021.12.24 10
469 대구시, 방역수칙 위반자 7명 적발! file 2021.12.24 13
468 대구시, 국토교통부 주관 지적재조사사업 평가‘우수기관’선정 file 2021.12.24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