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2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포항시·포스텍·한국푸드테크협의회·경북경제진흥원와 업무협약 -

- 기업중심 인력양성과 R&D 추진, 미래 먹거리 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

 

- 로봇이 내 건강에 맞는 메뉴를 추천하고 요리하는 개인맞춤 푸드테크 시대 -

 

경상북도는 지난 16일 오후 도청 사림실에서 이장식 포항부시장, 김무환 포스텍 총장, 이기원 한국푸드테크협의회장, 전창록 경북경제진흥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푸드테크 기반 외식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협약체결에 앞서 한국푸드테크협의회 이기원 회장은 공무원 및 유관기관단체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푸드테크 산업은 창발 산업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펼쳤다.

 

이 회장은 푸두테크 산업은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기술이 적용된 신산업으로 IT, BT를 넘어 대한민국 No.1 산업이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푸드테크는 올해 미국에서 1월 열린 CES 2022(CES 2022-ConsumerElectronicsShow2022)에서 올해의 5대 기술 트렌드중 하나로 소개된 바 있다.

 

한국푸드테크협의회는 푸드테크 시장규모를 국내시장은 600조원, 세계시장규모는 반도체 산업보다 약 50여배 많은 4경원 정도로 예상되는 미래성장 산업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푸드테크 산업을 선도하고 외식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을 선제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K-키친 프로젝트 추진 및 외식·푸드테크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협력 푸드테크 기술 공동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에 나선다.

 

푸드테크 분야 신기술 및 글로벌 트렌드 자문·정보공유 푸드테크 기반 식품·외식산업 육성 등 ICT, 인공지능 등을 접목한 푸드테크 전 분야에 대해 산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도는 잠재력과 규모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음에도 선진국에 비해 아직 걸음마 수준인 국내 푸드테크 산업을 미래성장 동력산업으로 선도하고 육성하기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전국 최초로 K-키친 프로젝트를 추진해 시대적 흐름과 급변하는 외식식품소비 패턴에 따라 스마트 주방 대전환을 목표로 올해부터 1단계 주방환경개선사업과 2단계 K-키친 모델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 내년부터는 산업화를 위해 3단계 스마트 K-키친 플랫폼을 구축 하는 등 스마트 외식주방의 새 모델을 선도하고 국·내외 표준화에 앞장설 예정이다.

 

이와 함께 포스텍에서는 인력양성과 연구개발사업(R&D), 경북경제진흥원에서는 벤처기업 육성을 한국푸드테크협의회에서는 신기술 및 글로벌 트렌드 자문과 중앙부처 협력 등을 추진하여해 새로운 첨단산업 만들어 푸드테크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K-키친 프로젝트 참여와 푸드테크 산업 육성을 위해 푸드테크 협동로봇 회사인 뉴로메카는 수도권에서 포항으로 공장을 이전해신축하고, 지역 서빙로봇 기업인 폴라리스3D도 공장 신설 등을 추진한다.

 

도는 10월경에 이들 회사와 300억원 규모의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해 푸드테크 산업을 집중 육성해 나갈 방침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선진국의 경우 먹거리 안전이 중요하다. 안전을 넘어 새로운 먹거리로 푸드테크 산업을 반도체·바이오와 함께 경북의 미래 100년 산업으로 키워 푸드테크 메카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1-1)푸드테크_기반_외식산업_혁신생태계조성_업무협약.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 경북도, 로봇이 메뉴 추천하고 요리하는 푸드테크 산업 선도  2022.09.18 218
890 경북도, 역노화 산업 활성화 위해 대학과 손 잡아  2022.09.18 211
889 2022 경상북도 청렴라이브 개최  2022.09.18 217
888 경북도, 청소년 안전지킴이 발대  2022.09.18 213
887 경북도, 태풍 난마돌 대비 포항 냉천 응급복구 추진  2022.09.18 201
886 경북도, 자연재난 예방 공모사업 4개 선정  2022.09.18 204
885 경북도, 태풍 피해 복구에 한국도로공사 큰 역할 했다  2022.09.18 198
884 두 바퀴에 사랑을 싣고, 울진으로 출~발~  2022.09.18 189
883 경북도, 올해 3분기까지 1조 1197억원 투자유치  2022.09.18 182
882 경북도, 태풍 피해 전기‧보일러시설 긴급복구 총력 지원  2022.09.18 202
881 잦은 강우, 태풍 후 감나무 탄저병 방제 철저  2022.09.18 201
880 워킹그룹 전문가들, 지역주도형 인구정책 만들자!  2022.09.18 67
879 경북도, 태풍 힌남노 피해지역 응급복구비 추가 지원  2022.09.18 66
878 포항, 경주 수해 복구지원 위해 전남에서 한 달음  2022.09.10 106
877 경북도, 태풍 피해와 명절 대비 환경사고 비상대응체계 가동  2022.09.10 136
876 경북산불진화대...포항과 경주 위해 물불 안 가려  2022.09.10 114
875 경북 공공기관 임직원 300여명, 태풍 피해복구에 힘 보태  2022.09.10 106
874 경북광역푸드뱅크, 포항에 긴급구호물품 전달  2022.09.10 79
873 경북도, 태풍 피해 주택 전기시설 민관합동 긴급복구 지원  2022.09.10 73
872 경북도, 포항․경주 농업용저수지 긴급안전점검 실시  2022.09.10 76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