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20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수산자원연구원 자체 기술력 복원 성공 -

- 지역 관광자원 및 소득 부가가치 창출 -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원(원장 문성준)26일부터 28일까지 고부가 품종의 수산 자원조성을 통한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개량조개 48만 마리를 지역 연안 4개 시군(포항, 경주, 영덕, 울진) 연안에 방류한다.

 

개량조개는 최근 자원량이 급감해 전국 연안에서 찾아보기 힘든 품종으로 종자생산에 이용할 어미조차 확보가 어려웠다.

 

이에 연구원에서는 지난 4월 강원도 고성에서 어미 120kg을 어렵게 확보 후 5월말 성숙한 모패를 채란해 인공부화에 성공했다.

 

이후 자체배양한 미세조류를 먹이로 5개월간 사육해 1~2cm급의 개량조개 48만 마리를 생산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일명 명주조개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과거 해수욕장에서 손과 발로 잡던 추억이 있는 명품으로 수심 10m내외의 모래질에 주로 서식하는 어민들의 선호도가 높은 품종이다.

 

과거 형망어업에 의한 어업인의 주요 소득원이었으나 자원량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인공종자생산에 의한 치패방류사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속적인 자원량 관리를 위해 어업인의 주인의식 확립 및 남획을 비롯한 불법어업 근절 등 자원회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김성학 경북도 해양수산국장은 도내 주요 해수욕장을 중심으로 방류적지를 파악해 조개잡이 체험 프로그램 등 볼거리, 먹거리를 제공함과 동시, 향후 지속적인 대량생산 연구를 통해 동해안 특화품목으로 정착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개량조개는 노랑조개, 명주조개, 명지조개, 밀조개 등으로 불리며 주로 동중국해, 대만, 일본, 한국 등의 해역에 분포하고 있다.

 

<출처: 국립수산과학원>

(3-1)개량조개_치패.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391 경제 경북도, 마을형 퇴비자원화지원 공모사업 3개소 선정  2020.09.02 9
390 경제 경북도, 마리나 시설 개발로 해양레저관광 거점 속도 낸다  2020.10.07 9
389 경북도, 롯데온과 온라인 농특산물 유통 인프라 확대 구축  2022.07.23 176
388 경제 경북도, 롯데슈퍼와 손잡고 지역 농특산물 판로 넓힌다!  2020.09.03 10
387 경제 경북도, 로컬푸드직매장 공모에 3개소 선정.. 국비 18억원 확보  2020.10.05 6
386 경북도, 로봇직업혁신센터 개소...로봇운용 인재양성  2022.12.10 201
385 경북도, 로봇이 메뉴 추천하고 요리하는 푸드테크 산업 선도  2022.09.18 218
384 경제 경북도, 딸기 수직재배로 신공항 시대 수출 대비  2023.12.12 315
383 경북도, 디지털 전환 시대를 이끌 인재 양성에 나서다!  2020.12.14 36
382 경북도, 디지털 농업 대전환 앞두고 농업연구 역량 결집  2022.10.23 139
381 경북도, 디지털 기반 난임 생태계 조성에 본격 나선다  2023.06.30 68
380 경제 경북도, 동해안 해양신산업 혁신전략 찾는다  2020.11.02 4
379 경북도, 동서화합 철도 국가계획 반영 위해 시·도 협치  2021.04.28 17
378 경북도, 도심 복개하천을 생태하천으로 되살린다  2021.12.16 10
377 경북도, 도민주도형 그린뉴딜 플랫폼 구축 나선다  2021.04.01 25
376 경북도, 도로건설사업 신속집행으로 지역 경제 활성화  2021.02.05 34
375 경북도, 대형장비 활용한 「디지털바이오」거점 조성 앞장선다  2023.05.04 57
374 경북도, 대형산불 우려... 산불방지 대응태세 강화 한다  2021.01.20 24
373 경북도, 대표 유망 벤처·스타트업 기업과 함께!  2021.12.14 5
372 경제 경북도, 대규모 프로젝트로 미래먹거리 준비 완료!!  2020.09.29 7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