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대구미술관 소장품 59점 수집

dgmaeil 2022.10.29 15:14 조회 수 : 587

 

대구현대미술제 주요 작가들의 실험적 작품과 동시대 뉴미디어 작품 구입

영국 현대미술 대표작가 사라 루카스, 한국 실험미술 거장 김구림,

21회 이인성미술상 수상자 강요배 작가 작품 등 16점 기증받아

 

대구미술관은 2022년 소장품 수집 사업(197천만원)을 통해 대구미술의 미술사적 의의와 위상을 높이는 작품 59점을 수집했다.

 

대구 미술의 미술사적 의의와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작품 수집에 역점을 둔 대구미술관은 올해 상하반기 2차례에 나누어 작품을 수집했다.구입 43(상반기 38, 하반기 5), 기증 16(상반기 14, 하반기 2)

 

수집 현황 분석자료를 토대로 설정한 2022년 대구미술관 소장품 방향은 대구 현대미술사 흐름 반영, 1960~80년대 한국 전위예술 또는 한국 미술사 주요 작가,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는 뉴미디어, 동시대 국내외 미술을 대표하는 작가의 작품 등 크게 4가지다.

 

이 중 구입 작품은 총 43점으로 대구현대미술제 등 대구 현대미술의 실험성을 살펴볼 수 있는 작가의 작품을 포함하고 있다. 대구현대미술제의 기획과 운영을 주도했으며, 대구 현대미술 운동에 핵심 구성원이었던 황현욱Painting 1975-B(1975), ‘Painting 1975-C(1975)와 대구현대미술제를 주도하고 국내 현대미술 운동이 촉발하는 데 큰 역할을 한 이강소의 비디오 작품 Painting 78-1’(1977), 한국 비디오아트 대가인 박현기반영 시리즈’(1979) 등을 수집하였다.

 

또한 이명미 대표 시리즈 중 하나인 놀이작업의 시초인 놀이’(1976)1970년대 영상 기반 설치작품을 통해 실험적 개념작업을 선보인 김영진1984-2’(1984) 등 대구 현대미술의 실험성을 반영하는 의미 있는 작품을 다수 수집했다.

 

이와 함께 한국현대미술의 새로운 차원을 열어 개념미술과 행위미술, 대지미술, 영상 등 한국현대미술 영역을 다방면으로 확장해 나간 김구림의 작품 5(구입 2, 기증 3)도 소장하게 되었다. 이 중 한국실험영화사에서 주요한 작품인 24분의 1초의 의미’(1969)와 잔디에 일정한 패턴으로 불을 태우는 퍼포먼스이자 대지미술작업인 현상에서 흔적으로: 불과 잔디에 의한 이벤트’(1970)도 포함되어 있다.

 

이번 구입 작품에는 전쟁의 상흔과 인간의 실존을 탐구한 최만린 이브 65-8’(1965), 한국 전쟁 시기의 허무함과 우수의 감성을 표출한 권옥연 여인’(1951)1980년대 한국 사회상을 반영한 송창 난지도 매립지’(1983), 이흥덕 통일의 카페(1989) 등의 작품을 수집하여 한국 근현대사를 반영하는 작품을 다수 소장하게 되었다.

 

또한 현재 대구미술관에서 전시 중인 프랑스 현대미술의 거장 다니엘 뷔렌(Daniel Buren) 작품 2점을 수집하였으며,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동시대 메시지를 전하는 뉴미디어 작품 17점을 수집하여 풍성한 수집 결과를 만들었다.

 

구입과 함께 16점의 작품이 기증으로 수집되었다. 영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yBa(young British artists) 대표작가 중 일인인 사라 루카스(Sarah Lucas)차이나 누드2’(2019)(현대화섬 손상모 대표 기증), 감각적 구도와 색채로 주목받고 있는 미국 작가 조나단 가드너(Jonathan Gardner)다이닝 신’(2021)(개인 소장가 기증), 디지털 시대 속 조각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최하늘다각’(2020)(소통하는 그림연구소 이소영 대표 기증), 다채로운 색감과 기하학적 패턴의 회화로 주목받는 힐러리 페시스(Hilary Pecis)오래된 덩굴’(2022)(홍원표 기증) 등 소장가들의 기증이 올해도 이어졌다.

 

이와 함께 한국 실험미술의 선구자 김구림 작가의 1970년대 작품 3, 대구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곽훈, 대구 원로작가 강근창, 남충모의 작품을 기증받았으며, ‘2021 대구포럼-시를 위한 놀이터전시의 출품작 비아 레반도프스키(Via Lewandowsky)굿 갓(Good God)’(2018/2021), 21회 이인성미술상 수상자 강요배어느 가을날’(2021)‘2022 다티스트 위치--제안전시의 출품작인 박창서5607250’(2022)등 작가 기증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수집 결과에 대해 대구미술관 관계자는 이번 수집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대구미술관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기 위해 대구에서 촉발된 한국현대미술사의 주요 사건과 관련된 작품과 한국 현대미술의 실험성이 두드러지는 작품들을 수집하였다는 사실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뉴미디어 부문의 작품들을 다수 수집하게 되어 보다 다채로운 소장품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대구 미술 발전을 위해 소중한 작품을 기꺼이 기증해주신 기증자들을 예우하고 기증 문화가 잘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대구미술관은 소중한 작품을 공공재로 내어 준 기증자에게 기증자의 벽 이름 등재, 기증증서와 감사패 수여, 각종 미술관 주최 전시 및 행사 초대, 미술관 간행물 무료 제공 등 다양한 예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수집 작품은 심도 있는 연구를 통해 전시, 교육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대중에게 선보이며 가치를 공유할 수 있는 문화예술자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기타 상세내용은 053-803-7863으로 문의하면 된다.

 

사라 루카스, 차이나 누드 2, 2019, 타이츠(스타킹), 솜, 와이어, 35×38×30㎝, ㈜현대화섬 손상모대표 기증.jpg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249 <2020 제1회 세계문화산업포럼> 개최 2020.10.26 8
1248 <2022 아트in대구, 오픈리그>전 참여 작가 공모 file 2021.12.08 10
1247 <달의 세계>로 가을밤 따뜻한 웃음을! 2020.10.08 9
1246 <박물관과 함께‘대구 역사 아는 날’> 운영 시작 file 2023.05.17 96
1245 <제14회 DIMF> 10월 12일(월) 오후 2시 티켓오픈 ! 2020.10.08 11
1244 "Thank you Daegu, Remember 수성못(2020M) 걷기 캠페인" 2020.10.27 14
1243 '코로나19 의료진 응원' 미디어 아트 대구의료원 전시 2020.08.25 10
1242 (사)대구광역시 수의사회, (사)경상북도 수의사회 상호협력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2020.10.06 28
1241 (사)한국농촌지도자대구광역시연합회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농촌환경 조성에 앞장 2020.08.13 10
1240 (재)대구평생학습진흥원 초대 원장에 장원용씨 내정 2020.10.27 5
1239 (주)신신엠엔씨, 대구3호‘나눔명문기업’가입 file 2021.12.15 8
1238 (주)프라임1024 file 2024.02.21 318
1237 - 2021 다티스트 <차계남>, 6월 8일부터 - file 2021.06.08 24
1236 - 2023년 동대구역 광장 국화전시회 개최 - file 2023.10.27 88
1235 - 다 함께 동행, POWER UP DAEGU - 전국 유일의 여성정책박람회,‘2022 여성UP엑스포’개최! file 2022.08.28 210
1234 100만평 규모 대구 제2국가산업단지 유치 확정, 대구굴기의 신호탄! file 2023.03.16 171
1233 100명의 성악가와 한국가곡 100년의 소리를 듣다. file 2022.09.10 117
1232 10배 정밀한 광 바이오센서 설계 기술 개발 2020.10.08 12
1231 10월 항쟁 등 민간인 희생자 위령탑 건립 2020.11.02 6
1230 11개 대구기업 대구경북첨단벤처산업대상 수상 file 2021.12.0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