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1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11.28~12.3 17차 무형유산위원회에서 한국의 탈춤등재유력 -

-한국의 탈춤,내방가사·삼국유사UNESCO 등재 청신호 -

- 24~26일 안동에서 9MOWCAP 총회에서 등재여부 결정 -

 

경상북도는 한국의 탈춤내방가사」․「삼국유사가 각각 유네스코(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 및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으로 등재가 유력시 된다고 밝혔다.

 

최근 한국의 탈춤이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간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 산하 평가기구로부터등재권고를 받은 이상 특별한 변수가 없는 한, 17차 무형유산위원회(11.2812.3, 모로코 개최)에서 등재가 확실시 된다.

 

내방가사」․「삼국유사는 이달 24일부터 26일까지(3일간) 안동에서 열리는 제9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아시아·태평양 지역위원회(MOWCAP) 총회에서 등재여부가 결정된다.

 

이번 총회가 국내에서 개최되는 만큼 등재에 유리한 상황이라 전망하고 막판까지 등재분위기 조성에 집중할 방침이다.

 

내방가사: 1820세기까지 작성된 내방가사 유일필사본

등재대상 : 348(한국국학진흥원 222, 국립한글박물관 126)

등재가치 : 동아시아 여성의 주체적 활동에 대한 증거

 

삼국유사 : 3개기관 보유 삼국유사 판본

등재대상 : 3(연세대박물관-초기본, 범어사-초기본, 서울대규장각-중기본)

등재가치 : 13세기 민족의식 형성의 기록

 

 

우리나라의 세계문화유산 13건 가운데 5건을 보유(38% 차지)하고 있는 경북은 세계기록유산 유교책판과 아태기록유산 한국의 편액, 만인소등 기록유산의 보고(寶庫)일 뿐만 아니라 미래 문화유산도 풍부한 곳이다.

 

또 이번 한국의 탈춤18개 탈춤 종목 가운데 국가무형문화재인 안동 하회별신굿탈놀이와 도무형문화재인 예천 청단놀음이 포함돼 있다.

 

아울러, 내방가사」․「삼국유사도 우리 지역과 연관성이 큰 기록유산으로서 이번에 유네스코로부터 그 가치를 인증 받게 되면 경북은 명실 공히 우리나라 세계유산의 중심지로서 확고히 자리매김하게 된다.

 

특히, 한국의 탈춤이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될 경우, 안동 하회별신굿탈놀이를 전승·보존해온 하회마을은 세계유산, 세계기록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등 3대 카테고리를 모두 보유하게 되는 역사마을이 될 전망이다.

 

이는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사례라 그 의미가 크다.

 

향후 경북도는 세계유산 최다보유 지역이라는 명성에 걸맞도록 세계유산의 보존·관리·활용에 각별히 힘써 나갈 계획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토록 첨단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대전환을 선도하고, 국립세계문화유산센터가 우리 지역에 건립될 수 있도록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김상철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경북 전통유산의 연이은 유네스코 등재는 전 세계가 그 가치와 우수성을 인정한 결과이다라며, “계속해서 우수한 문화유산을 발굴하고 더욱 전승·발전시켜 경북이 K-Culture의 중심지로 우뚝 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8)지황1.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931 경북농공단지, 도약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다  2022.08.28 75
930 쾌적한 공중화장실 깨끗하게 사용하세요  2022.08.28 74
929 사회 11월11일은‘덜식의 날’... 덜어먹는 식문화로 코로나 극복  2020.11.11 74
928 경북도, 군위군 대구시 편입준비 차질 없이‘착착’  2023.03.24 74
927 영호남“수도권 독과점체제 타파, 확실한 지방시대”공동대응  2023.03.24 74
926 청년들의 새로운 도전, 「경북살이 청년실험실」발대식 개최  2023.06.02 74
925 4년 만의 생활체육동호인 대축제! 화려한 개막 눈앞에!  2023.04.24 74
924 2023 경북여행 숏폼 영상 공모전개최  2023.04.10 74
923 경북도, 올해 전기자동차 3만대 시대 열어…  2023.04.06 74
922 가치를 마시고, 경험을 나누다「호피 홀리데이」 수제맥주 핫플로 주목  2023.04.06 74
921 경제 산학연협력사업 종합평가 결과, 지역 전략작목 육성 성과 우수  2020.11.06 73
920 경북도, 태풍 피해 주택 전기시설 민관합동 긴급복구 지원  2022.09.10 73
919 경북도 약용작물 산업 발전에 앞장선다!  2023.03.28 73
918 경북도, 2024년 지역특화형 비자사업 준비 돌입  2023.07.05 73
917 경북의 힘으로 새로운 대한민국, 모두가 건강한 나라, 행복한 대한민국!  2023.04.10 73
916 경북도 빠른 산불 진화, 남다른 이유 있었네!  2023.04.06 73
915 경북도, 「한중 지방산업 교류 협력 포럼」 개최  2023.04.07 73
914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부산세계박람회 유치 지원 결의문 채택  2023.04.07 73
913 경북도, 9월 가을축제 서막 올리다  2022.08.28 72
912 경북 고품질 딸기 육성 위한 현장전문가 교육 실시  2022.08.28 72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