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17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바다가 보물이라호미곶 해녀의 삶과 바다 음식 이야기 책 발-

-서울 셰프작가, 현지 사진작가, 경북해녀 3자 콜라보의 역작-

 

경상북도와 영덕로하스수산식품지원센터(센터장 김명욱)은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다음으로 해녀가 많은 경북 호미곶 지역의 육지해녀의 삶과 음식문화의 발굴, 보전 및 전승을 위해 <바다가 보물이라>는 제목의 책을 발간했다.

 

이어 지난 21일 포항 구룡포 어촌계 사무실에서 발간회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책의 저자인 박찬일 셰프와 김수정 사진작가, 그리고 이야기에 등장하는 해녀 20여명이 참석했다.

 

호미곶 해녀의 삶과 바다 음식 이야기를 담은 <바다가 보물이라>는 요리사이자 작가인 박찬일 셰프가 20여명의 호미곶 해녀들과 직접 만나 대화하고 보고 느끼면서 그들의 애환과 눈물을 담았다.

 

또 김수정 해녀전문 사진작가가 동행 취재한 현장 사진을 풍부하게 넣어서 해녀와 직접 대화를 하는 듯 생동감이 넘친다는 평을 받고 있다.

 

해녀는... 위기를 맞은 지구의 상징

 

해녀는 직업으로서 매우 드문 존재다. 한국과 일본에만 있다. 고대부터 시작된 유구한 역사를 가진 인간의 물질은 해녀라는 존재로 남아 위기를 맞은 지구의 상징이 됐다.

 

그들은 순전히 몸과 경험으로 바다에서 귀한 물건을 건져낸다. 해녀의 삶은 또한 우리가 기대고 살았던 어머니 시대의 기록이기도 하다.

 

거친파도, 억센조류에 맞서 바다에 뛰어들었으며 세상의 무관심과 나아가 냉대와도 싸워왔다. 그것은 가족을 부양하고자 했던 어머니의 생존 방식이었다라며 박찬일 작가는 책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경북은 우리나라에서 두 번째로 해녀가 많은 광역단체이며 육지해녀의 대표지역이라고 볼 수 있다.

 

해녀의 인물, 산물, 음식, 노포 등을 발굴하고 기록해 경북 동해안 해녀음식 이야기’, ‘바다가 보물이라등 해녀 스토리북(Story book)을 발간했으며, 지속해서 경북 동해음식 문화사를 재조명할 계획이다.

 

김남일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호미반도 해녀들의 인물 콘텐츠를 담은 <바다가 보물이라>는 서울의 셰프작가와 현지의 사진 작가, 그리고 경북해녀 3자가 콜로보로 만든 역작이다라며 호미반도는 동해안 지역 최대 해녀문화 전승지역이며 1700억원이 투입되는 국가해양정원 조성사업의 예비타당성 심사를 앞두고 있어 이런 기록집들이 사업추진에 많이 기여할 것이다. 앞으로 경북 해녀의 전통과 문화를 보존하고 전승해 문화사 차원으로 승화시키겠다고 밝혔다.

 

 

 (4-1)바다가_보물이라_출판회.jpg

 


  1. 24Dec
    by dgmaeil
    2022/12/24 Views 175 

    경북도, 육지해녀 삶과 음식문화 발굴‧보전‧전승 나서

  2. 도심형 친환경 근거리 배송서비스 실증 간담회 개최

  3. 경북도, 물기업 지원 유관기관 협력기반 강화

  4. 경북도, 광역크루즈ㆍ국제 마리나네트워크 구축 나서

  5. 영양고추연구소, 내년에 고추연구 세미나동 들어서

  6. 경북도, 청년마을 확산ㆍ기여...대통령 기관표창 수상

  7. 경북도, 인공지능 생태계 조성에 박차

  8. 경북도, 자율주행자동차 산업전환 큰걸음

  9. 경북, 탄소기업의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곳

  10. 경북도, 베트남과 경제ㆍ인력분야 새로운 이정표 만들어

  11. 경북도, 문화재 안내 잘했다

  12. 바로마켓 경북점, 지역과 상생하는 도심형 정례장터로 자리매김

  13. 코로나19 방역 최강...진드기 감염병 사업도 최고 경북

  14. 경북도, 로봇직업혁신센터 개소...로봇운용 인재양성

  15. 경북도,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역량강화 컨퍼런스 개최

  16. No Image 10Dec
    by
    2022/12/10 Views 196 

    클릭 한번으로 농업환경정보 다(多) 제공

  17. 경북도, 대구경북신공항 관련 청년들과 솔직한 대화 나눠

  18. 대구경북 수출 재도약, 2023 세계시장 진출전략 소개

  19. 경북관광인 한자리에, 세계와 함께하는 관광경북 실현 다짐

  20. 경북도, 지역 건설인들이 지방시대 주도해 달라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