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2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울진 일원 국립 2개 기관 유치 -

- 지원 사업에 1000억여원 예산 확보 -

 

지난해 3월 4일 울진 북면 두천리에서 발생한 산불은 수많은 이들에 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 작은 불씨로 시작된 화마는 큰 산불로 번져 327세대 466명의 주민이 한순간에 삶의 터전을 잃었고 1만4140ha 의 산림이 소실되고 송이산 도 예외 없이 큰 피해를 보았다.

 

발화에서 진화까지 213시간 역대 최장산불, 단일 지역 최대 산림피해 면적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도 함께 썼다.

 

울타리 없는 산을 지키기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산불예방이 최 우선이라는 교훈과 초기 진화에 따라 피해규모가 결정된다는 뼈아픈 가르침을 얻었다. 경북도는 산불로 큰 피해를 보았지만, 잿더미에서 희망의 싹을 틔우 고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지난해 5월 8일 대구엑스코에서 열린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지역균형 발전특별위원회의 경북공약보고회에서 산림대전환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에 도는 그간 구상해온 산불피해지의 생태․경제․문화에 대한 생산적 복원 등 포괄적 산림대전환을 추진하는 4대 역량강화 전략프로젝트와 16개 과제를 구체화했다.

 

주민의 소득원 상실 문제를 해결하고 산림 일자리가 창출되고, 나아 가 산불피해지역이 사람과 자연이 상생하는 산림과학 클러스터와 동 해안 산림관광의 중심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온 힘을 기울였다.

 

그 결과 피해복구와 예방 등 재해안전망 구축을 위한 국립동해안산불 방지센터 산지생태의 생산적 복원으로 산림의 미래비전 제시를 위한 국립산지생태원, 산불 피해목 및 우량임목을 통한 국산목재 자급률 향상을 위한 경상권목재자원화센터 건립 예산이 지난해 연말 국회의 문턱을 넘었다.

 

이번에 확정된 국립동해안산불방지센터는 총사업비 360억원 규모로 2025년에 마무리 하게 된다. 올해는 설계비 국비 3억원이 반영됐다. 센터가 조성되면 지구온난화 로 빈번해지고 피해규모도 커진 경북 동해안지역 산불재난을 통합하 는 지휘본부의 역할을 맡게 된다.

 

국립산지생태원은 총사업비 402억원 규모로 산불피해지역에 2027년에 마무리 하게 된다. 올해는 기본구상용역비 2억원이 반영됐다. 국립산지생태원이 조성되 면 산림생태복원과정을 연구하고 체험할 수 있는 시설로 새로운 산림 소득 창출이 기대된다.

 

경북형 동서트레일 조성*은 도내 6개 시‧군 (275km/사업비 116억원)을 지나는 장거리 트레일로 2023년 착공해 2026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북 울진군~충남 태안군까지 5개 광역시‧도를 연결하는 849km 트레일 이를 통해 낙동정맥 트레일, 금강소나무숲길 등 기존 숲길과 연계되 고, 거점마을과 생태‧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 여할 계획이다.

 

경상권 목재자원화 센터는 산불피해목과 산림에서 생산되는 우량목재 등 목재자원의 가치 있는 활용을 위한 시설로써 총사업비100억원 규 모로 2025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한다.

 

센터가 준공되면 목조건축물 확대, 국산목재를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 지역경제 활력이 기대된다.

 

지난해 12월 13일 울진에서는 뜻깊은 행사가 있었다. 대형산불 취약 지인 동해안 지역에 산불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울진산림항공관리소 (울진 기성)에서 초대형헬기(S-64E) 취항식을 가졌다. 초대형 헬기는 담수량 8000리터, 1회 진화면적 2400㎡(702여 평), 최 대 체공 시간은 2시간 30분이다.

 

경북도내는 산림청 초대형 헬기 2대와 대형 5대, 시군임차헬기 17대 가 확보돼 산불 공중 대응력이 한층 강화됐다. 현재 산림청에는 초대 형 헬기7대를 보유 중이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지난해 발생한 울진 산불피해지 에 대해 2027년 12월까지 조림, 생태복원, 항구복구 등을 차질 없이 마무리하겠다”며 “대형산불 이후 산사태, 토사유출 등 산불로부터 2차 피해 예방과 산불의 상흔으로부터 지역주민이 편안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3-3)강원도_동해안산불방지센터.pn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11 사회 경북소방, 인사혁신 우수사례 발표대회 열어  2020.10.19 5
110 경제 세계화시대! 다문화자녀의 언어능력이 경쟁력이다!  2020.10.19 5
109 경북도, 대표 유망 벤처·스타트업 기업과 함께!  2021.12.14 5
108 경북 기업홍보용 미디어월 제막식 개최  2021.12.14 5
107 경북도, 영농형 태양광에 적합한 약용작물 재배 첫 연구  2021.12.22 4
106 경북의 농가맛집, 특화밥상으로 꽃 피다  2021.12.20 4
105 경제 포항 남과 북을 잇는 동빈대교 기공... 명품 해양교량으로 건설  2020.11.05 4
104 교육 경북서남부노인보호전문기관 교육관 개관  2020.11.05 4
103 경제 포항 남과 북을 잇는 동빈대교 기공... 명품 해양교량으로 건설  2020.11.05 4
102 경제 경북도 썸남썸녀 동아리 워크숍에서 맺은 인연, 오늘부터 1일  2020.11.02 4
101 문화 역사유적을 품은 도심 힐링공간.. 성주 역사테마파크 준공  2020.11.02 4
100 사회 경북도, 장애인 인권침해 예방 영상교육 실시  2020.11.02 4
99 경제 경북도, 동해안 해양신산업 혁신전략 찾는다  2020.11.02 4
98 사회 경북도, 위기가구 긴급생계지원 신청 11월 6일까지 연장  2020.11.02 4
97 경제 ‘민생․경제투어’첫 방문지로 경북 찾은 정 총리  2020.11.02 4
96 경제 경북 중소기업, 인도․중국․러시아와 비대면 수출상담회 열어  2020.10.27 4
95 문화 화랑체험 문화공간... 영천 화랑설화마을 개관  2020.10.27 4
94 경제 경북도⇔에쓰푸드㈜, 식용 곤충산업 활성화에 손잡는다  2020.10.27 4
93 경제 경북도, 농촌 일손부족 해소를 위해 가을철 일손돕기에 나선다  2020.10.26 4
92 경제 동해안 지질대장정, 올해는 비대면으로 떠나요!  2020.10.26 4
Board Pagination Prev 1 ...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