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2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울진 일원 국립 2개 기관 유치 -

- 지원 사업에 1000억여원 예산 확보 -

 

지난해 3월 4일 울진 북면 두천리에서 발생한 산불은 수많은 이들에 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 작은 불씨로 시작된 화마는 큰 산불로 번져 327세대 466명의 주민이 한순간에 삶의 터전을 잃었고 1만4140ha 의 산림이 소실되고 송이산 도 예외 없이 큰 피해를 보았다.

 

발화에서 진화까지 213시간 역대 최장산불, 단일 지역 최대 산림피해 면적이라는 전무후무한 기록도 함께 썼다.

 

울타리 없는 산을 지키기가 결코 쉬운 일은 아니지만 산불예방이 최 우선이라는 교훈과 초기 진화에 따라 피해규모가 결정된다는 뼈아픈 가르침을 얻었다. 경북도는 산불로 큰 피해를 보았지만, 잿더미에서 희망의 싹을 틔우 고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나가고 있다.

 

지난해 5월 8일 대구엑스코에서 열린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지역균형 발전특별위원회의 경북공약보고회에서 산림대전환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에 도는 그간 구상해온 산불피해지의 생태․경제․문화에 대한 생산적 복원 등 포괄적 산림대전환을 추진하는 4대 역량강화 전략프로젝트와 16개 과제를 구체화했다.

 

주민의 소득원 상실 문제를 해결하고 산림 일자리가 창출되고, 나아 가 산불피해지역이 사람과 자연이 상생하는 산림과학 클러스터와 동 해안 산림관광의 중심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온 힘을 기울였다.

 

그 결과 피해복구와 예방 등 재해안전망 구축을 위한 국립동해안산불 방지센터 산지생태의 생산적 복원으로 산림의 미래비전 제시를 위한 국립산지생태원, 산불 피해목 및 우량임목을 통한 국산목재 자급률 향상을 위한 경상권목재자원화센터 건립 예산이 지난해 연말 국회의 문턱을 넘었다.

 

이번에 확정된 국립동해안산불방지센터는 총사업비 360억원 규모로 2025년에 마무리 하게 된다. 올해는 설계비 국비 3억원이 반영됐다. 센터가 조성되면 지구온난화 로 빈번해지고 피해규모도 커진 경북 동해안지역 산불재난을 통합하 는 지휘본부의 역할을 맡게 된다.

 

국립산지생태원은 총사업비 402억원 규모로 산불피해지역에 2027년에 마무리 하게 된다. 올해는 기본구상용역비 2억원이 반영됐다. 국립산지생태원이 조성되 면 산림생태복원과정을 연구하고 체험할 수 있는 시설로 새로운 산림 소득 창출이 기대된다.

 

경북형 동서트레일 조성*은 도내 6개 시‧군 (275km/사업비 116억원)을 지나는 장거리 트레일로 2023년 착공해 2026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경북 울진군~충남 태안군까지 5개 광역시‧도를 연결하는 849km 트레일 이를 통해 낙동정맥 트레일, 금강소나무숲길 등 기존 숲길과 연계되 고, 거점마을과 생태‧문화‧관광자원을 활용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 여할 계획이다.

 

경상권 목재자원화 센터는 산불피해목과 산림에서 생산되는 우량목재 등 목재자원의 가치 있는 활용을 위한 시설로써 총사업비100억원 규 모로 2025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한다.

 

센터가 준공되면 목조건축물 확대, 국산목재를 통한 고부가가치 창출, 지역경제 활력이 기대된다.

 

지난해 12월 13일 울진에서는 뜻깊은 행사가 있었다. 대형산불 취약 지인 동해안 지역에 산불대응력을 높이기 위해 울진산림항공관리소 (울진 기성)에서 초대형헬기(S-64E) 취항식을 가졌다. 초대형 헬기는 담수량 8000리터, 1회 진화면적 2400㎡(702여 평), 최 대 체공 시간은 2시간 30분이다.

 

경북도내는 산림청 초대형 헬기 2대와 대형 5대, 시군임차헬기 17대 가 확보돼 산불 공중 대응력이 한층 강화됐다. 현재 산림청에는 초대 형 헬기7대를 보유 중이다.

 

최영숙 경북도 환경산림자원국장은 “지난해 발생한 울진 산불피해지 에 대해 2027년 12월까지 조림, 생태복원, 항구복구 등을 차질 없이 마무리하겠다”며 “대형산불 이후 산사태, 토사유출 등 산불로부터 2차 피해 예방과 산불의 상흔으로부터 지역주민이 편안한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3-3)강원도_동해안산불방지센터.pn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245 코로나19 방역 최강...진드기 감염병 사업도 최고 경북  2022.12.10 213
1244 코로나19 물렀거라... 우리는 숲에서 면역력 키워요!  2021.05.18 36
1243 사회 코로나19 극복! 어려울수록 더 강해지는 구미시!  2020.12.31 31
1242 코로나19 국산백신의 새 시대, 경북바이오산단에서 열다  2022.09.03 78
1241 사회 코로나 집단감염 대비 안전점검 실시.. 현장의 목소리 듣는다  2020.09.25 6
1240 코로나 이겨낸 경북 청년정책... 목표이행률 105% 달성  2021.12.20 5
1239 경제 코로나 시대 경북 전통주도 드라이브 스루로~!  2020.10.12 7
1238 사회 코로나 방어 최일선 경북 생활치료센터에 응원 이어져  2020.09.04 11
1237 칠곡경찰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범죄·피해예방 교육 실시  2023.10.27 114
1236 사회 치매 안심지역 경북, 코로나에도 치매돌봄 공백 최소화  2020.09.25 8
1235 경제 측정분석기관 숙련도 평가에서 경북보건환경연구원‘적합’인증  2020.10.21 4
1234 축산×데이터·인공지능(AI) 융합프로젝트 본격 추진  2021.12.21 6
1233 사회 추석연휴 단계별 특별감시로 환경오염행위 사전 차단!  2020.09.21 5
1232 사회 추석명절 공중화장실 일제점검 및 편의대책 추진!  2020.09.29 8
1231 사회 추석맞이 도로정비 완료, 안전하고 편안한 귀성길 되세요  2020.09.29 9
1230 경제 추석 연휴기간, LP가스 사용 각별한 주의 필요  2020.09.29 2
1229 경제 추석 안전은 119에 맡기고, 편안한 한가위 보내세요  2020.09.28 4
1228 사회 추석 성수식품 안심하고 드세요!  2020.09.25 5
1227 사회 추석 벌초․성묘객 벌 쏘임 및 예초기 안전사고 주의!!  2020.09.14 5
1226 경제 추석 명절 대비 구제역․AI․아프리카돼지열병 등 방역강화  2020.09.29 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6 Next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