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7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우리가 함께 그린그린바이오 산업 발전 협의회미래를 그리다!

 

 

경북도는 27일 강원도 평창에서 열린 그린바이오 산업 발전 협의회에 참석해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와 그린바이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의회에는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7개 광역지자체(경북, 강원, 전북, 경남, 대전, 제주, 충북)와 그린바이오 분야 기업, 거점기관 관계자, 전문가 등 40여명이 참석해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방안에 대해 토론했다.

 

이 자리에서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경북도에서 유치한 그린바이오 벤처 캠퍼스에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지역 센터를 설치해 그린바이오 기업의 창업보육을 위한 중앙과 지역의 가교 역할을 해 줄 것을 건의했다.

 

 

<그린바이오 벤처 캠퍼스>

 

 

 

사업기간: 2022 ~ 2029(8년간) 구축(‘22~’25), 기업지원(‘25~’29)

사업위치: 경북 포항시 북구 흥해읍 이인리 일원(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 )

추진주체: 농림축산식품부, 경상북도, 포항시 / ()포항테크노파크

총사업비: 350억원(국비 161.7, 도비 48.1, 시군비 140.2)

사업내용: 그린바이오 산업 분야 중소벤처기업 지원 시설 구축 및 기업 지원

 

 

이날 농식품부와 광역지자체가 체결한 그린바이오 산업 활성화 업무협약은 그린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해 농업인의 소득증대, 농업과 그린바이오산업의 연계 강화 및 농업의 미래성장 산업화를 목표로 공동 협력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경북도는 그린바이오 산업 분야 거점 중 동물용의약품(포항)’, ‘곤충(예천)’ 등의 2대 분야 거점으로 지정됐으며, ‘그린바이오 벤처 캠퍼스를 조성 중에 있어 향후 역할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image01.png

또 이번 협의회 참여를 통해 동물용의약품(포항)과 헴프를 포함한 천연물(안동) 및 곤충(예천) 산업의 체계적인 정부 지원과 더불어 초광역 협력 체계 구축을 기대하고 있으며, 지역 그린바이오 분야 산연과 함께 미래 신성장 산업을 발굴해 경북형 그린바이오 산업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발족식에 맞춰 열린 그린바이오 기업 제품 홍보 행사에는 도내 기업인 바이오앱, 진셀바이오텍의 식물기반 동물용의약품 관련 제품과 대마를 활용해 맥주, 종자유 등을 생산하는 헴프앤알바이오, 식물성 대체식품을 개발하는 에이치엔노바텍, 장내 유산균제품을 생산하는 에이치에스디바이오 등 5개 기업의 제품을 전시해 우수한 기술력을 선보였다.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와 지방이 함께하는 협의체 구성에 환영의 뜻을 나타내고, “그동안 경북은 북부권과 동해안권을 중심으로 특화된 그린바이오 산업을 육성해 왔으며 협의회 참여를 통해 산업을 한층 더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경북의 힘으로 지방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지역의 의견을 전달하고 정부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8.그린바이오_산업_발전_발족식5.JPG

대구경북매일편집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091 경북 포항시, 2021년 해양도시 위상 드높인다.  2020.12.14 40
1090 경북 프라이드기업, 지역대표기업으로 성장 기대  2021.12.13 4
1089 경제 경북 학교 밖 청소년 자립지원을 위한 업무협약  2020.10.28 9
1088 경북 화목보일러 화재, 전국에서 3번째로 많다  2021.12.08 28
1087 경북 화장품기업, 미국 최대 미용전시회서 1천185만 달러 수출상담  2023.07.18 588
1086 경북, 지자체 최초 중대재해 안전협의체 출범  2021.12.14 9
1085 경북, 탄소기업의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곳  2022.12.17 172
1084 경북-전북, 올해 22회째 이어온 영호남 관광교류전 개최  2022.08.20 71
1083 사회 경북119구급대, 코로나 확진자 생활치료센터 이송지원  2020.08.28 9
1082 경제 경북1호 벼품종‘다솜쌀’현장평가회... 우수성 입증  2020.10.07 7
1081 사회 경북‘마이삭’피해 심각, 국고지원해 신속히 피해복구해야...  2020.09.04 10
1080 경제 경북․전남․세종이 농어업․농어촌 뉴딜을 함께 고민한다!  2020.10.28 13
1079 사회 경북경로당에는 어르신을 위한 행복도우미선생님이 있다  2020.09.29 7
1078 경북고향장터‘사이소몰’질적 성장 재도약 기반 마련  2021.01.20 20
1077 경북관광 1억명 시대 목표, 2030 경북관광 비전 선포!  2023.03.17 29
1076 경북관광두레, 명품‘전통주’로 관광상품 개발 박차  2021.01.14 32
1075 경북관광인 한자리에, 세계와 함께하는 관광경북 실현 다짐  2022.12.10 209
1074 경북광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주민 취․창업 강화 나서  2021.04.20 10
1073 경북광역푸드뱅크, 포항에 긴급구호물품 전달  2022.09.10 79
1072 경북농공단지, 도약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다  2022.08.28 75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