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8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여정의 시작

 

 

경북도에서는 지방시대 혁명이라는 새로운 역사의 드라마가 시작되고 있다.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서울 쏠림과 지방소멸의 악순환을 끊어내려는 진지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지방시대를 이끌어가는 한 정신의 축이 바로 퇴계 선생의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이다.

 

퇴계선생은 16세기 서울 한양으로 쏠리던 국가의 자원과 인재를 서원 운동을 통해 지방으로 되돌려 놓은 위대한 스승이자 지방시대 혁명으로 이끄신 위대한 학자다.

 

<16세기 서원운동>

- 조선에 서원 제도가 도입되던 시기는 16세기 중엽이다. 1543(중종 38) 주세붕(周世鵬)이 풍기에 설립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시초로 하고 있지만, 조선 서원의 체제를 정비한 인물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이다. 이황은 1550(명종 5) 백운동서원의 사액(賜額)을 실현시켰고, 초기 서원의 체제를 정비하였다.

 

- 퇴계선생의 서원운동은 지방의 교육혁신, 지역 인재양성 및 인구증가, 일자리 창출, 관광·교육 등을 통한 관계 인구 확대, 종가 문화를 통한 안채 교육(격대보육, 효와 예절 등 담당)과 사랑채 교육(권학담당) 등 한양을 능가하는 지방 생활문화 창조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가르침을 지방혁명의 시대정신으로 살리기 위해 경북도는 안동시, 도산서원과 함께 27일 서울 경복궁 사정전에서 개막식을 열고 49일까지 14일간의 여정을 시작했다.

 

개막식에는 이철우 경북도지사, 오세훈 서울시장, 이경훈 문화재청 차장, 이치억 퇴계종손, 유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45명으로 구성된 재현단은 선조에게 하직 인사를 하고 귀향길에 오른 경복궁에서 도산서원까지 총 270거리의 퇴계선생 발자취를 따라 걸으며 진정한 지방시대를 개척한 선생의 참뜻을 되새길 예정이다.

 

, 재현단은 서울시를 비롯한 경기도(남양주, 양평, 여주), 강원도(), 충북도(충주, 제천, 단양), 경북도(영주, 안동) 5개 광역자치단체를 지나며 역사유적·문화유산에 대해서도 알아가는 시간을 가진다.

 

퇴계 선생의 귀향길은 지금 우리 사회에 만연한 수도권 집중과 지방소멸, 인구감소, 불공정과 차별, 세대 갈등 등과 같은 문제에 있어 우리에게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경북도에서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지방시대 대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먼저 수도권 집중 해소 지방정부 권한이양으로 교육 혁명, 일자리 혁명 주도 지역 특화형 비자 및 광역 비자 제도를 통한 지방주도형 외국인 정책 선도 사회통합을 통한 외국인 공동체 구현 등을 통해 대한민국의 판을 바꾸고 있다.

 

이는 퇴계선생의 서원 운동과 동일한 맥락에서 볼 수 있다. 퇴계선생은 지방에 내려와 서원을 만들면서 유능한 인재들이 지방으로 모였고, 그로 인해 인구가 늘고 지역경제가 번영하기 시작했다.

 

이번 재현행사를 통해 퇴계 선생의 정신을 되새기고 지방시대를 이끌어 가는 정신적 토대로서 그 의미가 크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을 통해 실천과 공경, 배려, 존중의 선비정신을 실천하고, 특히 서원을 통한 지방 인재 양성, 지역공동체 형성, 지방인구 유입 등 지방시대에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신 퇴계선생의 가르침을 되새겨 지방시대를 열어가는 제2 퇴계혁명의 정신으로 계승·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오세훈 서울시장은 행사에 앞서 간담회를 갖고 지난 1월 체결한 업무협약의 4대 분야 관광·문화 교류 강화 고향사랑기부제 홍보 강화 청년 교류 강화 경북 특산물 판매지원 및 홍보(안테나숍 설치)에 대한 세부적인 추진방안을 논의했다

 

7.퇴계선생 귀향길1.jpg

대구경북매일편집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971 문화 경북도, 낙동강 문명사 연구 마무리... 문명적 가치 재발견  2020.10.07 9
970 사회 경북소방본부, 특별교육으로 자살위기 대응능력 높인다  2020.10.07 7
969 사회 경북도, 코로나에 지친 도민 정신건강 돌봄에 앞장서  2020.10.07 8
968 사회 이철우 도지사, 코로나 의료진을 위해 희망나눔 도시락 전달  2020.10.08 8
967 사회 이철우 도지사, 전국기능경기대회 종합우승으로 기술경북 입증  2020.10.08 7
966 사회 대통령 직속 청년특위, 이웃사촌 시범마을 찾아 현장 목소리 청취  2020.10.08 7
965 문화 불국숙박단지 조명 테마거리 조성해 야경명소 만든다  2020.10.08 7
964 경제 안동농수산물검사소, 농산물 잔류농약 통계 연보 발간  2020.10.08 8
963 사회 경북소방본부, 심․뇌혈관 질환 예방 홍보 강화한다  2020.10.08 8
962 경제 경북도, 수산업경영인의 코로나 이후 시장대응력 높인다  2020.10.08 8
961 경제 코로나 시대 경북 전통주도 드라이브 스루로~!  2020.10.12 7
960 경제 경상북도 농작물 병해충 자동예보로 스마트농업 선도!  2020.10.12 6
959 사회 안전경북을 위한 시설공사 하자 특정감사 실시  2020.10.12 7
958 문화 경주의 화려한 밤과 아시아 별들의 향연.. 550만명 라이브 관람  2020.10.12 11
957 경제 이철우 도지사, 코로나 백신 글로벌 생산기지 SK바이오사이언스 방문  2020.10.12 8
956 경제 경북도, 공항신도시 및 공항 연계 광역교통망 구축 START  2020.10.12 5
955 경제 경북도, 곤충산업 육성지원 공모사업 전국 최다 선정 쾌거  2020.10.12 5
954 경제 경북도, 녹색자금 공모사업 11개소선정... 국비 18억원 확보  2020.10.12 15
953 경제 경북 농특산품, 추석명절 53억원 판매로 대박 행진!  2020.10.12 9
952 사회 3분기 화재발생 분석, 태풍과 장마철에도 화재 방심은 절대 금물  2020.10.12 8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