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상북도 UNESCO 세계유산 미래전략 2030

 

 

비전선포식 개최

 

 

경북도는 28일 도청 대회의실(화백당)에서 경상북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미래전략 2030비전선포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이철우 도지사를 비롯해 이경훈 문화재청 차장, 도내 세계유산을 보유한 자치단체장(주낙영 경주시장, 권기창 안동시장, 송호준 영주부시장, 김학동 예천군수) 및 세계유산 전문가로 구성된 추진위원들이 참석해 경상북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미래전략 2030(이하 세계유산 미래전략’) 계획수립의 의미를 공유하고 앞으로의 추진의지를 다졌다.

 

경북도에서는 세계유산 미래전략추진계획 발표와 함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해 세계유산 관련 17명의 전문가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이날 위촉장을 전달했다.

 

이어 도지사를 비롯한 도내 세계유산 보유 시장군수들이 세계유산 보존활용을 위해 공동의 노력을 함께한다는 의미의 협약식도 가졌다.

 

지난해 말 내방가사와 삼국유사가 아시아·태평양 기록유산에 등재되고, 도내 하회별신굿탈놀이와 예천청단놀음이 포함된 한국의 탈춤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국민들의 세계유산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더욱 커졌다.

 

연이은 등재 쾌거는 경북이 세계유산의 중심지임을 거듭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특히 하회마을의 경우 유네스코 3대 카테고리(세계유산/무형유산/기록유산)를 모두 보유하는 독보적인 성과를 달성했다.

 

이에 경북도에서는 지난 1월 도청 문화유산과에 세계유산 전담팀을 신설하고, 10년 단위의 세계유산 장기마스터플랜을 수립하게 됐다.

 

세계 속의 K-Heritage 육성을 비전 목표로 삼아 세계유산 디지털 대전환으로 지역 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한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일자리 창출을 도모한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한 세계유산 미래전략의 주요 7대 핵심과제로 세계유산 외연확장 국립 세계문화유산센터 유치 천년 신라왕경 디지털(메타버스) 복원 천년 유교경전각 건립 지역 맞춤형 관광자원화 문화유산 생태계 혁신 디지털(메타버스) 산업클러스터 조성이 주목된다.

 

경북도에서는 7대 핵심과제를 중심으로 경북의 탁월한 세계유산을 앞세워 미래경북의 문화관광 생태계를 혁신해 나가겠다는 야심찬 포부를 밝혔다.

 

올해 9월 가야고분군의 세계유산 등재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후속으로 세계유산(태실, 누정), 기록유산(만인소, 편액), 무형유산(한지·전통 활문화) 등 신규 유산 발굴을 통해 경북을 명실공히 세계유산의 중심지로 우뚝 세운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국내 세계문화유산 컨트롤타워로서 국립 세계문화유산센터와 해인사 장경판전에 버금하는 유교책판 수장시설로서 천년 유교경전각4차 산업혁명시대에 부합하는 첨단시설을 도내에 유치·건립함으로써 세계유산 보존·관리·활용의 미래모델을 경북에서 선도해 나가고자 한다.

 

신라왕경 복원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으로 디지털(메타버스) 기술을 적용하고, 경북만의 차별화된 맞춤형 관광모델로 신라왕경 역사가로길, 하회권 퀸스로드, 서원산사 명품 순례길 등 관광코스를 조성함으로써 세계유산을 관광자원으로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높여나갈 계획이다.

 

, ‘세계역사도시진흥원유치건립을 통해 세계유산 고도(古都)를 세계적인 역사도시로 육성하고,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전통기록물 번역활용, 미래경북의 랜드마크로서 문화와 정신이 녹아있는 천년건축물 건립, 그리고 지역의 풍부한 문화콘텐츠를 산업과 연계한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전문 인력 양성 기업 육성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구조의 문화관광 생태계로 혁신함으로써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목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1세기는 문화가 자산이 되고 일자리가 되는 시대며, 우리 경북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로 바로 문화와 관광을 들 수 있다면서 무엇보다도 문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경상북도는 세계유산의 보고(寶庫)인 만큼 전통 문화자원을 보존전승하고 미래먹거리로 적극 활용발전시켜 나가는데 각별히 노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1.(3.28)경상북도_유네스코_세계유산_미래전략_2030_비전선포식3.jpg

대구경북매일편집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051 사회 대학 중심 지역혁신 허브「경상북도 RISE센터」개소  2023.11.10 134
1050 2022년도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 성과공유회 개최  2022.10.23 133
1049 경북도 사회재난과 직원들 감 재배농가 일손돕기 나서  2022.10.23 130
1048 경제 이차전지 신속 추진단 출범! 경북도 글로벌 특화단지 조성 박차  2023.11.14 129
1047 지역 일자리, 시-도간 경계를 넘어 지방시대를 이끌어 가는 힘!  2023.05.15 128
1046 경북도-중진공, 중국 서부시장 개척 협력 올인  2023.05.12 126
1045 경북도, 국내 육성 마늘·양파 신품종 현장평가회 실시  2023.05.15 126
1044 사회 우리 같이 걸을래요? 경북도, 걷기운동 실천 응원 챌린지 완성  2023.11.14 125
1043 경제 경북도, 국가첨단전략산업 금융지원 업무협약 체결  2023.11.09 125
1042 경북 농식품 산업발전 푸드테크 심포지엄 개최  2023.05.12 124
1041 농촌에서 자연을 가르치는 농부교사 양성  2023.05.23 122
1040 경북도, ‘중소형 양식어가 맞춤형 스마트양식시스템’개발 나선다  2023.05.23 122
1039 경북도, 엠브레어와 업무협약으로 항공산업 시동 건다  2023.05.16 122
1038 경북도, 온 종일 돌봄 사업 성과 보고회  2022.12.03 120
1037 사회 경북도, 제28회 농업인의 날 기념행사 성황리 개최  2023.11.10 118
1036 문화 2023년 도청신도시와 함께하는 힐링음악회 개최  2023.11.09 118
1035 경북도, 산업단지 태양광 프로젝트 첫발 내딛다  2023.05.23 118
1034 양파 노균병·잎마름병 급속확산 주의! 수확 전 집중방제  2023.05.11 116
1033 경북도, 2022 대구경북 해외마케팅종합대전 개최  2022.12.03 115
1032 이철우 경북도지사, “인도와 교류 협력 강화”  2023.05.11 115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