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대구 국제 도시설계 컨퍼런스 개최!

 

국내·외 전문가 등 대구에서 머리 맞대고 미래전략 구상

 

 

대구시는 국내외 도시계획·건축분야 교수, 전문가들과 전공 대학생을 초청하여 대구 원도심 및 경부선 철도 주변지역을 대상으로 도시설계 및 미래전략 구상을 위한 ‘2023 대구 국제 도시설계 컨퍼런스330() 오후 3시에 삼성창조캠퍼스 중앙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다.

 

대구시는 대구시 도심의 주요 이슈 지역에 대해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아이디어를 얻고자 리빙랩형식의 ‘2023 대구 국제 도시설계 스튜디오를 진행 중이며, 이번에 개최하는 ‘2023 대구 국제 도시설계 컨퍼런스는 도시설계 스튜디오**에 참가하는 국내외 교수, 대학생, 전문가가 참여하고 모여서 토론하는 행사이다.

리빙랩(Living LAB): 사용자가 직접 나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사용자 참여형 혁신실험공간

** 도시설계 스튜디오: 교과서적인 이론과 도시조성에 대한 아이디어를 실제 부지(site)를 대상으로 실험·적용하는 과정

 

이번 컨퍼런스는 330() 오후 3시부터 시작되며 행사는 1부와 2부로 나뉘어 진행된다.

 

1부에서는 전문가 특강이 진행되며 한남대학교 백한열 교수의 대구의 정체성과 도시계획적 과제’, 서울대학교 존홍 교수의 ‘Micro-Macro : The City as a Productive Entit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박성기 교수의 ‘Flexcity Daegu’, 올해 총괄교수인 홍익대학교 임동우 교수의 생산도시(Production Urbanism)’ 4건의 강연과 질의응답을 통해 도시주택국장 등 대구시 관계자 및 전문가들과 의견을 공유할 계획이며, 1부 행사는 일반시민들에게도 공개되는 공식적인 행사이다.

 

이어지는 2부에서는 ‘2023 대구 국제 도시설계 스튜디오참가 대학인 6개 국가, 7개 대학 교수·학생의 대상지와 주제 관련 발표·토론이 있을 예정이다.

국내(2): 건국대학교(KU), 경일대학교(KIU)
국외(5) : 호주 로얄맬버른공대(RMIT), 스위스 로잔연방공대(EPFL), 싱가포르 Yale-NUS, 중국 텐진대, 미국 남캘리포니아 건축대학(SCI-Arc)

 

2018년 처음 개최된 대구 국제 도시설계 스튜디오는 2019, 2021, 2022(2020년 코로나 확산으로 미개최)에 이어 5회째를 맞이하며, 이번 도시설계 스튜디오의 대상지는 대구 원도심 및 경부선 철도 주변 지역이다.

 

대구시 원도심은 도시재생사업과 정비사업 및 주택건설사업 등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1905년 건설된 경부선 철도는 120년 가까이 운행되면서 대한민국 물류의 대동맥으로 대구시 경제발전과 함께했으나 대구 도심을 동서로 관통해 지남에 따라 도심 생활권을 남과 북으로 단절시켜 주거환경 악화와 토지이용의 제한 등 각종 문제가 지속되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각종 개발사업이 집중되고 있는 원도심과 경부선 철도로 인해 단절된 도심의 연속성을 확보하고, 이미 개발된 주변 지역과 연계성을 강화해 낙후된 원도심 재생 및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마련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러한 이유로 이번 도시설계 스튜디오에서는 대구 원도심 재생, 경부선 철도 주변 지역의 활성화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와 이를 실현해 줄 토지이용계획, 공간설계, 실행전략 등을 도출하기 위해 국내·외 대학교수·학생 및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어 고민하게 된다.

 

올해 대구 국제 도시설계 스튜디오에서 제안된 최종 작품은 오는 11월 개최 예정인 ‘2023 대구 건축비엔날레와 연계한 작품 전시회를 통해 일반 시민들에게 알릴 예정이다.

 

권오환 대구시 도시주택국장은 이번 대구 국제 도시설계 스튜디오와 컨퍼런스를 통해 국내·외 도시계획·건축 전공 석학들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제안되기를 기대한다라며, “원도심과 경부선 철도 주변 낙후지역의 발전 및 미래상을 공유함으로써 우리 시 도시경쟁력 확보와 시민 삶의 질 향상의 초석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말했다.

 

[붙임] 컨퍼런스 소개 등.jpg

대구경북매일편집부

 

번호 제목 날짜 조회 수
1009 제9회 대구사진비엔날레 예술총감독 선임 file 2023.03.22 113
1008 대구교통공사, 신입사원 60명 채용 file 2023.03.22 112
1007 마잇따 카페(마음을 잇는 따뜻한 카페)에서 마음건강 상담하세요! file 2023.03.22 113
1006 벚꽃 내음 가득한 도심, 봄내음길으로의 여행 file 2023.03.22 114
1005 곳곳에 울려퍼지는 K트롯 대구의 맛! 대구 음식 홍보의 첨병! file 2023.03.22 37
1004 건설·인사비리 원스트라이크 아웃(공직 배제)! - 대구시, 공직부패 척결을 위해 칼 뽑았다! file 2023.03.22 44
1003 국민통합위원회 대구지역협의회 출범! file 2023.03.22 37
1002 신천 둔치 산책로에 그늘 있는 숲길 만든다! 공공기관 협업 MOU 체결하여 「푸른 신천숲」 조성 file 2023.03.21 55
1001 홍준표 시장, 국가경쟁력에 직결되는 초대규모 사업 차질 없이 준비하라! file 2023.03.21 52
1000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대구시와 균형발전 현안회의 개최 file 2023.03.21 53
999 국가신약개발사업단 CMC사업 선정 전문성을 갖춘 컨설팅 기관으로 인정 file 2023.03.21 54
998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2023 대구국제마라톤대회 성공개최를 위한 도시기반시설 정비 앞장서 file 2023.03.21 34
997 시 장애인체육회 - 대구대학교 재활공학과 「대구장애인스포츠단 활성화」업무협약 제결 file 2023.03.20 53
996 대구시, 탄소중립 실천 아파트 경진대회 개최 file 2023.03.20 55
995 4월 2일 대구국제마라톤대회, 시민참여 열정으로 물들다! file 2023.03.20 54
994 예술에 첨단기술을 더해 대구 문화 경쟁력 향상에 힘쓴다! file 2023.03.20 56
993 전임상 병리학적 평가 기술 개발 지원 file 2023.03.17 125
992 대구공공시설관리공단 두류수영장, 지역학생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file 2023.03.17 110
991 대구소방·대구교통공사, 도시철도 환승역에서 심폐소생술 교육 file 2023.03.17 110
990 “2023년 굿잡 버스 시동걸고 맞춤형 일자리로 출발합니다!” file 2023.03.17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