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성공적 마무리

 

경북도는 9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의 마지막 구간으로 삽골재에서 도산서원까지 마지막 걷기 여정을 마무리하고 폐막식을 개최했다.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는 45명으로 구성된 재현단이 퇴계선생의 발자취를 따라 지난달 27일 서울 경복궁을 출발해 이달 9일 안동 도산서원까지 5개 시도, 17개 시군구를 거쳐 걸어오며 퇴계선생의 참뜻을 되새기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구간별 주요 일정으로는 2일차 봉은사에서 원명스님(주지스님)의 차담회와 퇴계가 도산으로 간 까닭을 주제로 배병삼(영산대학교) 교수의 강연 4일차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남양주시 구간 걷기 8일차 충청감영(충주관아공원)에서 시 창수(퇴계와 송당의 증별 시)와 해설 강의 9일차 청풍관아(청풍문화재단지) 한벽루에서 시 창수(퇴계와 서애의 한벽루 시)와 해설 강의 12일차 영주 이산서원에서 영주와 퇴계선생, 이산서원과 퇴계문인들강연 14일차 마지막 날에는 도산서원에서 고유제와 폐막식을 개최하고, 1314일간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

특히 폐막식에는 귀향길 재현을 경험한 재현단을 대상으로 소감문을 평가해 대상 1(도지사상), 금상 2(안동시장상), 은상 및 동상 7(도산서원장상)을 시상하고 270를 끝까지 걸어온 참여자에게는 안동지역 관광 숙박권을 제공했다.

 

경북도에서 이 행사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는 지방시대의 성공모델을 퇴계정신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당시 퇴계선생의 귀향은 16세기 서원운동으로 발전했고, 이는 국가의 자원과 인재를 지방으로 되돌려 놓고 지방시대 혁명으로 이끈 계기를 마련한 것이었다.

 

<16세기 서원운동>

- 조선에 서원 제도가 도입되던 시기는 16세기 중엽이다. 1543(중종 38) 주세붕(周世鵬)이 풍기에 설립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시초로 하고 있지만, 조선 서원의 체제를 정비한 인물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이다. 이황은 1550(명종 5) 백운동서원의 사액(賜額)을 실현시켰고, 초기 서원의 체제를 정비하였다.

 

- 퇴계선생의 서원운동은 지방의 교육혁신, 지역 인재양성 및 인구증가, 일자리 창출, 관광·교육 등을 통한 관계 인구 확대, 종가 문화를 통한 안채 교육(격대보육, 효와 예절 등 담당)과 사랑채 교육(권학담당) 등 한양을 능가하는 지방 생활문화 창조에 기여하였다.

 

 

경북도는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서울 쏠림과 지방소멸의 악순환을 끊어내려는 노력으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시범 선정, 지역산업기반 인재양성체계를 구축하는 등 수도권 집중 해소를 위한 지역교육혁명 및 일자리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또 지역 특화형 비자 및 광역 비자 제도를 통한 지방주도형 외국인 정책, 사회통합을 통한 외국인 공동체 구현 등 지방시대 대전환 정책을 누구보다 앞장서 추진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방이 잘 살아야 나라가 잘 산다라며 특히 서원을 통한 지방 인재 양성, 지역공동체 형성, 지방인구 유입 등 지방시대에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퇴계선생의 가르침을 되새겨, 지방시대를 열어가는 제2의 퇴계혁명의 정신으로 계승·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1.퇴계선생_마지막_귀향길_재현행사_마지막_걷기1.jpg

대구경북매일편집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051 문화 경북도서관, 독서문화프로그램 비대면으로 개편 운영!  2020.09.28 5
1050 경제 ‘어머! 이건 꼭 먹어야해’ 우수 농산물가공제품 한권에 담아  2020.09.28 4
1049 사회 경북 의용소방대 강의평가 실시... 안전교육 강의역량 향상  2020.09.28 4
1048 경제 이 도지사,“꿈을 꾸고 노력하면 꿈을 이룰 수 있다”  2020.09.28 3
1047 사회 경북소방, 전국 소방기술경연대회 종합우승 쾌거!  2020.09.28 3
1046 경제 경북도, 2020년도 제1회 공개경쟁임용시험 최종합격자 발표  2020.09.28 3
1045 경제 경북도, 추석 연휴 코로나19 방역․비상진료체계 가동  2020.09.28 3
1044 경제 NS홈쇼핑! 코로나 의료진도 돕고, 청년 농업인도 돕는다!  2020.09.28 3
1043 사회 대한건설협회 경상북도회, 태풍 피해 극복 성금 5천만원 기탁  2020.09.28 3
1042 경제 경북도 행정부지사, 예천시장에서 삼삼오오 장보기 실시  2020.09.28 3
1041 경제 한가위 선물은 경북 우수 농특산물로 준비하세요!  2020.09.28 3
1040 경제 경북도, 아동특별돌봄 지원금 추석전에 긴급 지급한다  2020.09.28 3
1039 사회 경북도, 생활쓰레기 특별관리로 깨끗한 추석명절 만든다  2020.09.28 4
1038 경제 경북도, 친환경 논생태양식으로 토속어류 산업화 앞당긴다  2020.09.28 3
1037 경제 행복농촌만들기 콘테스트에 옥산마을․고래산마을 은상 수상  2020.09.28 5
1036 경제 대구-경북! 인도네시아 홍보는 우리에게 맡기세요!!  2020.09.29 2
1035 경제 경북 중소기업혁신 벤처펀드 1천억 시대 열린다  2020.09.29 5
1034 경제 경상북도, 철강산업 미래경쟁력 강화 적극 나선다.  2020.09.29 2
1033 경제 경북도,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지원 공모사업 역대 최다 선정  2020.09.29 2
1032 경제 농업․농촌 생각을 바꾸다! 청년농부 희망을 가꾸다!  2020.09.29 2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