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성공적 마무리

 

경북도는 9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의 마지막 구간으로 삽골재에서 도산서원까지 마지막 걷기 여정을 마무리하고 폐막식을 개최했다.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는 45명으로 구성된 재현단이 퇴계선생의 발자취를 따라 지난달 27일 서울 경복궁을 출발해 이달 9일 안동 도산서원까지 5개 시도, 17개 시군구를 거쳐 걸어오며 퇴계선생의 참뜻을 되새기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구간별 주요 일정으로는 2일차 봉은사에서 원명스님(주지스님)의 차담회와 퇴계가 도산으로 간 까닭을 주제로 배병삼(영산대학교) 교수의 강연 4일차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남양주시 구간 걷기 8일차 충청감영(충주관아공원)에서 시 창수(퇴계와 송당의 증별 시)와 해설 강의 9일차 청풍관아(청풍문화재단지) 한벽루에서 시 창수(퇴계와 서애의 한벽루 시)와 해설 강의 12일차 영주 이산서원에서 영주와 퇴계선생, 이산서원과 퇴계문인들강연 14일차 마지막 날에는 도산서원에서 고유제와 폐막식을 개최하고, 1314일간 대장정의 막을 내렸다.

특히 폐막식에는 귀향길 재현을 경험한 재현단을 대상으로 소감문을 평가해 대상 1(도지사상), 금상 2(안동시장상), 은상 및 동상 7(도산서원장상)을 시상하고 270를 끝까지 걸어온 참여자에게는 안동지역 관광 숙박권을 제공했다.

 

경북도에서 이 행사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는 이유는 지방시대의 성공모델을 퇴계정신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당시 퇴계선생의 귀향은 16세기 서원운동으로 발전했고, 이는 국가의 자원과 인재를 지방으로 되돌려 놓고 지방시대 혁명으로 이끈 계기를 마련한 것이었다.

 

<16세기 서원운동>

- 조선에 서원 제도가 도입되던 시기는 16세기 중엽이다. 1543(중종 38) 주세붕(周世鵬)이 풍기에 설립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을 시초로 하고 있지만, 조선 서원의 체제를 정비한 인물은 퇴계(退溪) 이황(李滉)이다. 이황은 1550(명종 5) 백운동서원의 사액(賜額)을 실현시켰고, 초기 서원의 체제를 정비하였다.

 

- 퇴계선생의 서원운동은 지방의 교육혁신, 지역 인재양성 및 인구증가, 일자리 창출, 관광·교육 등을 통한 관계 인구 확대, 종가 문화를 통한 안채 교육(격대보육, 효와 예절 등 담당)과 사랑채 교육(권학담당) 등 한양을 능가하는 지방 생활문화 창조에 기여하였다.

 

 

경북도는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 서울 쏠림과 지방소멸의 악순환을 끊어내려는 노력으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시범 선정, 지역산업기반 인재양성체계를 구축하는 등 수도권 집중 해소를 위한 지역교육혁명 및 일자리 혁명을 주도하고 있다.

 

또 지역 특화형 비자 및 광역 비자 제도를 통한 지방주도형 외국인 정책, 사회통합을 통한 외국인 공동체 구현 등 지방시대 대전환 정책을 누구보다 앞장서 추진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방이 잘 살아야 나라가 잘 산다라며 특히 서원을 통한 지방 인재 양성, 지역공동체 형성, 지방인구 유입 등 지방시대에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퇴계선생의 가르침을 되새겨, 지방시대를 열어가는 제2의 퇴계혁명의 정신으로 계승·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1.퇴계선생_마지막_귀향길_재현행사_마지막_걷기1.jpg

대구경북매일편집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105 경북관광두레, 명품‘전통주’로 관광상품 개발 박차  2021.01.14 32
1104 경북관광인 한자리에, 세계와 함께하는 관광경북 실현 다짐  2022.12.10 209
1103 경북광역자활센터, 자활사업 참여주민 취․창업 강화 나서  2021.04.20 10
1102 경북광역푸드뱅크, 포항에 긴급구호물품 전달  2022.09.10 78
1101 경북농공단지, 도약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다  2022.08.28 75
1100 경북농기원, 『고추재배전서』 개정판 발간  2022.09.24 203
1099 경북농기원, 국화 신품종 등록 및 보급  2022.07.29 176
1098 경북농기원, 노린재 방제 친환경 생력화 기술개발 박차  2021.12.10 30
1097 경북농기원, 농촌진흥청과 디지털농업 협력 강화  2021.05.04 23
1096 경북농기원, 레드향ㆍ애플망고 재배 관리법 발간  2022.11.12 196
1095 경북농기원, 샤인머스켓 명성 이을 새로운 포도 완성  2022.10.01 204
1094 경북농기원, 성주군과 전략 작목 육성사업 업무협약  2021.05.18 31
1093 경북농기원, 제24회 복숭아연구회 세미나 개최  2022.12.03 83
1092 경북농기원, 코로나19 일손부족 농가... 일손돕기 나서  2021.05.14 32
1091 경제 경북농업기술원 구미화훼연구소 국화, 장미 신품종 개발 보급  2020.09.29 4
1090 경북농업기술원 천도(天桃) 복숭아 신품종 확대보급  2021.02.18 28
1089 경제 경북농업기술원, 2021년 연구개발사업 신규과제 심의  2020.10.28 8
1088 사회 경북농업기술원, Voice Of Child [福] 복! 소리 나게  2024.03.04 449
1087 경제 경북농업기술원, 과수 저온피해 예방 현장기술지원 강화!  2024.03.21 363
1086 경북농업기술원, 미래농업 연구 방향 설정 대토론회 개최  2021.12.14 7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66 Next
/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