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북도 다문화 정책글로벌 인재육성에서 지역경제 일꾼 양성까지

 

경북도는 2023년 다문화 정책 방향을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글로벌 인재 양성으로 정하고 이주여성의 사회진출 확대를 위한 체계적 지원과 다문화자녀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학습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경북의 다문화 가구는 18058세대 57102명으로 전국대비 4.7%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문화 자녀는 17432명으로 이중 40%6957명이초등학생으로 나타났으며 국가별로는 베트남, 중국, 필리핀 순으로 많다.

 

2006년 다문화 정책이 처음 실시될 당시 높은 증가율을 보이던 통계는 코로나19 팬데믹을 지나면서 연 3% 초반의 안정적 증가세를 보이는 등 다문화 정책의 대외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변화된 다문화가족 환경에 발맞춰 경북도에서도 기존 한글교육 중심의 정착 지원사업에서 지역 인재 육성사업으로 사업을 다양화하고 있다.

 

먼저, 결혼이주여성의 이중언어 능력과 글로벌 환경을 활용해 전문 경영인으로 육성하고자 전국 최초로 글로벌 레이디 양성사업을 추진했다.

 

글로벌 레이디 양성사업은 도내 우수한 이주여성을 모집해 회계, 무역, 통역 등 전문교육을 연간 243시간 4년에 걸쳐 교육하여 전문 경영인으로 양성시키는 사업이다. 지난해 제1 졸업생을 배출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를 거뒀다.

 

베트남 출신인 칠곡 황수빈 씨는 신한무역대표로 식품화장품 등을 베트남에 수출해 창업 1년 만에 매출 8억원을 달성했다.

 

중국 출신인 포항 전태옥 씨는 결혼이민여성 6명과 글로벌 레이디 협동조합을 설립해 네이버 라이브 커머스를 통해 지역 농특산물을 팔아 농민과 다문화 가정을 도와주는 등 경북에서 지금까지 받은 도움을 지역사회에 환원하고, 한국과 모국의 문화를 연결하는 민간 외교관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 경북도에서는 다문화 자녀를 미래 대한민국 경제의 가교 역할을 수행하는 인재로 육성하기 위한 이중언어대회, 자녀학습지원, 글로벌 인재 육성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다문화자녀 이중언어대회는 다문화자녀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어머니 나라의 문화를 이해하며 진학 및 진로결정에 중요한 자산인 이중언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업으로, 올해로 10회를 맞이하고 있으며 전국에서 경북도가 유일하게 추진하고 있다.

 

다문화 자녀가 가장 어려워하는 학교교육 지원을 위해 학년별 학습 영상콘텐츠를 제작·배포하고 지역대학생을 멘토로 1:1 매칭해 맞춤형 학습 지원하는 등 지역사회 미래 인재로 육성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역 인구 소멸과 고령화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으로 다문화가족이 지역주민과 융화될 수 있도록 다문화 수용성을 제고하고 장기 정착지원과 결혼이민자 사회참여 확대, 다문화 자녀의 안정적 성장지원 등을 추진함으로써 건강한 다문화가족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다.

 

박성수 경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국제결혼이 급속히 증가한 후 안정화되고 있는 시점에 결혼이민여성이 양국의 문화와 언어 역량을 바탕으로 지역의 경제인으로 자립하면서 초기 외국인주민 정착을 위한 브릿지 역할을 할 것이라며 다문화 자녀들을 위해 민지역사회가 함께 힘을 모아 미래 인재를 육성해 다문화 가정의 사회통합을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2.다문화정책_글로벌레이디_라이브커머스(상주포도_판매).jpg 대구경북매일편집부 


  1. 최선의 예방책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

    Date2023.06.13 Views84
    Read More
  2. 경북도, 세포배양산업 육성의 첫 걸음을 떼다

    Date2023.03.29 Views84
    Read More
  3. 경북도, 어르신 생애 최고사진 지원사업 시행

    Date2023.04.21 Views85
    Read More
  4. 경북 적십자 남부봉사관 드디어 개관

    Date2022.10.29 Views85
    Read More
  5. 올 여름 가볼 곳은 시원한 경상북도수목원이 딱!

    Date2023.06.14 Views85
    Read More
  6. 이철우 도지사, 한 총리에 APEC 유치·특화단지 지정 등 현안해결 발빠른 행보

    Date2023.03.29 Views85
    Read More
  7. 퇴계선생 마지막 귀향길 재현행사’여정의 시작

    Date2023.03.28 Views85
    Read More
  8. 「2022 경상북도 청소년 정책토론회」 개최

    Date2022.12.03 Views85
    Read More
  9. 2023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성공 개최! 자원봉사자가 함께 뜁니다

    Date2023.04.20 Views86
    Read More
  10. 경북이 주도하는 확실한 지방시대, 생생현장에서 답을 찾다

    Date2023.03.29 Views86
    Read More
  11. 경북도, 외국인 어선원 수급문제 해결을 위해 현장속으로…

    Date2023.03.28 Views86
    Read More
  12. No Image

    경북도 호치민사무소, 베트남 시장 개척에 앞장선다

    Date2020.11.11 Category경제 Views86
    Read More
  13. No Image

    풍기인삼연구소, 재배 쉬운 경북인삼 신품종 개발에 박차

    Date2020.11.11 Category경제 Views86
    Read More
  14. 「뿌리산업 제조공정혁신 지원을 위한 DX기반구축」사업 협약체결!

    Date2023.11.02 Category경제 Views87
    Read More
  15. 경북도, ‘바이오산업엑스포’ 본격 준비 의지 다져

    Date2023.06.12 Views89
    Read More
  16. 경북소방, RIT·실화재 학술세미나 개최

    Date2023.06.12 Views89
    Read More
  17. No Image

    경북잠사곤충사업장, 전문기업 손잡고 양잠산업 판 흔든다

    Date2023.06.13 Views89
    Read More
  18. 더 나은 일상을 향해...경북디지털 대전환 가속화 박차

    Date2023.04.21 Views90
    Read More
  19. No Image

    국내 최대 규모 호국·평화 축전 개최

    Date2022.10.29 Views90
    Read More
  20. 안전한 경북을 그려가는 「안전경북 365포럼」활동 개시!

    Date2023.06.13 Views90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