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북도, (M)뭐든 (Z)좋아! 쇼츠 영상 공모전 개최

 

경북도는 전국의 MZ 세대*를 대상으로 (M)뭐든 (Z)좋아! 경북 숏 타임!영상 공모전을 개최한다.

* MZ 세대 : 1981년 이후 출생자

 

공모 주제는 대한민국의 중심! 경북을 알릴 수 있는 콘텐츠, 경북의 한식, 한옥, 한복, 한글, 한지, 한음악 등 경북만의 특색 있는 스토리로 구성된 30~60초 이내의 쇼츠 영상이면 된다.

 

접수기간은 5. 8 ~ 6. 7일까지며, 개인 또는 팀 단위로 1개의 작품을 전자우편(superbeangb@gmail.com)을 통해 접수 가능하다.

 

시상은 내부 및 전문가 심사를 통해 8개의 수상작을 선정해 대상 1300만원, 최우수 1200만원, 우수 2팀 각 100만원, 장려 4팀 각 50만원의 상금과 경북도지사 명의의 상장을 수여한다.

 

발표는 6월 중 유튜브 커뮤니티, 홈페이지 게시와 함께 개별 통보할 예정이다.

 

수상작은 경북도 공식 홍보 채널인 보이소(BOISO TV) 등에 게시해 경북을 알리는 자료로 활용된다.

 

경북 홍보 쇼츠 영상 공모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경상북도 홈페이지 고시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경북도는 공모전의 많은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 공모전 소문내기 이벤트도 함께 진행한다.

 

공모전 포스터 이미지와 함께 필수 해시태그를 개인 SNS 계정에 작성한 후 해당 게시 링크로 응모하면 된다.

 

임대성 경북도 대변인은 경상북도가 강력히 추진하고 있는 지방시대 성공을 위해서는 유튜브, SNS 등 뉴미디어 분야에서도 제 몫을 해야 한다면서,

 

 

이번 공모전을 통해 Korea in Korea, 경북은 물론 지방에 살아도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것을 알리는데 젊은 세대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4.경북_홍보_쇼츠_영상_공모전_포스터(안).png

 

 

대구경북매일편집부


  1. 마약 절대 쳐다도 보지 마이소! 도지사도 외친다!

  2. No Image 10Sep
    by
    2022/09/10 Views 45 

    태풍 대규모 피해...포항, 경주 특별재난지역 선포

  3. 경북도,‘종자산업기반구축”공모사업 전국 최다 선정 쾌거

  4. 혁신과 적극행정으로 경북을 변화시킬 우수사례 찾았다!

  5. 경북도, 2021년도 햇살에너지농사 지원사업 접수 시작

  6. 「2023 전국생활체육대축전」화합과 축제의 장, 성황리에 마쳐

  7. 경북소방본부, 70미터 굴절사다리차 전격 배치

  8. “안전한 삶터·일터가 보장되는 노동 존중 경북”출발선에 섰다

  9. 경북도․구미시, 구미 국가산단 내 3개 기업과 투자협약 체결

  10. 경북도, 우즈벡 타슈켄트와 새로운 교류 지평 열어

  11. No Image 31Dec
    by
    2020/12/31 Views 48 

    이번엔 지역 대표 우유다! 2030부산 월드엑스포 유치 동참 지역기업 줄이어

  12. 경북도, 과수화상병 신속대응 모의훈련 실시

  13. 경북도, 2020 태풍영웅... 재해대책유공자 표창

  14. No Image 04Mar
    by
    2021/03/04 Views 49 

    대구경북 산학연 역량 융합... 지역혁신플랫폼 구축 시동

  15. 울진・울릉 돌미역 떼배 채취어업... 동해안권 최초 국가중요어업유산 지정

  16. 경북도, 창업 초기 사회적경제기업에 핀셋 지원!

  17. 경북도, 수출용 고품질 딸기 신품종 농가 보급 확대

  18. 경북도,‘산업단지 내 전문건설업 사무실을 부대시설로 인정’성과 도출

  19. 경북도, 인도네시아와 상호 협력사업 확대 논의

  20. No Image 10Sep
    by
    2022/09/10 Views 49 

    태풍 이후 신속한 사후관리 당부, 농작물 피해 최소화해야

Board Pagination Prev 1 ...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