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60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경북형 초거대AI 지역생태계 조성 국회세미나 개최

 

 

경상북도는 14일 ‘지역혁신을 위한 초거대AI 인프라 및 생태계 조성’을 주제로 국회세미나를 개최하고 지역에서 초거대AI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과 경북형 초거대AI 발전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윤두현 국회의원과 경북도, 경산시가 공동주관하는 이번 국회세미나에는 윤두현 국회의원, 이철우 경북도지사, 조현일 경산시장, 박윤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차관을 비롯해 네이버 클라우드, 카카오, LG유플러스 등 국내 초거대AI 대표기업 임원들과 국내 초거대AI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했다. 

 

세미나는 윤두현 국회의원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발제1) 초거대AI 인프라 필요성 △(발제2) 초거대AI와 지방소멸 극복 △(발제3) 경북형 초거대AI 생태계 활성화 방안 △(발제4) 분산에너지 정책과 지역 디지털 활성화 기회에 대한 주제발표에 이어 △(종합토론) 경북도 초거대AI 인프라 및 생태계 조성방안에 대한 전문가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첫 발제자로 나선 전병기 상무(LG유플러스 AI․Data 사이언스 그룹장)는 초거대AI 동향, LG의 초거대AI, 국내 AI시장 현황 등을 소개하고, 전 세계적으로 초거대AI 인프라 부족과 데이터 해외 유출 및 해외 클라우드 종속 위험성을 지적하며, 정부․지자체 주도 초거대AI 인프라 조성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두 번째 발제자인 김은주 단장(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클라우드-플랫폼기술단)은 초거대AI와 지방소멸이라는 주제로 수도권 편중에 따른 열악한 지역 디지털 환경을 지적하며 초거대AI 클라우드 기반의 지역 디지털 혁신 생태계를 만들어나갈 것을 강조했다. 

 

김 단장은 치안, 의료, 교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지역문제에 대해 초거대AI를 활용한 해결책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 디지털 혁신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지방소멸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 번째 발제자로 나선 서영주 원장(포항공과대학교 IT학부 학장)은 AI분야 핵심기업이 없는 경북에서는 초거대AI 원천기술 확보 노력보다는 원천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중소벤처 기업 육성에 집중할 것을 제안하고, 이를 위해 지자체의 과감하고 발 빠른 지원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유은정 연세대 교수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통과에 따라 전력 수요와 공급이 지역적으로 일치하는 곳에 지역경제 활성화 기회가 있다고 설명하고, 원자력발전소가 밀집된 경북이야말로 초거대AI, 데이터센터, 반도체 등 전력 다소비 산업의 적지임을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김현덕 경북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김경훈 이사(카카오 AI정책지원), 노주환 대표(㈜SDPlex), 하정우 센터장(네이버클라우드 AI이노베이션센터), 최동원 과장(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과)이 토론자로 참석해 경북도 초거대AI 인프라 및 생태계 조성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토론자들은 국내 초거대AI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지역에서 초거대AI 활용 확대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을 같이하고, 경북에서 지역 특화형 초거대AI 모델을 개발해 전국으로 확산해 나갈 것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 △지역 중소벤처기업에게 초거대AI 서비스를 지원하는 인프라 조성 △지역 자원과 연계한 지역특화 서비스 발굴․실증 △산학연 협력 생태계 조성에 집중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경북도는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경북형 초거대AI 정책을 구체화하고 전략적인 실행방안을 모색할 방침이다.

 

윤두현 의원은 “초거대 AI는 규모도 방대하고 응용분야가 다양해 여러 분야가 연계돼야 한다”면서, “경산은 벤처창업의 성지가 될 임당 유니콘파크와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프랑스의 SW교육시스템인 42경산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를 유치하면서 ICT 중심지로 산업지도가 바뀌고 있고, 밀집한 대학이 배후 연구기지 역할을 할 수 있어 관련 인프라와 인력을 다 갖춘 초거대 AI의 최적지”라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초거대AI 경쟁에 뒤쳐져서는 경북의 미래를 장담할 수 없다. 경북이 앞장서서 초거대AI 지역 확산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라며, “이번 국회 세미나를 계기로 경북형 초거대AI 발전방안에 대한 논의가 활성화되고 구체화되길 바란다”라고 밝혔다.

2.AI_ÀÎÇÁ¶ó_¹×_»ýÅ°è_Á¶¼º_±¹È¸_¼¼¹Ì³ª1.jpg

 

대구경북매일편집부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71 사회 추석연휴 단계별 특별감시로 환경오염행위 사전 차단!  2020.09.21 5
70 축산×데이터·인공지능(AI) 융합프로젝트 본격 추진  2021.12.21 6
69 경제 측정분석기관 숙련도 평가에서 경북보건환경연구원‘적합’인증  2020.10.21 4
68 사회 치매 안심지역 경북, 코로나에도 치매돌봄 공백 최소화  2020.09.25 8
67 칠곡경찰서, 외국인 유학생 대상 범죄·피해예방 교육 실시  2023.10.27 114
66 사회 코로나 방어 최일선 경북 생활치료센터에 응원 이어져  2020.09.04 11
65 경제 코로나 시대 경북 전통주도 드라이브 스루로~!  2020.10.12 7
64 코로나 이겨낸 경북 청년정책... 목표이행률 105% 달성  2021.12.20 5
63 사회 코로나 집단감염 대비 안전점검 실시.. 현장의 목소리 듣는다  2020.09.25 6
62 코로나19 국산백신의 새 시대, 경북바이오산단에서 열다  2022.09.03 78
61 사회 코로나19 극복! 어려울수록 더 강해지는 구미시!  2020.12.31 31
60 코로나19 물렀거라... 우리는 숲에서 면역력 키워요!  2021.05.18 36
59 코로나19 방역 최강...진드기 감염병 사업도 최고 경북  2022.12.10 213
58 사회 코로나19 재확산 방지를 위한 기부의 손길 이어져...  2020.09.02 9
57 교육 코로나를 이기는 늦깎이 배움의 즐거움... 경상북도 문해대전 개최  2020.11.05 10
56 경제 코로나블루, 산림치유에서 답을 찾자!  2020.10.07 8
55 쾌적한 공중화장실 깨끗하게 사용하세요  2022.08.28 74
54 클릭 한번으로 농업환경정보 다(多) 제공  2022.12.10 196
53 사회 탄소 중립 생활 실천 “명절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부터”  2024.02.07 246
52 태풍 대규모 피해...포항, 경주 특별재난지역 선포  2022.09.10 45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