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52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사전예방, 현장중심의 총력대응, 민간협력시스템으로 대전환 -

주민보호 행정시스템으로 개편,‘최고예방-과잉대피-최상보호-최대복구-

마을순찰대, 1 마을 1 전담공무원 지정, 주민대피협의체 구성 -

 

K-재난전문가 양성 프로젝트, 재난복구 패스트트랙, 선진국형 이재민 대책 -

 

경북도는 재난의 일상화, 극한(대형)화에 따라 기존 관 주도 사후 대응에서 민관 협력 사전 예방 체계 구축을 위해 도민 안전을 최우선 원칙으로 하는 K-CITIZEN FIRST 프로젝트 본격 추진한다.

 

올해 1월 재난안전실과 자치행정국을 통합해 안전행정실을 출범하였으며, 지난해 집중호우와 같은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경북형 재난대응체계로의 대전환 체계를 구축한다.

 

경북형 재난대응 3대 원칙(인명 우선, 총력 대응, 민간협력) 아래 미국 FEMA(연방재난관리청) 위기관리 시스템을 선도적으로 도입하는 사전 예방 체계로 대전환’, 단위 부서 중심에서 전 부서 동원 체제인 현장 중심의 총력 대응체계로 대전환’, 대학, 기업, 연구소와 협력하는 민간 협력 시스템으로 대전환3대 전환을 목표로 한다.

 

먼저사전 예방 체계로 대전환은 현재의 예방-대비-대응-복구 4단계에서 미국 FEMA의 예방-보호경감-대응-복구인 5단계로 바꾸고 재해 원인 분석연구를 통한 캘린더형 경북 안전 플랜과 (위기관리센터), 대학 및 연구원이 협력해 관연 합동 위기 예보 시스템을 만든다.

 

다음으로현장 중심의 총력 대응체계로 대전환인명재산 피해 최소화를 지원하는최고 예방’, 가용인력을 활용하여 지나치다 할 정도로 신속한 대피를 지원하는과잉 대피’, 전염병 등 의료까지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최상 보호’, 원상 회복 수준 이상으로 복구하는 최대 복구 4대 패키지를 경북도와 시군이 협력해 총력 지원한다.

 

세 번째로민간 협력 시스템으로 대전환은 결빙, 포트홀 등 도로 위험 정보를 민간 택배차량과 내비게이션 업체 등과 연결해 실시간 상황전파를 한다.

 

특히, 경북형 재난대응 대표 특수시책으로는 지역 특성에 적합한, 주민 대피시스템과 산불산사태 대응체계 구축 및 패스트 트랙을 도입한다.

 

주민대피 시스템 구축은 마을 순찰대 구성, 1 마을 1 대피 전담 공무원을 지정하고 경찰, 소방 등과 협력하여 안전한 대피를 돕는다.

 

산불대응체계 구축은 산림청, 소방본부와 함께하는 협력 모델로서 핵심사업으로는 119산불특수대응단 62명과 신속 대응 팀 210명을 운영하고, 울릉을 제외한 전 시군에 산림진화 헬기 배치와 야간 진화가 가능한 초대형 산불 헬기를 2026년까지 들여온다.

 

또한 산사태 취약지역을 6,000개소까지 확대하고 산림안전 대진단을 통해서 읍면동 단위까지 상세정 보를 제공하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재난 예측정보시스템을 활용한다.

 

패스트트랙 도입은 앞으로 산불 등 재난 전문가 육성을 위해 10 만에 사무관, 20년 근무 시 국장으로 승진하는 K-안전 Specialist 프로젝트와 행정절차를 6개월 이상에서 최대 2개월을 단축하는 재난복구 패스트 트랙을 적용한다.

 

또한 1만 명 규모의 이재민에게 호텔 등 개별 생활이 가능한 숙박시설을 지원하는 선진국형 이재민 대책을 실시한다.

 

특히, 경북도는 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을 가동해서 12시간 전 사전 대피 예보제로 준비단계에 돌입하며 조기 대비 단계에서 마을 순찰대, 1 마을 1 대피 전담 공무원을 배치하고 본격 대응 단계에서 주민대피협의체를 가동해 주민들을 즉시 대피시킨다.

 

그리고 3일 동안 지낼 수 있는 1만 명 규모의 일시 구호 세트를 배분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극한 재난 속에서는 도민 보호가 지방정부의 제1의 책무이다라며경북형 주민대피 시스템과 선진 도민 의식을 총결집해서 어떠한 재난 속에서도 도민을 지키고 보호할 수 있게 하겠다라고 밝혔다.

 

4._안전행정실__k_citizen_first__프로젝트_브리핑.jp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211 경제 지역을 대표하는 브랜드 기업, 경북PRIDE기업 6개사 선정  2023.12.07 228
1210 경제 경북도, 오아시스마켓(국내유통채널)과 온·오프라인 동시 판촉전 연다  2023.11.30 233
1209 사회 경북도, 지역 의료계 한마음... 새로운 지역보건의료체계 가능성 확인!  2023.11.30 233
1208 사회 경북소방, 2023년 화재조사 학술대회 성황리 개최  2023.11.27 239
1207 사회 경북도, 2023년 공공형어린이집 현판 전달식 개최  2023.11.27 239
1206 경제 경북도, 투자유치 기반 마련 위한 산업용지 적기 공급 추진!  2023.11.21 234
1205 사회 2023년 해양수산 신지식인에 태양수산 김선열 대표 선정  2023.11.21 228
1204 사회 경북도,‘청년이 주도하는 빅블러 시대’주제... 국제 청년 메타버스 컨퍼런스 개최  2023.11.21 154
1203 사회 아진산업(주) 서중호 대표, 119아이행복 돌봄터 도서 기증  2023.11.20 158
1202 사회 지역에 맞는 특화작목 발굴·육성으로 경북 농업 활로 개척  2023.11.20 154
1201 사회 노로바이러스! 예방 외에는 노(NO)로(路)  2023.11.15 174
1200 사회 경북소방본부, 2024년 수능 대비 비상대응태세 강화!!  2023.11.15 150
1199 사회 경북도, 임도시설 균형발전사업 우수사례 2년 연속 선정  2023.11.15 150
1198 사회 우리 같이 걸을래요? 경북도, 걷기운동 실천 응원 챌린지 완성  2023.11.14 125
1197 경제 이차전지 신속 추진단 출범! 경북도 글로벌 특화단지 조성 박차  2023.11.14 129
1196 사회 경북도, 제8회 대한민국 범죄예방대상 행안부 장관상 수상  2023.11.10 134
1195 사회 대학 중심 지역혁신 허브「경상북도 RISE센터」개소  2023.11.10 134
1194 사회 경북도, 제28회 농업인의 날 기념행사 성황리 개최  2023.11.10 118
1193 경제 경북도, 국가첨단전략산업 금융지원 업무협약 체결  2023.11.09 125
1192 문화 2023년 도청신도시와 함께하는 힐링음악회 개최  2023.11.09 11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