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45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일교차 큰 봄철, 클로스트리디움 퍼트린젠스 식중독 발생 많아-

 

- 가열 조리해도 식중독 발생할 수 있어, 식품 보관온도 관리 철저 당부 -

 

경상북도는 일교차가 큰 봄철에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특히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리음식 보관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식중독 발생이 많은 이유는 낮에는 기온이 높으나 아침과 저녁에는 쌀쌀한 날씨로 음식물 관리에 대한 경각심이 낮고, 야외 활동 증가로 음식을 장시간 상온에 방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퍼프린젠스균에 의한 식중독은 음식을 제대로 익히지 않았거나 상온에 방치하는 것이 주 원인으로 음식 조리·보관 시 주의를 기울이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으므로 조리 식품의 보관방법과 온도를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이 균은 열에 강한 아포*를 만드는 특성이 있어 음식을 끓였던 경우라도 다시 증식하는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대량으로 조리된 식품의 보관관리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 아포(spore)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등의 세균이 고온, 건조 등 생존이 어려운 환경에서 만들어내는 것으로 아포형태로 휴면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다시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아포에서 깨어나 다시 증식

 

따뜻하게 먹는 음식은 60이상, 차갑게 먹는 음식은 빠르게 식혀서 5이하에서 보관해야 하며, 보관된 음식을 먹을 때는 75이상으로 반드시 재가열해야 한다.

 

또한 봄철 나들이 할 경우 조리된 도시락은 아이스박스를 이용하여 보관·운반하고, 김밥 등 조리식품은 2시간 이내 섭취해야 한다. 그리고 육류와 수산물, 어패류는 실온에서 2시간 이상 방치하지 말고 75(어패류 85)이상에서 1분이상 충분히 익혀 먹어야 한다.

 

식중독은 특정 계절에만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식중독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구분 사용하기 익혀먹기 세척·소독하기 끓여먹기
보관온도 지키기 등 식중독 예방 6대수칙을 늘 실천하여야 한다.

* 계절별 주의해야 할 식중독 : (퍼프린젠스), 여름(병원성대장균, 장염비브리오 등), 가을(살모넬라 등), 겨울(노로바이러스 등)

 

황영호 복지건강국장은 식중독은 사전예방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앞으로 식중독 예방요령 등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홍보·안내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인 식생활 환경 조성에 더욱더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2._식중독_예방_6대수칙_포스터.jpg

 

 


  1. 경북도, 딸기 수직재배로 신공항 시대 수출 대비

  2. 경상북도 새마을운동 테마공원 방문객 67만 명 돌파!

  3. 안동 마(산약), 맛과 효능을 동시에 잡다!

  4. 경북도, 산림분야 주요민간단체와 상생협력 소통간담회 개최

  5. 경북도, ‘24년도 해양수산분야 국가투자예산1,381억원 확보!

  6. 경북도, 지역 및 필수의료 혁신을 위한 의료현장 목소리 강조

  7. 경북도 수소연료전지 활성화 브라운백 미팅 개최

  8. 청년임업인의 표고버섯 도전,‘4월 이달의 임업인’선정․수여

  9. 영덕시장 재건축 사업 첫 삽... 동해안 새로운 관광명소로 기대

  10. 경북도, 『2023년 하천사업 추진실적 평가』 우수 시군 시상

  11. 2024년도 경북관광기념품공모전 대상에‘토우 이야기’ 선정

  12. 경상북도 도민들은 얼마나 삶에 만족할까?

  13. 경북 북부권 최초, 영주 첨단베어링 국가산업단지계획 지정․승인

  14. 신학기 우리아이 급식, 걱정하지 마세요!

  15. 경북도, 조기 수확·고기능성 오미자 신품종 개발!

  16. 식중독 주의! 끓였던 음식도 보관관리 필요해요

  17. 경북자치경찰위원회, 빅데이터 활용 교통위험지역 파악 개선

  18. 2023년 농식품 분야 사상 첫 매출 7조원대 돌파

  19. 안전한 바다! 사고없는 바다! 어선사고 ZERO化 !

  20. 경북도·영양·봉화 양수발전소 건설을 위한 협업 출발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Next
/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