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maeil 주소복사
조회 수 8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벼 대신 콩재배 확대, ·보리 등 이모작으로 전환 농가소득 1.7배 증대 -

- 청년 중심 주주형 공동영농 도입과 6차산업 융복합 혁신모델 구축 -

- 폭염기 김학홍 부지사 농번기 농업 현장 찾아 들녘특구 청년 격려 -

 

경상북도농업기술원은 경북 농업대전환의 혁신모델로 추진하는 들녘특구’ 4개소(포항, 경주, 구미, 울진)가 지난해 5월부터 벼와 콩에 이은 이모작으로 밀과 보리 등의 수확이 올해 6월 완료되면서 농가에 실질적인 소득으로 돌아왔다고 밝혔다.

 

콩과 밀·양파를 이모작으로 조합원이 모두 공동영농에 참여하는 구미 특구는 120헥타르(ha)에 대한 농업생산액(경영비 제외)19억원으로 벼만 재배했을 때보다 2.4배 증대됐다.

 

콩과 밀을 이모작한 농가의 소득은 헥타르(ha)1,139만원으로 1.7, 콩과 양파는 3,837만원으로 5.8배까지 증대됐다.

 

 

벼와 콩에 이어, , 보리, 조사료 등으로 110여헥타르(ha)에 이모작을 하는 포항·경주·울진의 특구별 농업생산액(경영비 제외)9~10억 원으로 벼 단작보다 1.4배 증대됐다. 이모작 공동영농에 참여한 농가의 소득은 헥타르(ha)당 평균 145만 원으로 1.7배 증대됐다.

 

특히, 땅을 가진 고령농가는 주주로 참여하고, 농지에 대한 경영은 법인에서 전적으로 책임지는 주주형 농가에게 헥타르(ha)750만원의 배당금을 지급해 벼농사(평균 624만원)보다 높은 소득을 돌려주었다.

 

들녘특구는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벼를 이앙하고 콩을 파종하는 여름 작기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콩 파종 작업은 한여름의 폭염이 시작되는 6월에 주로 이뤄지는데, 첨단 농기계의 도입으로 폭염 속에서도 안전하고 쾌적하게 농작업을 하고 있다.

 

또한 젊은 청년들이 주축이 되어 법인 운영에 참여하고 가공·유통, 체험·관광 등 6차산업이 융복합된 혁신모델도 착착 진행하고 있어 올해 말부터 본격적으로 운영이 시작되면 농가소득은 2배 이상 증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미 특구는 밀 중심의 이모작 공동영농과 경북에 최초로 우리밀 제분 공장을 도입해 우리밀 원료곡 생산에서 가공·유통까지 경북 호 밀가루 생산산업으로 전환하는 기업형 모델로 발전한다.

 

울진 특구는 고령농은 주주로 완전히 하고, 청년 중심으로 조사료 이모작과 양질 건초 가공·유통은 물론 농촌 화를 융합해 청년을 상품화하는 상생형 모델이 된다.

 

포항 특구청년커뮤니티센터축으로 농업에 막 뛰어든 초보 청년농이 보리 중심의 이모작 공동영농 경영방식을 익히고 가공·체험 등 6차 모델을 개발하는 벤처형 모델로 성장한다.

 

경주 특구는 드론 등 전문 자격증을 보유한 청년들이 콩 이모작을 중심으로 농번기 기계화 영농 대행과 즉석 가공·체험관광 등 원스톱으로 서비스하는 협업형 모델로 완성된다.

 

25일 콩 파종이 한창 이뤄지고 있는 포항 특구를 찾은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청년들과 새참을 먹으며, 무더운 여름날에도 쉬지 않고 영농 작업을 하는 농업 현장에서의 어려움을 함께 고민하고 격려했다.

 

특히, 김 행정부지사는 농업의 미래를 책임질 청년이 함께 참여하는 들녘특구의 혁신모델은 지방 소멸에 대응하는 우수사례로 경북뿐만 아니라 전국으로 확산시켜 대한민국이 농업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경북이 주도적으로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6_경주특구_즉석두부_가공_판매장.png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날짜 조회 수
1151 경북 노후항구, 관광 미항(美港)으로 거듭난다  2021.12.07 6
1150 경북 농식품 산업발전 푸드테크 심포지엄 개최  2023.05.12 124
1149 경북 농식품유통혁신위원회, 내년 농정분야 정책과제 발표  2021.12.21 10
» 경제 경북 농업대전환‘들녘특구’이모작 결실, 농업혁신 모델도 착착  2024.06.25 87
1147 경제 경북 농업의 주인공은 나야나, 나야나!  2020.11.05 19
1146 경제 경북 농촌체험휴양마을 체험․숙박비 지원 재개한다  2020.10.16 39
1145 경제 경북 농특산물 TV홈쇼핑 진출‘총력’  2023.12.12 315
1144 경북 농특산물 쇼핑몰‘사이소’코로나19 뚫고 쾌속 질주  2021.04.21 11
1143 경제 경북 농특산품, 추석명절 53억원 판매로 대박 행진!  2020.10.12 9
1142 경북 대표 관광상품 한자리에 모인다  2022.11.12 151
1141 경북 대표 중견기업 피엔티, 이웃사랑 행복나눔 기부 동참  2021.12.14 7
1140 경북 대표관광상품은 나야, 나! ‘왕중왕전’본격 돌입  2023.06.14 99
1139 경북 동부청사, 동해안 발전을 위한 힘찬 출항!  2021.06.15 23
1138 경제 경북 동해안 불청객 해파리, 어업인 손으로 잡는다!  2020.08.26 13
1137 경북 동해안 인구감소,‘청년’에게 답을 구하다  2021.12.16 8
1136 경북 동해안 해수욕장 7월 14일부터 8월 27까지 운영  2023.07.04 75
1135 경제 경북 동해안권 해양수산 분야 지속 발전방안 찾는다  2020.08.28 8
1134 경북 동해연안, 올해 첫 비브리오패혈증균 검출  2023.05.08 43
1133 문화 경북 문화예술 이끈 경상북도 문화상 수상자 6명 선정  2020.10.27 8
1132 경북 민생 氣 살리러‘새바람 행복버스’가 달린다!  2021.03.03 3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64 Next
/ 64